밥상머리 경제 교과서 - 엄마와 아빠가 번갈아 가르치는 우리 아이 경제 교육 프로젝트
박철 지음 / 명진출판사 / 2009년 12월
평점 :
품절


이 책을 접하자마자 아차~ 내가 이 부분을 전혀 생각하지 않았구나 하고 느낀점이 있다.

우리는 문맹,컴맹에 대해서는 겁내하면서, 정작 날로 심각해져가고 있는 경제문맹에 대해서는 너무나도 무지하고, 또 아직은 어리니까 라는 말로 전혀 무방비상태로 아이를 노출시키고 있었던 것 같다.

 

경제라는 것... 어른인 우리도 솔직히 어려운 용어일수 있다.

그러한 내용을 아이들이 쉽게 이해할수 있도록 실생활에 적용할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여 책 제목 그대로 밥상머리에서 편안하게 경제개념에 대해 알려줄수 있는 책이다.

 

아주 풍요롭고, 자자손손 돈 걱정하지 않고 살 정도의 부자는 극소수이다.

그렇다면 대다수의 사람들이 살아나갈 미래에 대비하여 경제개념은 꼭 필요한 것이다.

어떠한 교육이든 하루아침에 이뤄지는 것이 아니기에, 그 필요성을 인지했을때부터 연령과 상관없이 집에서 가르쳐줘야 하는 것이 아닐까 싶다.

 

또한 이 책에서 설명하고 있는 경제교육의 목적은 아이를 무슨 학자화 하는 것이 아니라 생활속 사례를 들려주고 우리 주변에서 이뤄지고 있는 경제흐름에 대해 아이 스스로 하나씩 깨우쳐 나가도록 길라잡이를 하라는 것이다.

 

다른 것은 거의 제대로 실행하지 못하고 있는 부분이었지만 한가지는 집에서 실행하고 있는 것이 있었다.

바로 아이이름으로 통장을 개설하여 매달 일정액을 불입하고 있으며, 거기에 덧붙여 아이 스스로 만들어낸 용돈에 대해 저축하도록 가르친 것이다.

 

우리나라 부모를 캥거루에 비유하는 소리를 들은 기억이 있다.

혼자 힘으로 일어서겠다는 의지가 부족한 ‘어른아이’가 우리사회에 많기에 붙여졌던 이름이 아닐까 싶다.

외국의 경우 자립의 발판이 될 수 있는 종잣돈으로 사용케 하기 위해 어린이 명의 계좌에 입금하는 방식이 있다고 한다. 이런 종잣돈 마련같은 좋은 풍습(?)은 우리도 빨리 보편화 시켜야 하지 않을까 싶다.

 

어딜 가든, 무엇을 하든간에 그속에서 경제의 원리를 찾아보도록 가르칠 계획이고, 용돈기입장도 앞으로 작성하게끔 설명해주고, 그냥 각 은행에서 좋다고 하여 개설한 통장에 대해 아이에게 이름을 붙여보라고 할 작정이다.

막연하게 너의 통장이고, 네가 받은 용돈을 저축하는 것이 좋지 않겠냐고 일렀는데, 아이와 충분한 대화를 해보고, 스스로 저축목표를 세우도록 해야겠다.

 

이래서 책이라는 매체는 참 좋은 친구인 것 같다. 나이 여하를 막론하고 가르침을 주고, 깨닫게 해주기 때문이다.

 

솔직히 우리나라가 자식들에 대해서는 과보호성향이 있다. 외국을 보면 일정나이가 되면 집에서 독립은 물론이고, 스스로 용돈벌이를 할 정도로 자립심이 키워지는데, 우리 아이들은 거기에 비하면 좀더 안이하게 보호되고 있는 것이 아닌가 싶다.

 

경제교육은 어렸을때부터 서둘러야 한다는 말이 맞는 것 같다. 경제개념이 미처 확립되기 전에 성인이 된다면 돈에 대한 개념이 불확실하기 때문에 좀더 구체적이지 못하고, 다른이들과 비교했을 때 뒤처질수도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경제관념이 확실하다면 아무리 적게 벌어도 그 돈에 대해 책임을 지고 관리하기 때문에 그의 미래상은 더 밝아질거라 믿어 의심치 않는다.

 

[좋은 습관은 계속적인 관심과 철저한 사후 점건에서 비롯된다. “목표가 있어야 가는 길을 재촉하고 꿈이 있어야 세월을 재촉한다”는 말이 있다. 목표를 정해놓고 저축을 하면 아이는 소비습관을 스스로 통제하고 미래를 대비할 수 있다. 그리고 저축을 통해 꿈을 만들어 가고, 그 과정에서 보람과 성취감을 쌓아간다.](p156)

 

아이에게 있어 최초의 사회공간이자 사회생활의 초석을 다질수 있는 가정에서 아이의 성장속도에 맞춰 다양한 분야의 교육을 시키고, 경제에 대해서도 관심을 갖도록 하여 올바른 경제습관을 갖추도록 키워야 할 의무를 느낌과 함께 책의 내용이 전문용어 위주보다는 우리가 쉽게 접해봤던 용어와 실례를 들어 설명해주고 있어 경제교육전문가의 노하우가 담긴 책이라 확실히 뭔가 다르구나 하는 감명을 받게 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