셰익스피어를 사랑한 여자
최복심 지음 / 문이당 / 2015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슬프면서도 작은 희망으로 마무리되기는 하는 이야기였습니다. 현실에서의 굴곡, 시련이 힘들게 해도, 작가로서 모든 역량을 쏟아 넣은 작품이 좋은 평가를 받기만 하면 결국 다 보상이 되어서일까요. 셰익스피어의 어느 작품 제목처럼, 끝이 좋으면 결국 모든 게 좋은 것이어서일지도 모르겠고, 주인공 김문영에게 평소에 잘 대해 준 정부장님, 그 외 여러 "선생님"들, 은사님들과의 인간 관계는 소중히 간직되었기에 해피 엔딩으로 받아들여지기는 합니다.

 

소설의 시작은 신비로운 꿈 이야기와 함께 열리는데요. 셰익스피어로 추측되는 어느 남자가 나타나, 그 옆에는 연상의 아내(?)를 앉혀 둔 채, 마지못한 듯 보이는 태도로 책 몇 권을 주더니, "대신 대가는 치르어야 한다"고 다짐을 둡니다. 처음에는 공짜로 나눠 주던 몇 권의 (평범한) 책이 있었는데, 김문영 바로 앞에서 비축분이 소진되고 맙니다. 따라서 김문영이 받은 책은, 운 좋게 걸린 더 가치 있는 아이템이었겠죠. 김문영은 처음엔  "추가의 대가"가 뭔지 이해할 수 없었고, 기왕 준 후 나중에 토를 다는 듯한 쩨쩨한 태도가 불편하기도 합니다. 애인 장선우(동명의 영화 감독과는 무관한 가공의 캐릭터입니다)는 작가답게 멋진, 그러나 문영의 비위를 맞추는 게 우선인 해석을 내놓지만, 여전히 그 운명 같은 계시를 두고 명쾌한 이해를 하기는 힘듭니다.

 

장선우는 문영에게서 선배 소리를 듣는, 그녀보다 많이 연상인 남자이고, 그녀를 "귀여니, 사랑이" 등의 애칭으로 부릅니다. 미모의 여성을 두고 마음을 사로잡을 수 있는 노총각일까 생각했는데, 소설을 읽어 나가다 보니 기러기아빠인 유부남으로 나오네요. 플라토닉한 사랑을 주고받는 사이도 아니고, XX 등에서 뜨거운 사랑(이들은 서로의 공통점 중 하나를, "밝힌다"로 꼽습니다)을 불사르는 분명한 XX 관계인데요. 선배라고 해서 처음에는 대학 선후배 관계로 긴 인연을 가진 사이일까 생각했는데, 그것도 아니고 일 때문에  비교적 최근에 만난, 그리 오래지 않은, "신선한 열정에 타오를 수 있는", 상하지 않은 XX이었습니다.

 

김문영은 남자의 탐심과 변덕에 놀아나는 구시대적 여성이 전혀 아닙니다. 그렇기는커녕 회사에서 일도 최고로 잘하고(여튼 설정은 그렇게 되어 있습니다), 사내 정치, 세력 다툼에서 조금도 물러서지 않고 파이터 기질을 보이며, 같은 라인 안에서도 후원자에게 거침없이 자기 의견을 개진하는 당찬 커리어우먼입니다. 이런 김문영 과장을 내내 괴롭히는 상급자가 있으니, 김문영의 표현에 따르면 <오셀로>에 나오는 이아고 같은, 싸이코패스에 이중인격자인 신 상무입니다. 신 상무는 권위 의식이 강한 음모형 인간으로서, 고분고분 자신의 말에 따르지 않은 전력이 있는 김문영을 찍어 놓고 두고두고 코너에 몰아넣습니다. 라인이 다르면 그렇게 지속적 원한을 가질 필요는 없는데, 불필요한 전선을 유지한다는 점에서 싸이코패스라기보다는 그냥 무능하고 멍청한 주제에 성질만나쁜 유형으로 보입니다.

 

여러 번 함정을 팠으나 넘어가지 않고, 오히려 사내에서 위신과 명분만 잀게 된 신상무는 결국 명퇴자 리스트에 오릅니다만, 같이 퇴직할 대상자를 추리는 업무도 신상무가 맡게 되고, 이 와중 사내 자기 인맥을 확실히 구축하려는 부사장과 공 이사(둘 다 낙하산입니다)에게도 다시 "찍힌" 김문영은, 영어 입문 사전 출간 기획을 성공적으로 마쳤음에도 불구하고, 결국 퇴사자 명단에 들게 되네요. 근데 김문영은 고분고분 회사 실력자들의 의지에 굴하지 않습니다. 제부인(동생은 당연히 그녀보다 일찍 결혼했겠죠) 노무사의 도움을 받아, 그녀는 해고의 효력을 다투며 끝까지 투쟁합니다. 채 받지 못한 야근수당까지 모조리 챙기고 회사와 유리한 조건으로 합의를 본 후, 여유로운 승자의 입장에서 적들에게 적절한 위로의 말까지 던진 후, 홀가분한 심정으로 그녀는 회사를 그만둡니다.

 

 XX 관계 - 그러나 김문영에게건 장선우에게건 마음으로나 몸으로나 너무나 잘 맞고 달콤한 사이였던 것 같습니다 - 역시 그녀의 바람과는 반대로 파탄을 맞게 됩니다. 장선우와 데이트하던 장소에서 우연히 그의 아내 친구 부부를 만나게 되고, 낭만적이라면 낭만적이고 경솔하다면 다분히 경솔한 그의 말 때문에 XX 사실이 결국 미국에 체류하는 아내의 귀에까지 들어가게 되네요. 그런데 아내도 이미 현지에서 어떤 남자를 만나고 있었으며, 이 때문에 먼저 이혼을 요구한 건 아내였습니다. 다만 남편도 애인이 생겼다는 사실, 그리고 자신이 XX암 초기 진단을 받은 일 등이 겹쳐 결국 그녀는 마음을 바꾸게 되고, XX인 채로도 그저 오래 만남이 지속되었으면 하던 김문영의 희망은 이 때문에 깨지게 됩니다.

 

이 부분에서 참 이해가 되지 않았습니다. 장선우는 매너도 좋고 작가답게 소양도 풍부한 인물이지만, 그가 즐겨(문영의 비위를 맞추려) 인용하는 셰익스피어의 문장이나 특유의 썰처럼 늘어놓는 철학 등은, 제가 느끼기로는 별 깊이가 없는 겉발림 같았는데요. 그런 선우 -더군다나 나이도 많은 - 에게 김문영 같은 여자가 왜 집착하는 걸까요. 작품 도중에 슬쩍 나오는 것처럼 "아버지와 원만한 관계를 이루지 못한 여성은 연상의 남자에게 집착한다"는 말이, 혹시 김문영 자신에게도 해당하는 건 아닌지 의심이 되었습니다. 아니라고 해도, 둘의 관계는 XXXXX 이상이 아니어 보이기도 했고요.

 

여튼 직장과 남자관계, 두 전선에서 동시에 치명타를 맞은 김문영. 남자가 이런 일을 겪어도 그게 참 견디기 힘든 일인데, 하물며 여자가 치르어야 할 시련으론 가혹하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런데 이 소설의 특이한 점은, 마구 무너져내리는 여성의 심정을 감상적으로 늘어놓지 않고, 셰익스피어의 여러 인용구 속에 담담하게, "아 본래 인생이 그런 거려니"하는 쿨한 태도로 넘기고 있단 사실이었어요. 이 책에는 나오지 않지만, "인생은 본디 연극 무대에 불과한 법" 정도로 생각하면, 좀 마음이 가벼워지는 것도 사실이죠. 어쩌면 이 소설이, 작가 최복심씨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쓰여진 건 아닌지 조심스러운 추측도 들었습니다.

 

소설 처음에서 소개된, 불길한 예언("대가는 따로..")이 마치 실현이라도 되듯, 결말에 가서는 큰 비극적 사고가 터집니다. 이걸로 보아(김문영을 잡기 위해 새벽에 급히 차를 몲), 선우는 나름 문영을 두고 작품을 위한 뮤즈라든가 XXXXX 이상으로 여긴 건 분명해 보입니다. 오히려 김문영은 이 비극을 두고 적잖이 쿨한 태도를 보이며(자신에게도 책임이 없다곤 못할 건데요), 이제는 산 채로 볼 수 없는 장선우를 자신의 뮤즈로 삼아, <셰익스피어 인 드림>이라는 야심작을 발표합니다. 상관이었던(그리고 같은 퇴직자 신분인) 정 부장과 함께 새로운 직장도 잡는 듯 보이니(그녀는 나름 커리어 관리에 까다로워서, 급하다고 아무 회사나 들어가지 않으려고 합니다), 이건 뭐 회사를 관둔 게 더 해피한 상황이 되어 버렸습니다. 젊은 여성이 이 시대에 겪을 수 있는 일치고는 제법 파란만장한 사건이었는데요, 이 모든 걸 셰익스피어라는 액자 속에 넣고 바라보니 즐거운 풍속도로도 보입니다. 인생 만사가 결국 어떤 시선으로 보느냐에 달려 있다고도  할 수 있겠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