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능의 충격 - 심리학의 종말
이일용 지음 / 글드림 / 2014년 11월
평점 :
품절


이 책의 제목은 보시다시피 "지능의 충격"입니다만, 저는 이 책을 다 읽고 나서 "지능의 충격의 충격"을 받았다고나 해야 할 것 같습니다. 저자분에 대해선 일절 약력 표시 사항이 없어서 대체 어떤 분이실까 하는 궁금함이 지금도 남아 있습니다. 가능하면 찾아 뵙고, 테이블 아래에 떨어진 가르침의 부스러기라도 좀 주워서 가져 왔으면 하는 생각이 들 정도였습니다.


요즘 "이것이 퓨처다"라고 선언될 만한 R&D의 화두는 단연 "인공지능"분야가 되겠습니다. 얼마 전, 그러니까 지금으로부터 불과 한 달도 지나지 않은 과거에 스티븐 호킹 박사는 "인공 지능이 이 추세대로 발전하면, 인류는 그 생존에 위협을 맞이할 것이다"라는 취지의 발표를 한 적 있습니다. 사실 저는 "아무리 회로 집적 기술이 발전하고, 또 빅데이터의 이용 방안이 개선된다 해도, 과연 CPU와 하드, 메모리가 그 본체에 불과한 EDPS가 인간의 두뇌를 넘보는 일이 과연 생길 수 있을까 하는 의문이 들었습니다. "감정"이라는 요소를 아무리 분석한다 해도, 이를 부호화(코딩)하거나 프로그램으로 구축할 수 없는 이상, 지능은커녕 지능 유사의 어떤 시스템 구축도 힘들지 않을까 하는 생각에서였는데요.


이 책의 저자분께선 일단 지능의 정의를 달리 잡아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지능이란, 아주 제한된 분야에 특출한 솜씨를 보이는 게 지능이 아니라는 말씀을 하고 있습니다. 훈련을 통해, 혹은 타고난 천성, 선호 본능에 의해 뭐 하나를 제한적으로 잘 수행하는 건 "지능이 뛰어나서"가 아니란 거죠. 돌고래가 곡예를 펼치는 모습을 보십시오, 우리는 일상에서 우리가 사랑하는 애완 동물이 신기한 짓을 하면, "지능이 높다"는 칭찬을 자주 해 줍니다.

그런데 이건 모순이 있습니다. 만약 "지능이 높다"는 말을 그렇게 해석하고 활용하면, 왜 그 애완동물은 그 단계에서 한 치의 발전도 못 보인 채 그 자리에 머물러 있을까요? 인간은 나무 위에 머물러 있다가 "이렇게 사는 것보다는 저 나뭇가지를 손으로 집어, 손으로 못 하는 일을 하는 게 낫겠다"는 자각을 했습니다. 존재하는 도구(처음부터 도구로 존재한 게 아니라, 인간이 손을 뻗어 도구로서 활용하고 나서야 그것이 도구가 되었습니다)를 그대로 손으로 잡고 휘두를 게 아니라, 간단한 건 이어붙이기도 해서 기능과 모양을 게선하면 좋겠다는 생각이 든 건 그로부터 한참이 지나서였겠습니다만, 여튼 기존 패턴의 반복에 그친 게 아니라 발전이요 진화였습니다. "지능"을 가진 주체라면, 이처럼 우연히 습득한 행동 패턴을 반성 없이 되풀이하는 게 아니라, 머리 속의 아이템을 종합, 통합하여, 새로운 컨텐츠와 행동 지침을 만둘 줄 알아야 합니다. 그런데 동물한테는 그게 있습니까? 우리는 그래서 인간을 만물의 영장이라고 하는 것입니다.


만물의 영장이라는 인간을 규정하는 "지능"이라면, 그 지능은 단순한 "흉내내기", "베끼기"의 기술에서 벗어난 것이라야 합니다. 어리석은 인간은 "귄위 있는 소스를 베낌"을 자랑으로 삼고(실제로 그 저자들 급의 뻬어난 선생에게 배운 적도 없으면서, 몇 십 년 전의 활자 잔해를 두고 자기 기만의 페티시로 삼습니다. 실제 저자들이 보면 어이없어할 일이죠), 굳어 버린 머리로는 단 한 줄의 신선한 컨텐츠도 창조해 내지 못합니다. 이십 년 전 대학 리플렛 쪼가리에서 주워 들은 구호의 파편이 머리에 든 것의 전부일 분, 정작 정평이 난 텍스트 본의는 해석도 하지 못하고 자신의 부실한 정보 조각과 일치하는 것만 골라 근근히 꿰어 맞출 뿐입니다. 


저자분은 "지능이란, 특수한 분야에 한정된 것이 아니라, 보편적인 사항에 대해 두루 통하는 이해, 발견, 응용력, 그리고 재창조"에 연관된 것이어야 한다는 취지로 말씀하고 계십니다. 하나만 잘하는 건 지능이 뛰어나서가 아니라, 그저 우연히 감정적 선호가 그 대상에 꽂힌 결과일 뿐입니다. 저도 싧제로, 어느 전기 작가가 처칠에 대해 논한 글에 이런 말이 나왔던 것이 생각납니다. "처칠이야말로 정치, 예술, 문학, 군사"에 두루 능한 사람이었으므로 진정한 천재라 할 만하다. 그러나 나폴레옹은 그저 뛰어난 장군이었을 분이니 천재라 불릴 자격이 없다." 여기서 이 사람은 "천재"란 단어를 쓰고 있지만, 그건 단어의 오용으로 볼 수 있습니다. 오히려 이 말("천재")을 "(이 책의 저자분처럼) 우리가 계발하고 지향해야 할 참다운 지능"으로 해석한다면, 앞뒤가 척척 들어맞는 맥락이 완성됩니다. 


수 세기 전 그토록 뛰어난 천재들도(특히 조선 시대라면), 기초적인 수의 개념이나 도형을 이해하는 데에 그토록 애를 먹었습니다. 그러나 (저자분도 지적하시다시피) 지금 세상엔 유치원생들도 장난처럼 다루는 내용들에 불과합니다. 이 아이들이 머리가 특별히 뛰어나져서 그런 걸까요? 결국 인간은 자기 두뇌를 어떻게 활용하느냐에 따라서, 자기가 속한 시대의 첨단 지식 정도는 얼마든지 자유자재로 소화할 수 있다는 뜻이 됩니다. 특별한 컨텐츠의 창조야 천재의 전속 권한이라고 가정해도 말입니다.


저자분께서는 "어떤 사람이 학습에 실패한 것은, 정말로 실패해서가 아니라, 에너지 소모를 줄이기 위해 무가치한 학습에 대한 자발적 차단을 행한 것이다"라고 말씀하십니다. 참 공감가는 말씀이었습니다. 저도 예전에 "이런 걸 뭐하러 배우나" 싶어 미뤄 놓았던 분야를 지금 다루고 있습니다만, 이게 이렇게 재미난 분야였나 라고 지금 깨달아서 신나게 하는 중이죠. 과연 머리는 쓰면 쓸수록 좋아지는 건지, 다만 어깨 근육에 무리가 안 갈 정도로 몰두하면 이 분야에서 못할 게 없겠구나 하는 생각에 시간 가는 줄 모르고 있습니다. 이게 바로 저자분이 말씀하시는 학습의 새로운 쾌감 발견 아니겠습니까?


페이지를 넘기면 넘길수록 좋은 내용, 평소에도 어렴풋이 이거 아닌가 하고 여겨 왔던 생각들을 콕콕짚어 주셔서, 정말 큰 기쁨과 깨달음을 얻게 되었습니다. 완독은 했으나 아마 제가 채 캐치 못하고 지나간 부분도 있을 것입니다. 두고두고 읽어서, 남 좋은 일 시키는 게 아니라 내 능력을 계발하는 소스, 영감의 원천으로 삼고 싶네요. 이런 책을 써 주셔서 감사 드립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