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 디벨로퍼 - 안주와 불안에서 벗어나라
구정웅 지음 / 한국경제신문i / 2022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세상은 시각이 다르게 급변하며 비즈니스의 현장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종래의 법칙이나 관행에 안주하는 사업가는 반드시 도태되며, 그렇다고 어찌해야할지 모르겠다며 마냥 좌불안석하는 태도 역시 뱌람직하지 못합니다. 게임의 룰과 성격이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냉철히 살펴야 하며, 이를 통해 성공적인 사업 계획을 개발하고 실행에 옮길 수 있습니다. 


저자는 케빈 스페이시 주연의 영화 <마진 콜>을 예로 듭니다. 아무리 유망하고 성공 가능성이 높은 사업이라고 해도 그 합리성, 이윤의 전망만으로는 많은 사람들을 내 편으로 끌어들일 수 없습니다. 그저 경제성만 보고 진행할 듯한 사업이라고 해도 어떤 도덕적 명분이 필요한데, 영화에서도 그것 관련한 부분이 나옵니다. 그보다 훨씬 앞선 시기에 진행된 철도 사업 같은 걸 보면, 진행 과정에서 수없이 많은 소농, 서민들의 이익이 희생된 바 없지 않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철도는 대륙을 가로질러 놓였으며, 이는 미국뿐 아니라 광활한 영토를 지닌 러시아의 시베리아 역시 마찬가지였습니다. 인프라라는 건 일단 한번 만들어지기만 하면 많은 이들에게 도움이 되며, 성공적인 비즈니스의 디벨롭먼트라는 건 결국 사람들로부터 이런 심정적 동조 같은 걸 끌어낼 줄도 알아야 합니다. 


"태양 아래 새로운 건 없다." 어떤 성공한 사업가에게 그 비결을 물어 봐도 대체로 나오는 답들은 뻔합니다. 이런 뻔한 원칙으로, 어떻게 남들과는 다른 차별되는 결과를 그들은 만들어낼 수 있었을까요? 저자는 일단 그들은 말에 그치지 않고 어떤 실천이라는 요소를 품고 진행하는 끈기, 집착 같은 게 있었으며, 다음으로는 그런 뻔한 요소들에 자신만의 기준을 접목할 줄 알았다고 합니다. 저는 이 점에 주목했습니다. 세상 일이란 일단 성공을 하고 못 하고를 떠나, 그 일의 진행과 과정에 자신만의 컬러릃 입힐 줄 아는 능력, 또 사람들과의 진정어린 소통을 행하는 능력 같은 게 중요하다는 점을 말입니다. 


어떤 회사들은 왜 영업이 부진할까요? 저자는 이에 대해 전략의 부재, 차별화 지점의 결여 같은 이유를 꼽습니다. 영업은 그저 싸게 사서 비싸게 남에게 넘긴다는 뻔한 패턴을 극복할 줄 알아야 합니다. "고객의 문제, 심지어는 고통 같은 걸 같이 해결하며 넘기게 돕는다"는 절실한 마음가짐이 없다면 이 회사는 비슷비슷한 다른 회사들 사이에서 전혀 차별 포인트를 남기지 못하고 사멸의 초입으로 들어가고 만다는 거죠. 


현대 사회는 기업에 대해 갖가지 규제를 부과합니다. 그 중에는 환경에 관련된 것들이 많습니다. 아무리 많은 이들에게 전망이 창창한 사업을 제시해도 이것이 환경 관련해서 뭔가 유해한 느낌을 준다거나 인류가 보편적으로 동의해 온 가치에 베치된다는 인상을 남기면 그 기업은 결국 시장에서 환영 받지 못합니다. 


사업가는 만약의 상황에 대처할 줄도 알아야 합니다. 이른바 컨틴전시 플랜이라는 건데 그저 최초에 세워 둔 가장 좋은 비전 하나에만 맞춰 모든 진행 상황을 예단할 수는 없는 일입니다. 사업가는 환경의 변화, 대중의 반응을 두루 살피면서도 자신이 애초에 목표했던 바를 놓치지 않고 열정으로 비전을 선취할 줄 알아야 하며 이것이 자신의 기업을 타 경쟁자들과 차별화하는 본질적 방법이라고 하겠습니다. 


*출판사에서 제공된 도서를 받고 주관적으로 작성된 서평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