쇼핑은 어떻게 최고의 엔터테인먼트가 되었나 - 리테일 비즈니스, 소비자의 욕망을 읽다
석혜탁 지음 / 미래의창 / 2018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쇼핑은 어떻게 최고의 엔터테인먼트가 되었나" 정말 그러게나 말입니다. 뭔가 스트레스가 쌓이면 대개들 "나에게 선물한다" 등등의 핑계를 대며 무엇인가를 "쇼핑"합니다. 소비하고 싶은 게 많고 누려 보고 싶은 게 워낙 많은 세상이니, 쇼핑은 어찌 보면 엔터테인먼트 그 이상의 "어톤먼트(atonement):"인지도 모르겠습니다. 스트레스를 쇼핑으로 풀다니 참으로 나쁘게 든 버릇이라며 호되게 나무라려 들 분도 있겠으나, 이 책에서는 그런 걸 따지지 않습니다. 회사 그만두고 편의점 차리는 게 어느덧 아주 흔한 풍속도가 된 현실에서, 작금의 한국 리테일의 구조와 생리와 내밀한 소비 심리(소비자들 자신도 정작 모르는)가 어떠한지 간파하는 건 이제 보편적인 관심사, 숙제가 되어 버렸는지도 모르기에, 이 책에서 들려주는 이런저런 이야기는 귀가 솔깃해지는 게 많습니다.

"4차 산업혁명 시대에도 결국 리테일 비즈니스는 가장 중요한 산업이 될 것이다. 만사'유통(流通)'의 시대이다(p6)." 4차 아니라 설령 두 자리로 차수가 넘어가더라도, 사람이 특정 재화를 소비하지 않고는 살 수가 없고, 순간이동 기술이 개발이라도 되지 않고서야 특정 지역에서 생산되지 않는 그 무엇을 다른 곳에서 들여와야 할 필요는 있으며, 이 중에서도 센스 있는 리테일러는 동네 사람들 자신도 모르는 기호를 미리 알아채고 근사한 셀렉션을 남들보다 앞서 꾸립니다. 소비 센스는 그저 친구들에게 부러움 받는 정도지만, 리테일 센스는 시장에서 최종 승자로 살아남아 남들보다 앞선 재력을 갖추게 돕는 산업적 무기이기까지 합니다. 서울대 김난도 교수는 이런 말까지 했다고 하는군요. “이 한 권에 유통뿐만 아니라 여러 산업의 근본적인 생존 전략이 담겨 있다.(책날개와 띠지)”

저자는 유통업계가 고려해야 할 근본적인 지형 변화 다섯 가지를 우선 꼽습니다.

①인구의 감소(특히 대도시)
②고령화
③여성의 사회 진출 증가 및 1인 가구 증가
(이 둘이 한데 묶인 이유는 전통적 의미에서의 "주부층" 감소를 설명하기 위함이겠죠. 이 항목에서 저자는 "독신"과 "싱글턴"의 차이도 언급합니다)
④국내 유통업체의 해외 진출
⑤모바일 커머스의 성장

백화점은 전통적으로 그 나라, 사회의 화려한 소비 수준 척도를 알려 줄 만한 공간이었습니다. 책에서는 1980년대부터 서서히 세를 불려 나간 현대백화점의 경우 창업주 정주영 회장의 이해를 얻기까지 무척 어려운 과정이 있었다고 말합니다. 신세계의 경우 일제 강점기인 1930년대에 설립되어(미쓰코시. 三越) 1960년대 후반에 들어서야 "직영점 체제"를...

작성 중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