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석의 맛>을 읽고 리뷰해 주세요.
백석의 맛 - 시에 담긴 음식, 음식에 담긴 마음
소래섭 지음 / 프로네시스(웅진) / 2009년 12월
평점 :
품절


  백석, 조금은 낯선 작가의 이름이다.  그를 우리들이 만날 수 있기 시작한 것은 1987년 월북시인들의 작품이 해금되고, 1990년 후반부터 국어 교과서에서 백석을 접할 수 있게 되었기 때문이다.  해서 그가 쓴 글들을 접한지가 얼마되지 않은 세월이라 그의 시 속에 수많은 음식들이 등장한다는 것도 알고 있지 못 했다.  사실 음식 이야기를 좋아하지만, 시를 즐겨 읽지는 못 했다.  음식이야기가 보고싶고, 듣고싶으면 티비 화면으로 혹은 스크린의 영화 속으로 또는 소설 속에서 만나는 일이 고작이었던 것 같다.  시 속에서 음식을 만나는 일, 잦은 만남을 가져보지 않았었다.  시를 좋아하지 않는 것은 아니지만, 어린시절처럼 감성적이지 못 한 탓인지 시집을 덜 읽게 되었다.  그리고 시는 그림처럼이나 어렵다는 생각이 들었던 기억이 있어, 시를 읽는 일을 자주 갖지 못 했던 것 같다.  그래서 시와 친해져 보고싶어서 시의 이야기를 듣고자 했고, 그렇다면 내가 좋아하는 음식이라는 코드가 맞물려 있다면 더 쉬운 접근이 되지 않을까 싶었다.  그런 이유로 백석의 시 속에서는 음식이 많이 나온다고 하니, 시가 재미날 것 같았다.

 

  이 책은 저자가 박사 학위 논문을 위해 쓴 글이지만 독자들을 위해 좀더 편하고 자연스럽게 읽을 수 있도록 수정하고 보안하여 내었다고 한다.  백석, 그는 월북시인이 아니라 재북시인이다.  평안북도 정주가 고향으로 해방 후, 고향에서 머물렀다고 한다.  그의 사진이 실려 있는데, 영화 [모던 보이]에서의 배우 박해일의 머리칼 스타일을 하고 있는 모습으로 오똑하게 날썬 콧날하며, 쌍꺼풀은 없지만 그다지 작지 않은 눈, 짙은 눈썹까지 무척 잘 생긴 외모임을 알 수 있다.  오산학교를 거쳐 조선일보사가 후원하는 장학생으로 선발되어 일본의 아오야마학원에서 영문학을 공부한 엘리트였다니, 세련된 면모를 만날 수 있는 시인이다.  조선일보에서 근무하기도 하고, 영생고보에서 영어를 가르치기도 했던 백석은 누구보다 여행을 좋아한 듯 하다.  그의 시 속에서 만날 수 있는 향토 음식들은 한반도의 곳곳을 누비고 있으니 말이다.  100여편이 되는 백석의 시 속에 등장하는 음식 종류만 110여 종이 된다고 하니, 그의 시만 읽어도 배부를 듯 하다. 

 

  이 책을 읽으면 1930년대 엿장수에 대한 신문 글귀가 나온다.  엿장수가 좀도적과 소매치기의 금융기관인 동시에 이들을 조장하여 전염병을 전파시키는 거리의 낙천상인이라고 적었는데, 뭔 이야기인가 싶었더니 엿장수가 취급하는 품목들 중에 절도범의 장물들이 있었고, 탐욕스러운 엿장수 자신이 절도를 행하는 경우도 있었으며, 폐품과 함께 엿을 손수레에 가지고 다녔으니 비위생적이었다는 설명이다.  또 1926년 동아일보에 실린 [설렁탕과 뚝배기]란 글을 쓴 누구는 설렁탕을 검붉고 험상궂게 생긴 밥티와 기름때가 다닥다닥 붙어 있는 비위생적인 뚝배기에 담지 말고, 일본식 사기 그릇에 담자는 개차반같은 소리를 했다는 이야기도 들어보게 된다.    이 책은 이렇듯 백석 시인의 음식이야기가 담긴 시만을 접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당대의 음식 이야기와 백석의 뒷이야기까지 담아져 있다.  백석의 시는 많은 음식의 종류들이 등장한 것을 보듯이 맛깔스럽다.  한데, 백석의 시를 분석하고 다룬 이 책은 조금 지루하다.  그럼에도 백석이라는 시인에 대해 알 수 있는 기회가 되었고, 백석이 살았던 시대의 음식 이야기도 더불어 들을 수 있어 괜찮았던 것 같다.  백석의 시집을 한 번 읽어 보고싶다는 생각이 들며 그 마지막장을 덮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