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빅터 프랭클 - 어느 책에도 쓴 적 없는 삶에 대한 마지막 대답
빅터 프랭클 지음, 박상미 옮김 / 특별한서재 / 2021년 12월
평점 :
저자의 이름을 치면 우선 떠오르는 인터넷 글 주제는 " 로고 테라피 "의 창시자이고 , 세계 대전당시 유대인 수용소에서 여러 곳을 이동 하며 끝가지 살아 남아 이글을 남겨 놓겨 놓은 주인공이다.
책 서문에 ---
[[ 오스트리아 빈에서 태어난 20세기 철학자이자 『죽음의 수용소에서』로 잘 알려진 빅터 프랭클은 죽음의 수용소 아우슈비츠에서 살아 돌아온 본인의 경험을 토대로 제3 빈 학파라 불리는 ‘로고테라피(의미치료)’를 창시했다. 그는 “모든 사람에게는 현실을 극복하고, 고통 속에서 의미를 발견하고, 의미 없어 보이는 고통도 가치 있는 업적으로 바꿀 수 있는 힘이 있다”고 이야기했다 ]]
우선 로고 테라피란 무엇일까 ? 어쩌면 아무런 실낙 같은 희망이 없는 죽음의 수용소에서 매일 매일이 똑 같고 , 누군가는 일터로 누군가는 가스실로 끌려 가며 , 남은 작업복 혹은 죄수복을 돌려 입으며 언제가 자신의 마지막 아침일지 일수 없는 불안정하고 지극히 불확실 하며, 전쟁이 언제 끝날지도 알수 없으며, 친구 가족들이 뿔뿔이 흩어져서 생사 조차 알수도 없는 극한의 상항에서 인간이 할 수있는 일이 과연 무엇 일가 ? 하루의 의미를 찾을 수 있는 일이 과연 있을까
그래도 아주 실낙 같은 100만분의 1의 확률이라도 살아 남을 수만 있다면 희망이 있는 것일까라는 화두에서 출발한 본연의 로고 테라피의 궁극의 기원 을 살펴 보기로 하자 .
Logotherapy - Wikipedia
Logotherapy was developed by neurologist and psychiatrist Viktor Frankl[1] and is based on the premise that the primary motivational force of an individual is to find a meaning in life.[2] Frankl describes it as "the Third Viennese School of Psychotherapy"[3][4][unreliable source?] along with Freud's psychoanalysis and Adler's individual psychology.[5]
Logotherapy is based on an existential analysis[6] focusing on Kierkegaard's will to meaning as opposed to Alfred Adler's Nietzschean doctrine of will to power or Freud's will to pleasure. Rather than power or pleasure, logotherapy is founded upon the belief that striving to find meaning in life is the primary, most powerful motivating and driving force in humans.[2] A short introduction to this system is given in Frankl's most famous book, Man's Search for Meaning, in which he outlines how his theories helped him to survive his Holocaust experience and how that experience further developed and reinforced his theories. Presently, there are a number of logotherapy institutes around the world.
( 로고테라피는 신경과 의사이자 정신과 의사인 Viktor Frankl[1]에 의해 개발되었으며 개인의 일차적인 동기 부여의 힘은 삶의 의미를 찾는 것이라는 전제에 기초합니다.[2]
Frankl은 이를 Freud의 정신 분석 및 Adler의 개인 심리학과 함께 "제3 비엔나 정신 요법 학교"[3][4][라고 설명합니다.[5] 로고테라피는 알프레드 아들러(Alfred Adler)의 권력 의지 또는 프로이트의 쾌락 의지에 대한 니체 교리와 대조적으로 의미에 대한 키에르케고르의 의지에 초점을 맞춘 실존적 분석[6]에 기반을 두고 있습니다.
로고테라피는 힘이나 쾌락보다는 삶의 의미를 찾기 위해 노력하는 것이 인간에게 가장 강력하고 동기를 부여하고 원동력이 된다는 믿음에 기초합니다.[2] 이 시스템에 대한 간략한 소개는 Frankl의 가장 유명한 책인 Man's Search for meaning에 나와 있습니다.
여기서 그는 자신의 이론이 홀로코스트 경험에서 살아남는 데 어떻게 도움이 되었으며 그 경험이 어떻게 그의 이론을 더욱 발전시키고 강화했는지 설명합니다. 현재 전 세계적으로 많은 로고테라피 기관이 있습니다. )
Basic principles[edit]
The notion of Logotherapy was created with the Greek word logos ("meaning "). Frankl's concept is based on the premise that the primary motivational force of an individual is to find a meaning in life. The following list of tenets represents basic principles of logotherapy:
Life has meaning under all circumstances, even the most miserable ones.
Our main motivation for living is our will to find meaning in life.
We have freedom to find meaning in what we do, and what we experience, or at least in the stance we take when faced with a situation of unchangeable suffering.[2]
The human spirit is referred to in several of the assumptions of logotherapy, but the use of the term spirit is not "spiritual" or "religious". In Frankl's view, the spirit is the will of the human being. The emphasis, therefore, is on the search for meaning, which is not necessarily the search for God or any other supernatural being.[2] Frankl also noted the barriers to humanity's quest for meaning in life. He warns against "...affluence, hedonism, [and] materialism..." in the search for meaning.[7]
Purpose in life and meaning in life constructs appeared in Frankl's logotherapy writings with relation to existential vacuum and will to meaning, as well as others who have theorized about and defined positive psychological functioning. Frankl observed that it may be psychologically damaging when a person's search for meaning is blocked. Positive life purpose and meaning was associated with strong religious beliefs, membership in groups, dedication to a cause, life values, and clear goals. Adult development and maturity theories include the purpose in life concept. Maturity emphasizes a clear comprehension of life's purpose, directedness, and intentionality which contributes to the feeling that life is meaningful.[8]
Frankl's ideas were operationalized by Crumbaugh and Maholick's Purpose in Life (PIL) test, which measures an individual's meaning and purpose in life.[8] With the test, investigators found that meaning in life medi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religiosity and well-being;[9] uncontrollable stress and substance use; depression and self-derogation.[8][10] Crumbaugh found that the Seeking of Noetic Goals Test (SONG) is a complementary measure of the PIL. While the PIL measures the presence of meaning, the SONG measures orientation towards meaning. A low score in the PIL but a high score in the SONG, would predict a better outcome in the application of Logotherapy.[11]
Discovering meaning[edit]
According to Frankl, "We can discover this meaning in life in three different ways: (1) by creating a work or doing a deed; (2) by experiencing something or encountering someone; and (3) by the attitude we take toward unavoidable suffering" and that "everything can be taken from a man but one thing: the last of the human freedoms – to choose one's attitude in any given set of circumstances".[3] On the meaning of suffering, Frankl gives the following example:
"Once, an elderly general practitioner consulted me because of his severe depression. He could not overcome the loss of his wife who had died two years before and whom he had loved above all else. Now how could I help him? What should I tell him? I refrained from telling him anything, but instead confronted him with a question, "What would have happened, Doctor, if you had died first, and your wife would have had to survive without you?:" "Oh," he said, "for her this would have been terrible; how she would have suffered!" Whereupon I replied, "You see, Doctor, such a suffering has been spared her, and it is you who have spared her this suffering; but now, you have to pay for it by surviving and mourning her." He said no word but shook my hand and calmly left the office.[3]: 178–179
Frankl emphasized that realizing the value of suffering is meaningful only when the first two creative possibilities are not available (for example, in a concentration camp) and only when such suffering is inevitable – he was not proposing that people suffer unnecessarily.[12]: 115
( 로고테라피의 개념은 그리스어 로고("의미")에서 만들어졌습니다. Frankl의 개념은 개인의 일차적인 동기 부여가 삶의 의미를 찾는 것이라는 전제에 기초합니다. 다음 신조 목록은 로고테라피의 기본 원칙을 나타냅니다.
인생은 모든 상황, 심지어 가장 비참한 상황에서도 의미가 있습니다.
삶의 주된 동기는 삶의 의미를 찾고자 하는 의지입니다.
우리는 우리가 하는 일, 경험하는 일, 또는 적어도 변하지 않는 고통의 상황에 직면했을 때 취하는 입장에서 의미를 찾을 자유가 있습니다.[2]
인간의 정신은 로고테라피의 여러 가정에서 언급되지만 정신이라는 용어의 사용은 "영적" 또는 "종교적"이 아닙니다. Frankl의 관점에서 정신은 인간의 의지입니다. 그러므로 강조점은 의미를 찾는 데 있으며, 반드시 신이나 다른 초자연적 존재를 찾는 것은 아닙니다.[2] Frankl은 또한 삶의 의미를 추구하는 인류의 장애물에 주목했습니다. 그는 의미를 찾는 과정에서 "...풍요, 쾌락주의, [그리고] 물질주의..."에 대해 경고합니다.[7]
삶의 목적과 삶 구성의 의미는 실존적 공백과 의미에 대한 의지, 그리고 긍정적인 심리적 기능에 대해 이론화하고 정의한 다른 사람들과 관련하여 Frankl의 로고테라피 글에 나타났습니다. Frankl은 사람이 의미를 찾는 것이 차단될 때 심리적으로 해를 입힐 수 있음을 관찰했습니다. 긍정적인 삶의 목적과 의미는 강한 종교적 신념, 그룹의 구성원 자격, 대의에 대한 헌신, 삶의 가치, 명확한 목표와 관련이 있습니다. 성인 발달 및 성숙 이론은 삶의 개념에 목적을 포함합니다. 성숙은 삶이 의미 있다는 느낌에 기여하는 삶의 목적, 방향성, 지향성에 대한 명확한 이해를 강조합니다.[8]
Frankl의 아이디어는 개인의 삶의 의미와 목적을 측정하는 Crumbaugh와 Maholick의 PIL(Purpose in Life) 테스트에 의해 실행되었습니다.[8] 이 테스트를 통해 연구자들은 삶의 의미가 종교성과 웰빙,[9] 통제할 수 없는 스트레스와 물질 사용 사이의 관계를 매개한다는 사실을 발견했습니다. 우울증과 자기 비하.[8][10] Crumbaugh는 SONG(Seeking of Noetic Goals Test)이 PIL의 보완적인 측정이라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PIL이 의미의 존재를 측정한다면 SONG은 의미 지향성을 측정합니다. PIL 점수가 낮지만 SONG 점수가 높으면 로고테라피 적용에서 더 나은 결과를 예측할 수 있습니다.[11]
의미 발견[편집]
Frankl에 따르면 "우리는 세 가지 다른 방식으로 삶의 의미를 발견할 수 있습니다: (1) 작품을 만들거나 행위를 함으로써, (2) 무언가를 경험하거나 누군가를 만나서, (3) 피할 수 없는 것에 대해 취하는 태도에 의해 고통"과 "인간에게서 모든 것을 빼앗을 수 있지만 단 한 가지: 주어진 상황에서 자신의 태도를 선택할 수 있는 인간의 마지막 자유"[3] 고통의 의미에 대해 Frankl은 다음과 같은 예를 제시합니다.
"한번은 연로한 일반 개업의가 심한 우울증으로 저에게 진찰을 하셨습니다. 2년 전에 돌아가시고 무엇보다 사랑했던 아내의 죽음을 이겨내지 못했습니다. 이제 제가 그를 어떻게 도와드릴까요? 뭐라고 말해야 할까요? 나는 그에게 아무 말도 하지 않고 그 대신 "박사님, 당신이 먼저 죽고 당신의 아내가 당신 없이 살아남았더라면 어떻게 되었을 것입니까?"라는 질문을 던졌습니다. , "그녀에게 이것은 끔찍했을 것입니다. 그녀가 얼마나 고통을 당했을까요!" 그러자 내가 대답했습니다. 하지만 지금은 그 대가를 치르고 그녀를 살려 애도해야 합니다." 그는 아무 말도 하지 않고 악수를 하고 조용히 사무실을 떠났습니다.[3]: 178–179
Frankl은 고통의 가치를 깨닫는 것은 처음 두 가지 창조적 가능성을 사용할 수 없을 때(예: 강제 수용소에서) 그리고 그러한 고통이 불가피할 때만 의미가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그는 사람들이 불필요하게 고통을 받는다고 제안하지 않았습니다.[12]: 115
-------------------------------------------------------------------------------------------------------------------------
로고 테라피에 설명 하다 보니 책의 내용 보다는 이론에 치우친 부분이 있습니다만 , 책을 읽어 내려가다 보면 인간이 마주 할 수 없는 ㅡ혹은 상상을 뛰어 넘는 고통속에서도 삶의 의미를 생각 하라 -라는 명제는 매우 어려워 보였습니다. 왜냐하면 나의 의지 와는 상관 없이 매일 수많은 생명이 사라지거나 태워 지고 , 강제 수용소에서의 일상은 죽음을 기다라는 것 외에 다른 어떤 목적도 없어 보일 수 있다라는 것이죠 , 하지만 그는 그곳에서 살아 남았고 , 죽음의 박사 요제프 멩겔레 의 말 한마디와 혈색 진단에 따라 , 노동이 필요한 인력과 불필요한 소각재 인간으로 구분 되는 선에서 용케 기지를 발휘하여 노동자 선에 서서 살아 남은 일 , 누군가 호명을 하며 무작위로 100명의 인원을 잘라 가스실로 이동하려는 순간 자신을 떠밀어 내어 101번쩨 대기자가 되어 구사일생 목슴을 구해준 수용소 관리인, 나치 친위대이긴 하지만 남모르게 , 수용소 사람들을 위한 구굽 약과 처방을 뒤로 도와준 그는 전쟁 종전 후에 군사 재판에서도 많은 수의 유대인 증언에 의해 살아 남았고 오히려 , 다시 그 수용소의 소장으로 복귀 할 수도 있었다.
인간사 돌고 도는 것이지만 서양이나 , 동양이나 보은과 답례는 다르지 않을 수도 있다라는 것을 느끼며 , 또한 사회적인 군중 관계속의 하나 일지라도 세렌티피트는 존재 하며 누군가 자신의 생명을 지켜내 주었다면 그런 보답으로 빅토르 플랭클 박사는 더더욱 적극적으로 전세계를 돌며, 자신의 체험에서 우러나온 로고 레타피를 강연허며 , 타인에게 , 절망에 빠진 사람들을 치유하며, 극단적인 선택을 할 수 있었던 수많은 사람들의 생명을 구한 경우를 카운트 한다면 , 전셰계적으로 재판매가 된 이책 1600만 부는 성경이래로 최대 부수를 자랑하는 전도도서 같은 의미 있는 책이 아닐까 한다. ,
누구든지 아주 깊은 상처와 상실을 마주 하게 되면 , 인생의 깊이와 넓이를 떠나 어디서 부터 추스려야 할지 마음을 정할 수가 없을 때가 있다. 그러 할지라고 한가닥 내가 위안을 얻을 수 있는 장소와 사람 , 관계 , 건강한 정신적 멘탈을 얻을 곳 하나 정도 있었으면 하는 바램이 이 매서운 겨울 동장군속 생각이다. Written by E HA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