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조선 시대 옷장을 열다 - 옛사람들의 옷 이야기 ㅣ 우리 고전 생각 수업 4
조희진 글, 오연 그림 / 위즈덤하우스 / 2014년 5월
평점 :
[스콜라] 조선 시대 옷장을 열다 : 옛사람들의 옷 이야기 - 우리 조상들을 조금 더 알게 되다
* 저 : 조희진
* 그림 : 오연
* 출판사 : 스콜라
명절에만 입는 한복.
전 한복이 참 좋더라구요.
색감하며 옷감하며~ 드레스보다 한복이 더 좋은 전 한국사람^^
사극을 보면 그 시대에 맞는 옷들이 등장하잖아요.
유럽은 그 풍성한 드레스들, 우리는 삼국, 고려, 조선에 맞게 맞는 의복들이 드라마에 등장합니다.
주로 왕족들 의상이 나와서 좀 화려하긴 하지만 일반 백성들 의복도 오히려 더 편해보이더라구요.
이번에 아이와 같이 의미있는 책을 봤어요.
마침 주말에 한국사 시험을 보는데 그 중간에 보긴 했지만요.
조선시대의 옷장 이야기를 보면서 조선 시대도 일부 공부가 되었답니다.
시험이 목적이 아니지만 그래도 책을 통해서 재미있고, 너무 즐겁게 읽었다는 아들.
저도 궁금해지더라구요.
신분에 맞는 옷, 계절과 각 쓰임새에 맞는 옷, 지혜로운 우리 옷, 예절이 담긴 우리 옷
크게 이렇게 4가지 분류로 나워서 상세하게 이야기합니다.
[승정원에서 올린 글을 보고 성종은한숨을 쉬었습니다.
호산군 이현에게 이엄을 주는 것이야 어려운 일이 아니었지만 작은 쓰개 하나를 받겠다고
왕실의 종친이 승정원까지 찾아왔다는 사실이 마음에 들지 않았던 것입니다.]
머리 위에 쓰는 쓰개인 이엄.
이 이엄을 받기 위해 종친임에도 불구하고 가서 달라고 했던 종친.
겨울에 쓸 수 있고 좋은 재료로 만들었기 때문에 탐이 났던 것입니다.
하지만 엄격히 당상관 및 당하관까지만 쓸 수 있었던 이엄이었기에 망신을 당할지언정 갔던 것이지요.
[서쪽 변방을 지키느라 고생하는 장수와 병사들을 헤아려 등급을 나눈 다음, 비단과 명주 같은 옷감을 주어 나의 마음을 전하도록 하라.
그리고 군졸들에게도 솜옷, 개가죽으로 만든 갖옷, 종이옷을 고르게 나누어 주고 그들이 조정의 지극한 뜻을 저버리지 않도록 각별히 보살피라고 비변사와 병조, 호조에 전하라.]
언제나 변방을 지키는 병사들에게 종이옷을 나눠준 인조의 기록입니다.
종이옷? 이면 젖고 찢어지지 않을까 걱정하는 우리와 달리..
옷감 사이에 종이를 넣어 오히려 찬바람을 막는 기능을 했다고 합니다.
신하를 생각해서 왕이 직접 옷을 내린 기록들이 고스란히 있습니다.
한복을 입을때 보면 옷고름이 있죠. 이 옷고름과 신하들이 관리복 위에 단 흉배.
그 외 다양한 모자와 색동 저고리, 삼베 등 우리보단 외국인이 감탄한 우리 옷들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이 책을 보면은 다양한 그림과 사진이 등장합니다.
이야기만으로 설명되지 못하는 점들을 직접 보여주면서 우리의 옷을 조상들의 지혜를 우리의 자랑스러움을 알 수 있습니다.
자연스럽게 역사 공부가 되는 것은 물론이고 조상들의 생활상을 엿볼 수 있습니다.
읽으면서 자랑스럽고 뿌듯하고 기쁜 감정이 자연스럽게 듭니다.
한복을 좋아하는 아이와 저는 너무 의미있게 또 몰랐던 부분들을 알아가면서 볼 수 있었습니다.
아이와 함께 온가족이 보면 너무 좋을것 같습니다.
특히 초등학생들이 보면 이야기 형태기 때문에 읽기로 수월할 뿐더러 많은 생각을 할 수 있는 책이라 여겨집니다.
<많은 그림 자료들이 있습니다. 눈으로 직접 보니 더 도움이 되죠^^>
책을 다 읽고 간단하게 기록해보았습니다.
<우리 고전 생각 수업> 이 시리즈 앞으로 찾아보려구요.
스콜라,고전,조상,우리옷,한복,종이옷,갖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