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지 드로잉 노트 : 소품 그리기 ㅣ 이지 드로잉 노트
김충원 지음 / 진선북스(진선출판사) / 2014년 1월
평점 :
품절
이지 드로잉 노트: 소품 그리기 : Easy Drawing Note - 스케치에 자신감을
갖자
* 저 : 김충원
* 출판사 : 진선아트북(진선출판사)
<스케치 연습>
학교 다닐때 미술이 참 어려웠습니다.
그냥 만드는건 그래도 하는 편이었지만...
그리고 색칠하는건 정말
어렵더라구요.
그나마 데생 정도는 하겠는데 색을 입히는건 왜 이리 어려운지...
그래서 지금도 그림 잘 그리는 사람들을 굉장히
부러워해요^^
아들들이 지금은 그림도 좋아하고 하는데요.
이 관심과 애정에 조금 더 기본기와 실력을 입혀서 평생 취미로라도 그림을
그리는 것은 꼭 가능하게 해주고 싶어요.
물론 음악도 마찬가지구요. 운동도 마찬가지죠.
전 피아노도 배우고 싶었는데
못했었거든요.
우리 나라의 대표 미술 프로그램을 제작하기도 한 저자의 이름은 잘 기억하지 못했지만...
아이가 그동안
즐겨했던 놀이책을 만든 분이기도 하시네요.
이번에도 이지 드로잉 노트 시리즈를 만들기도 하셨구요.
'이지'라는 단어에서 그나마 좀
쉽겠지? 하고 책을 봤다가....
음~ 하게 되었습니다.
반반이었어요.
자신감 있게 따라할 수 있었던 내용도 있지만 정말
어려웠던 내용도 있었거든요....
그래서 자꾸 연습을 해야 할것 같아요.
하나씩 하나씩 짤막하게요.
소품
스케치란? 작은 종이에 작은 것을 짧은 시간 동안 짤막하게 그리는 쉽고 재미있는
그림 |
그림 그리자 하면..
그릴 종이와 도구들을 다 준비해 놓고 한다고 생각했는데요.
아이들을
낳고 지나보니.. 정말 그냥 종이와 연필만 있어도 되더라는거죠.
이런게 시작인데.....
왜 그림은 자꾸 어렵다는 생각이 드는지
모르겠습니다.
작은 종이와 펜 하나로 시작하는게 가장 중요한것 같아요. 그 시작이요.
저자는 말합니다.
드로잉에 필요한 가장 중요한 기초는.....
선 긋기와 관찰!!
왜?일까라고 생각해보니 맞는 말이었어요.
기본적으로 선으로 내가 원하는 물체를 그릴 수 있어야 하고 디테일을 위해선 자세히
봐야하니까요.
아하!
그럼 이제 시작할 수 있는 기초는 되어 있는거네요.
단.... 선긋는건 계속 더 연습해야죠^^
드로잉의 가장 중요한
세 가지 도구 : 연필, 펜, 색연필 |
위에서도 언급했지만 기본적으로 선긋는건 되어야 합니다.
자 없이도 그릴 수 있다면 더 좋죠.
일직선 연습부터 간격, 주름, 원
등을 반복적으로 그려봅니다.
그리고 채색해보기를 하죠.
그러다 발견한 사실..
대상의 전체적인 형태를
먼저 파악하고 그림의 크기를 가늠한 다음,
드로잉을 시작하는 습관을 기르자.
책 속에 보면 대상의 일부분에서
전체로 그려가는 방식과
대상의 가장자리를 먼저 그리고 안쪽으로 그려가는 방식이 비교되어 있는데요.
미묘하지만 확실히 차이가
있습니다.
스케치를 보니 전체적으로 외곽에서 디테일로 가는게 더 대부분이더라구요.
모든
소질의 원천은 자신감이며, 자신감은 연습량에 비례한다.
만화 그리기를 좋아하는 큰 아이는 독서록을 만화를 많이 그리곤 합니다.
말풍선도 달아가면서요.
자신도 있고 좋아해서
그런가 거침없이 다양한 표현을 합니다.
그림을 그리는데 내가 스스로 자신이 없다면?
바로 표현되어 버리고 맙니다.
잘 관찰하고
그리는 것도 중요하지만 정말 좋아하는것, 자신감을 가지는것이 더 선행되어야 할 마음가짐, 숙제 같아요.
사물을 잘 관찰하는 생각보다 쉽진 않아요.
그리고 또 표현하는 능력도 겸비되어야 하죠.
반 고흐의 '해바라기'는 물론
책 속의 사과 그림, 각종 병들.
사실적입니다. 저도 그래서 따라해보게되더라구요.
그나마 이건 되는데, 저 해바라기는 그냥 눈으로만
보기로 했습니다^^
기본
윤곽 스케치후 디테일을 살린다....
말이 쉽지 직접 그려보면서 원하는 감을 찾는 것도 도움이 될거에요.
게다 우리 주변의 모든 것이
다 소품 스케치의 대상이 될 수 있는 사실.. 새삼스럽게 느껴집니다.
과일, 야채를 그려보았어요.
색연필이 연해서 색감은 잘 표현이 안되었네요.
물고기랑 컵도 그려보았어요.
꽃은 좀 내공이 쌓이면 도전해봐야겠어요.
매일 매일 아주 조금씩 주변의 사물들을 하나씩 그려가는 것도 재미날듯 해요.
실력이 확 늘어나는 것을 바라는게 아니라 정말
그냥 그 순간의 모습들을 기억하기 위한 스케치가 될 수도 있잖아요.
어렵고 복잡한걸 찾는게 아니라 정말로 우리가 충분히 공감만 할 수 있는
대상을 그리는 것이기에...
그동안 어렵다고 생각했기에 조금은 멀리했던 그림.
이제는 조금 자신감을 가지고 그려보려고
합니다.
스스로도 기대가 많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