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고려는 팔만대장경을 만들었을까? - 이규보 vs 최우 역사공화국 한국사법정 18
최연주 지음 / 자음과모음 / 2011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왜 고려는 팔만대장경을 만들었을까? : 이규보 VS 최우 - 자랑스러운 우리의 세계문화유산 대장경을 알아보다...



* 저 : 최연주
* 그림 : 손영목
* 출판사 : 자음과모음





역사를 배우면서 기록되어진 문서로만 보다보니 잘못 알고 있던 사례들이 나중에 연구를 통해서 다시 수정되는 상황들을 많이 보게 됩니다.
이 팔만대장경도 마찬가지입니다.
국보 제 32호. 세계의 문화 유산이기도 한 팔만대장경.
몽골 외세의 침입에 고려의 백성들이 나라를 지켜달라 기원하며 만든 것입니다.
이를 여지껏 오해하여 최씨 정권에 의해 만들어졌다라고 알려져 있었다고 하네요.
이 책에선 이런 역사의 왜곡을 제대로 짚어내고자 하는 이규보의 노력이 남겨 있습니다.
최씨 정권의 최측근이기도 했던 그가 어떻게 최우를 상대로 소송을 냈을까요.
그 이야기 속에 팔만대장경의 이야기가 많이 담겨 있습니다.



몽골의 침입에 다 버리고 피난을 떠난 최우.
그일을 기록했던 팔만대장경의 일부인 1236-16 문서가 사라진 것을 두고 의심하는 이규보의 재판 의뢰.
재판은 총 3일에 걸쳐 진행됩니다.
첫말엔 대장경이 무엇인지부터 해서 왜 호국 신앙의 상징이 되었는가를 살펴보죠.
둘째 날엔 이 팔만대장경이 만들어진 과정을 상세히 짚어봅니다.
마지막 날엔 어떻게 우리의 보물이 세계의 문화유산이 되었는지를 말하고 있습니다.
읽는 내내 마지막편에선 뿌듯함을 느낄 수 있어요. 자랑스러움이요^^
유명한 해외의 여러 관광지를 살펴보면서 우리도 이런 문화유산이 분명 많았을텐데 안타깝고 속상적이 종종 있었거든요.
팔만대장경을 비롯해서 문화유산으로 지정된 우리의 역사 유물들은 잘 배우고 잘 알아서 잘 간직해서 후손들에게 전해줘야 합니다.




팔만대장경은 초조대장경이 몽골의 침략으로 불타 버린 후 다시 1237년(고종24)부터 16년간 만들었다고 합니다.
총 8만여 매에 달하고 8만 4천 법문이 있어 팔만대장경이라고 불리우죠.


만들기도 힘들었을테고 양도 많았던 대장경.
얼마전에 신문박물관에서 본 도구 모습이 오버랩됩니다.
지금처럼 인쇄술이 발달하지 않았을때 일일히 글자를 다 파내어 찍던 신문들.
그모습이 대장경을 보면서 다시 생각났어요.


<본문 사이 사이 만화컷과 설명이 나와서 아이들이 보면서 쉬어갈 수 있습니다.>




<열려라 지식창고>에서는 조금 더 깊이 있는 내용이 소개됩니다.
문화재가 무엇인지도 설명하고 있구요.
세계 기록 유산이 뭔지도 설명하고 있죠.
해외도 좋지만 국내의 이런 문화재들과 기록 유산들을 찾아 떠나는 여행도 의미있을 것이라 생각됩니다.
마침 오늘 아이가 집 근처의 옹기박물관에 다녀온다고 하는데, 이런 체험도 자연스럽게 공부가 되고 경험이 되겠죠.





책이 길었지만 한국사에 관한 책이라 아이가 꼭 봐줬으면 했어요.
다행히 며칠동안 열심히 읽어주었습니다.
재미나게 보았더라구요.
그래서 독서록도 해보고 싶다 해서 했는데...
팔만대장경을 중심으로 한 인물들이 법정 공방이다 보니.. 인물에 관한 독서록으로 마무리 했어요.
바로 이규보에 대해서 정리를 해봤습니다.
아이가 봤던 위인전에선 보질 못했던 분이라, 열심히 찾고 찾아서 기록했습니다.
찾는 연습고 많이 필요해요^^



학창 시절 배웠던 내용이 잊혀지고 있었는데..
이렇게 한국사법정을 통해서 다시 짚어보고 생각해보면서 볼 수 있다는게 참 감사합니다.
한 사건을 어떻게 보느냐에 따라서, 게다 결과만을 놓고 볼때 우리는 왜곡된 역사를 볼 수도 있는 상황이 생기잖아요.
쌍방향에서 객관적으로 바라보는 시선도 가질 필요가 있다고 생각해요.
특히나 지난 역사는 기록된 내용만으로만 추측할 수 밖에 없으니 말이지요.
한국사는 계속해서 공부해야 할것 같아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