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직 상식사전 - 대한민국 No.1 취업멘토가 알려주는 ‘한국형’ 이직 매뉴얼!
문병용 지음 / 길벗 / 2012년 10월
평점 :
절판
이직 상식사전
* 제목 : 이직 상식사전
* 저 : 문병용
* 출판사 : 길벗
직장인의 첫 1~2년 새에 이직률이 가장 높다는 통계를 봤어요.
그리고 3,5,7년 등 홀수 년도가 또 높다고 하더라구요.
추가로 진급이 되기 전 년도에도 높구요.
왜 그럴까? 하고 생각되지만 이 년도를 다 지나고 왔다면 아마 충분히 공감이 되실거에요.
저도 현재 12년차 직장이거든요.
그 사이 이직을 한번도 생각을 안해봤다면 거짓말일 것입니다.
이직, 전배, 퇴사 이런 고민을 순간순간 해보게 됩니다.
특히 결혼, 출산, 육아가 겹치면서 더 많이 고민이 되지요.
그리고 왜 신입사원때냐? 왜 홀수년차냐? 진급의 기로에서냐?
경험해보니 충분히 공감이 되던 데이타들이었어요.
이직 상식사전 이라는 제목을 들었을때, 구체적으로 이직을 생각하면서 본 건 아니었습니다.
이직에 대한 두려움이 컸고 몇번 고비를 넘기니 그 생각은 사실 접어들게 되더라구요.
아마 익숙함 때문에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고 도전하는 것에 조금 더 두려움을 느껴서일지도 모르겠습니다.
그래서 몇번 전배를 위한 과정을 해봤는데 이것도 어떻게 보면 현재 기준에서는 이직이라는 것과 비슷할지도 모르겠어요.
그런데 꽤 꽤 어렵더라구요.
준비도 필요하겠구요.
그래서 혹시라도 다른 부서의 전배도 생각을 전혀 안하는게 아니기 때문에...
이 책을 들여다보게 되었습니다.
상식사전이라면 어떨까? 어떤 내용을 다루고 있을까? 궁금하기도 했구요.
![](http://blog.dreamwiz.com/usr/r/o/rose97/178/rose97_20121116011754_13900646_1.jpg)
주변에서도 이미 회사를 나간 주변인들, 부서를 옮긴 사람들의 이야기를 전해 전해 들으면 생각보다 많은 사람들이 만족하진 않아합니다.
물론 그 중에서도 만족스럽게 현재의 업무를 더 즐기는 사람들도 많이 있죠.
그래서 이 책에도 말합니다.
이직 직장인들중 80%가 후회를 한다고요.
그럼 이런 결과들이 왜 나올까요?
단순하게 개인적으로 힘들거나 상사 등의 사람 사이의 관계 하나로, 연봉 등의 이유로 구체적인 목표 없이 옮긴 경우, 현재 상황을 돌파하기 위한 경우로서의 이직을 한 이들이 아무래도 후회한다고 결과들이 나왔을것이라 생각됩니다.
이와는 반대로, 내가 정말 이곳에 있는 것 대신 다른 곳으로 가서 해야 할 일들을 고민하고 결정한 이들, 뚜렷한 목표가 있고 그를 위해서 이직을 한 이들은 만족스럽게 일을 하고 있더라구요.
이런 결과만 보더라도 이직은 현재의 돌파구가 일시적으로 될 수는 있겠지만, 후회하지 않기 위해서는 철저하게 준비하고 대비를 하고 목표를 세워야 함을 알 수 있답니다.
이 책에서는 이런 점들을 알려주고 있어요.
내가 무엇을 원하는지 정확히 알아야 한다.
이게 가장 중요한 포인트라고 생각됩니다.
이게 우선되어야 그 다음이 진행이 되겠죠.
정말 현재 내가 원하는게 무엇일까?
그 원인을 찾아나간다면, 이직이 나을지 현재 회사에서 남아서 어떤 다른 개선 포인트를 찾는게 맞는지 답이 보인다는거죠.
이를 위해서 이직 우선순위 체크리스트를 작성해보는 내용도 있어요.
이 책에서는 바로 이직에 대한 이야기를 하고 있는게 아니라, 현재의 나를 다시 한번 돌아보고 이직에 대한 구체적인 그림을 그리는 것을 시작으로 하고 있습니다.
첫째 마당, 둘째 마당이 바로 그 이야기인데요.
공감이 되게 많이 가더라구요.
가끔 생각하던 내용들이 책 속에 들어 있어서 말이지요.
![](http://blog.dreamwiz.com/usr/r/o/rose97/178/rose97_20121116011754_13900646_2.jpg)
셋째 마당부터는 앞에서 여러가지 고민 끝에 이직을 결정했다면, 이제 구체적으로 어떻게 해야 하는지를 알려주는 파트입니다.
셋째 마당에서 다섯째 마당까지가 바로 그런 내용이에요.
이젠 초짜 신입 사원이 아닌 경력이지요.
그럼 첫 회사를 입사할때랑은 다른 노하우로 접근을 해야 합니다.
그동안의 경력도 무시못하고 사회생활을 한 이력이 있으니까요.
그에 따른 전략들, 구직 활동, 이력서나 자기 소개서의 작성법, 그리고 가장 어려운 면접.
개인적으로 면접에 아픈 기억이 있어서.. 이 파트도 상당히 호기심 있게 봤습니다.
게다 여성의 경우 출산, 육아 등이 솔직히 한국에서는 많이 아직도 걸림돌이 되잖아요.
이런 내용도 이 책에서 나온답니다.
그리고 연봉협상까지 다루고 있어요. 이거 이거 어려운 내용이잖아요.
그리고 여기서 끝이냐? 아닙니다.
여섯째 마당에서는 바로 이직 후 새 회사에서의 활약을 이야기 합니다.
이직이 성공했다고 끝은 아니라는 거죠.
새 회사에서의 출근 후 한달이 새 직장의 운명을 좌우한다고 합니다.
지금까지 생활했던 곳과는 다른 곳에서 또 다른 사람들과 시작하는 일이니만큼...
파악과 적응하는 기간도 필요하니까요.
게다 기존과 같은 회사에서처럼 행동하면 자신에게도 이직한 의미가 없을지 모르잖아요.
변화된 삶을 추구해가는 모습까지 말합니다.
![](http://blog.dreamwiz.com/usr/r/o/rose97/178/rose97_20121116011754_13900646_3.jpg)
정말 제목대로 이직 상식사전입니다.
현재도 직장에 다니고 있는 제게도 이 안에서 도움이 되는 몇가지를 발견할 수 있었습니다.
꼭 이직에 대한 내용이 아니어도 말이지요.
이직에 대한 막연한 고민만 하고 있는 사람들, 현재 부서에서 어떤 불안한 상황이나 불만 사항들이 있거나 뭔가 돌파구를 찾아보고 싶은 사람들이 보면 도움이 될 책들입니다.
구체적으로 이직을 어떻게 해야 할까? 궁금해하는 분들에게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