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왜 신여성은 구여성과 다른 삶을 살았을까? - 구효부 vs 신문물 ㅣ 역사공화국 한국사법정 55
손경희 지음, 조환철 그림 / 자음과모음 / 2012년 8월
평점 :
왜 신여성은 구여성과 다른 삶을 살았을까? : 구효부 VS 신문물 - 모두 공감되는 여성들. 여성의 삶을 재조명할 필요성이 크다!!!
* 저 : 이정범
* 그림 : 조환철
* 출판사 : 자음과모음
많은 책은 아니지만 자음과모음의 [역사공화국 한국사법정 시리즈]를 보면서 역사에 대해서 다시 한번 생각해볼 시간들을 많이 가질 수 있었습니다.
잘못 알고 있었던 내용도 있고 자세히 몰랐던 내용도 있고, 그러면서 많은 공부들을 해보고 있어요.
이번에 만나본 여성의 삶에 관한 책은 그동안 본 책들과 달리, 여성의 이야기를 그린 내용이라 그런지 더 각별하게 다가왔습니다.
제가 여성이라서 더 그랬을지 모릅니다.
게다 기존에 읽은 시리즈와는 달리, 딱히 어느 한편으로 쏠리지 않더라구요.
전에 읽은 책들은 50:50 에서 한쪽으로 조금이라고 마음이 기우는 쪽이 있었거든요.
그런데 신여성과 구여성은 모두 다 공감이 되는.. 그런 책이었습니다.
신여성:구여성=신문물:구효부=50:50 이라고 해야 할까요?
이전엔 주로 남성의 이야기만 흐르다가 이렇게 여성의 이야기를 다룬, 게다 시대적으로 조선시대 말, 일제 식민지 시대의 여성의 삶을 재조명할 수 있는 시간이라 더 의미가 있었던 책이 아니었나 싶습니다.
여기 두 여성이 있습니다.
어릴때는 친구였는데 삶이 완전히 다르게 진행된 여성이죠.
한쪽은 기존의 방식대로 조선시대 여인의 삶을 산 구효부.
한쪽은 새로운 시대의 방식을 받아들여 교육을 받고 산 신문물.
신여성이라고 하면서 자신의 남편을 빼앗고 교육을 받지 못해 무식하다고 한 이들때문에 억울한 구여성이 고소한 사건입니다.
원고는 구효부요, 피고는 신문물이죠.
어릴때 친구가 적이 되어버린 이야기.
시대가 이렇게 만든 것일까요?
조선 시대 여인들은 물론 남성도 마찬가지지만 집안이 정해놓은 상대방과 얼굴도 모르는 상태에서 혼인을 했습니다.
요즘처럼 연애가 아니었죠.
게다 자손도 귀했고 명이 짧아서 이른 나이에 결혼(조혼)을 하곤 했습니다.
그리고 남성은 본처 외에도 첩이나 후실을 들이곤 했습니다. (왕도 후궁이 많았죠^^;;)
19세기 말에 들어 새로운 문화를 받아들이는 가정도 늘고 사상이 바뀌면서 여성들의 움직임에도 변화가 발생합니다.
책에서 나오는 양반집 부인들이 뜻을 모아 발행한 선언문인 '여성 통문'도 그 중 하나입니다.
<페이지 88, 우리나라 최초의 여권 선언문 '여성 통문' / 1898년 9월 1일 발표>
이런 변화 속에서 당연히 문제가 발생합니다.
누군 구식으로 누군 신식으로, 이렇게 갈릴수밖에 없었지요.
집안의 분위기도 한 몫 하였을 것입니다.
대대로 양반가였던 이들은 아마 구식을, 고관대작이 아닌 낮은 양반이나 중인들의 경우엔 개명한 집안이 많았으리라 여겨집니다.
집안의 이런 분위기 속에서 여성 자신의 의지가 아니라 어쩔 수 없이 교육을 못받고 구여성으로 산 이들도 있었지요.
이와는 반대로 여성도 적극적으로 교육 받고 사회로 진출하는게 가능했던 집안도 있었습니다.
자신의 의지도 중요했지만 집안의 분위기도 구여성과 신여성을 갈랐던 요인 중의 하나였습니다.
이 문제뿐 아니었습니다.
신여성이라고 다 똑똑하고 유식했나?
신여성이라고 다 사회에 자신의 능력을 발휘했나?
구여성이라고 다 무식했나?
구여성이라고 다 배우고 싶지 않았나?
구여성이라고 다 사회에 공헌한게 없나?
기타 질문도 많습니다.
그런데 이렇게 물으면 바로 Yes/No가 답이 나올까요?
얼마전에 읽은 책에 그런 내용이 나옵니다.
어느 할머니 사연인데요.
자신은 글을 모른 상태로 결혼을 했다고 하십니다.
결혼 후 남편이 군대에 갔는데 편지를 계속 써서 보내셨더래요.
부인이 글을 모른다는 사실을 몰라서요.
남편이 오해를 했죠. 자신을 사랑하지 않아서 그런가? 하고요.
휴가를 나왔을때인가 부인께서 자신은 글을 모른다고 말씀하셨더랍니다.
그런데 복귀한 남편은 계속해서 편지를 꼬박꼬박 붙이셨다고 해요.
그리고 할머님은 나이가 많이 드신 후 (기억이 가물한데 60은 훨씬 넘으셨던듯 해요.) 한글을 배우셨고 그제서야 남편이 보내준 편지를 하나하나 읽으셨답니다.
그리고 남편께 편지를 쓰기 시작했어요........
신여성이면서 사치만 부리는 여성도 있었을것이며, 자신의 능력을 제대로 발휘한 이들도 있습니다.
근대 최초의 여성화가이자 여성 운동가 나혜석, 성악가이자 만능 엔터테이너였던 윤심덕 등이 그들입니다.
반면 집안 때문에 신식 교육은 못 받았어도 대대로 내려온 전통 교육을 받아 똑똑하고 현명한 구여성도 많았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역사 대대로 봐도 우리 역사엔 뛰어난 여성들이 많았으니까요.
그래서인가요? 구여성vs신여성을 갈라 서로의 단점을 보이는 부분은 안타까웠고 장점을 내세우는 부분들은 또 눈에 쏙쏙 들어왔습니다.
구여성은 우리 어머니들의 삶을 보는 듯 했습니다.
무려 100여년 전의 이야기들이지만 현재 모습과 그렇게 다르지 않아보였습니다.
자식들을 위해서 희생하고 올바른 교육을 위해서 헌신하신 우리 부모님들.
그 중 구효부의 남편처럼 다른 여인들과 바람을 피우는 가장들도 많았지요.
그리고 그 자녀들인 우리들은 공부 열심히 해서 좋은 일을 하면서 효도하려고 하지요.
그러면서 신문물처럼 커피숍도 가고 자신을 꾸미기에 노력합니다.
구효부vs신문물 이야기는 현재의 모습과도 충분히 오버랩 되면서 비슷합니다.
저도 여성이고 엄마이자 아내, 그리고 또 일하는 사회인이라 그런지 두 여성 모두가 이해가 되었습니다.
그래서 딱 어느 편에 설지가 어렵더라구요.
하지만 이런 내용을 떠나서 이번 권의 소송 건은 명예훼손 건이었습니다.
이에 대한 판결 건은 인정이 충분히 되었습니다.
소송을 진행하면서 다른 시각으로 바라볼때 오히려 더 알아야 할 내용들이 더 많았기에 판결은 판결대로 이해되고 기타 우리가 어떤 생각을 가져야 할지 고민해볼 가치가 많았던 내용이 아니었나 생각됩니다.
오히려 생각할 거리가 많아진 책이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