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해를 품은 달 2
정은궐 지음 / 파란(파란미디어) / 2011년 10월
평점 :
해를 품은 달 세트 - 달달하니.. 짠하면서도 스릴도 있는 조선시대 로맨스물~
유난히 눈에 띄는 아역 연기자들 때문에 '뿌리~' 라는 드라마도 안 보고 이 '해를 품은 달'이라는 드라마를 보게 되었다.
아역 연기자들의 모습 + 성균관 스캔들 작가 소설이 원작이라는 이야기에 더 기대를 품었다.
'성균관 스캔들'(앞으로 '성스'라 표현)의 원작인 성균관 유생들의 나날, 그리고 그 후 나온 규장각 각신들의 나날은 봐야지 하면서도 못보았던 안타까움이 있다.
(어쩌면 드라마 주인공들에 빠져 책은 기대와 다를까봐 걱정이 커서 못 보았을 수도 있다.)
그래서 인지 이 '해를 품은 달' 드라마 1,2회를 보자마다 책을 찾아서 읽어보게 되었다. 원작이 너무도 궁금했기에..
그리고 드디어 책을 다 보았다.
그리고 궁금증이 생겼다.
왜 작가는 시대 배경을 조선으로 했을까?
공간 배경은 왜 궁궐, 성균관으로 했을까?
사실 개인적으로는 참 좋아하는 시대와 배경들이라 만족스럽지만 아마도 이건 취향이기 때문에~ 반응은 다르리라 생각된다.
현대물은 넘쳐나니 조금은 이전 시대, 그리고 가까이 할 수 없는 궁궐이나 성균관을 배경으로 뭔가 조금 더 판타지한 느낌을 주려고 한 것은 아닐지라는 생각을 해본다.
그리고 결국 왕이건 왕비건, 유생이건간에 그들도 인간이고 사랑하고 그냥 평범한 사람들이라는 것을 보여주러 한 것일수도....
이 이야기는 주인공의 현재 시점에서 시작해서 과거 시점 이야기가 들어가 있는 구조다.
조선 시대 왕인 이 훤, 그리고 그 곁을 지키는 운검 운.
그들이 우연히 산 속에서 만난 무녀 월과의 인연을 계기로 아픈 기억을 더듬어 훤과 연우의 사랑 이야기가 펼쳐진다.
개구쟁이지만 그 누구보다 비범한 왕세자였던 훤, 그리고 현재는 왕이 된 그.
시대적 약자인 여성임에도 불구하고 서체도 뛰어나고 학식도 뛰어났던 대제학의 여식이자 왕세자의 스승의 누이였던 허연우.
같은 하늘 아래 왕이 두 개 일수는 없는 법, 시대를 잘못 타고난 왕자 양명.
미모가 하늘을 찌르는 천재 허염.
양명과 염의 친구지만 서자라는 이유 하나로 뛰어난 능력에도 불구하고 항상 마음에 돌을 품고 있는 시대 최고의 검객 김제운.
그리고 해바라기 사랑을 하는 사건사고의 원인 제공자 민화공주.
이들이 펼치는 로맨스는 읽는 사람을 웃고 울고 풀었다 조였다하게 만든다.
얼굴도 보지 않은 남녀가 서체로 사랑에 빠져~
결국 주변의 문제점을 극복, 세자빈에 오르지만 결국 권력에 의해 비극적인 일을 겪는다.
사랑하는 여인을 지키지 못한 훤, 어이없이 죽음을 당한 연우, 그리고 다시 살아나지만 가족은 이미 초토화 된 상태다.
모든 이들이 죽었다고 여긴 연우는 연우를 죽였던 장씨도무녀에 의해 다시 살아나 신딸로 살아가는데...
인연은 억지로 뗀다고 떼어지는게 아니라는 것을 알게된 도무녀나 해각도사는 그녀만이 진정한 달이라고 여기며 지키게 된다.
걸쭉한 말솜씨와 뛰어난 능력을 가진 장씨도무녀, 그리고 외바라기 사랑을 하는 설은 티격태격하면서도 월을 끔찍히 여긴다.
우연인지 인연인지 다시 만난 훤과 월.
연우가 아닌 월에 끌리는 훤은 연우에 대한 미안함과 여러 의문점들을 가지게 되고 액박이무녀로 들어온 월을 계속 보면서 연우 사건을 파헤치게 되면서 슬픔의 나락으로 떨어지는데~
그 가운데에는 여러 비밀들이 들어 있음을, 또한 외바라기 사랑, 죽음, 사랑의 확인 등이 스릴 있게 전개된다.
훤은 왜이리 달달한 것인지..
연우는 왜 이리 똑똑한 것인지..
염은 어쩌나 민화를 사랑하게 된 것인지..
그 가운데서 양명의 결말이 가장 안타까웠다.
반대로 운의 결말은 사랑의 결말은 안타까웠지만 개인적으로는 굉장히 기쁜 결말이었다.
어머니라고 부를때 그 심정과 상황이 전해져 나도 모르게 눈물이 났으니까..
배경만 조선이고 궁궐일 뿐이지...
다양한 에피소드, 얽히고 얽힌 관계, 사랑, 배신, 욕심, 전쟁 등이 섞여 있지만, 결국 사랑이야기다.
한 남자와 한 여자, 해와 달의 깊고도 깊은 인연의 사랑이야기.
사랑 이야기에 푹 빠져보고 싶은 이들이라면 읽어보시길^^
개인적으로는 원작이 드라마보다 훨씬 나은듯 하다.
드라마는 보는 장르라 다르긴 하지만, 책이 더 끌리는건 어쩔수 없는 듯.
자꾸 비교하게 되니 말이다.
하지만 드라마는 전개가 달라 과연 결말을 어찌 낼지가 벌써부터 궁금해진다.
굉장히 맘에 들었던 아역들은 이제 안녕, 성인 이훤과 운만이 드라마를 볼 수 있게 하는 힘인데..
그래서 궁금하다. 어떻게 풀어낼지..
책도 드라마도 모두 흥하길...
작가의 다음 로맨스 소설은 어떨지.. 그 기대도 상당히 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