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공주
한소진 지음 / 해냄 / 2011년 3월
평점 :
품절


정의공주  - 정의공주를 연모하게 되다~



* 글 : 한소진
* 출판사 : 해냄출판사



집 근처에 바로 정의공주와 남편인 연창위의 묘가 있다.
이 글을 쓰고 있는 시점에서야 그 기억을 하다니...
당시엔 자세히 봤음에도 왜 이제서야 기억 났을까...


개인적으로 이런 역사를 바탕으로 한 픽션, 논픽션류를 무척 좋아한다.
역사와 관계된 것이라면 더 말이다.
이전에 작가가 지은 선덕여왕을 보았다. 그 이전엔 미실을 보았고...
선덕여왕이라는 책을 보면서 작가가 굉장히 여성에 대해서 섬세하게 그려내고
조금은 아름답게 순화해서 표현하고 있고, 내용에 몰입하게 만드는거 같다라는 생각을 했었다.
이번에 만난 정의공주 또한 비슷한 느낌이다.
우리 나라 역사에서 비운의 왕이나 왕자들을 다룬 책들은 많다.
하지만 여성에 관해서 다룬 책은 그다지 많지 않다.
조선의 공주들, 미실, 선덕여왕, 덕혜옹주 정도...
그 와중에 만난 정의공주에 관한 책은 내게 한분의 또 다른 숨겨진 우리 역사 속의 여성을 만나게 해주었다.
사실 아이들의 책으로 정의공주를 만났었다.
조선 왕실의 공주에 관한 책으로써 왕실의 법도, 공주의 차림새 등에서 등장하는 공주가 바로 정의공주였었다.



이 책은 정의공주와 함께 한글 창제에 관한 이야기를 하고 있다.
그 가운데서 이루어진 세종대왕과 자녀들과의 관계, 신하들과의 대립, 정의공주 개인사 등이 주를 이룬다.
형의 자리를 빼앗았다는 죄책감으로 살아온 세종, 그는 그 누구보다 백성을 사랑하는 마음이 강했다. 더불어 아내와 아이들을 무한하게 사랑한 왕으로 그려진다. 백성을 위한 마음으로 백성을 위한 글을 만들고자 했던 세종.
소헌 왕후와의 금술도 좋아 아이들도 여럿 나았다. 딸 둘, 아들 8명..그리고 아들과 딸 구분하지 않고 학문의 기회도 동일하게 주고자 했다.
자녀들은 정소, 세자 향, 정의, 수양, 안평, 임영, 광평, 금성, 평원, 영응
그 중 아끼던 큰 딸을 잃고 방황하는 세종의 모습이 많이 보여진다.
어릴때부터 몸이 약했던 세자 향, 학문에는 깊이가 있으나 기가 부족하고 여성에 대한 욕심이 많이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
셋째인 정의. 정소가 죽고 나서 한동안 멀리 했으나 누구보다 영특한 딸로 그려진다. 이두공주라 불리울 정도로 우리 문자, 글에 관심이 많았고, 결국 한글 탄생에 지대한 공을 세우는 이다.
그리고 조카와 여러 충신들과 가족들을 몰살하고 임금에 오른 수양, 무인 기질이 뛰어났던 그는 어릴때부터 아버지의 견제를 받아야 했다. 하지만 누이나 형제들에게는 잘하고 학문적으로도 뛰어나다. 그래서 세종이 더 견제했던게 아닌가 싶다. 자신의 선례도 있었기 때문에...




세종은 한글을 창제함에 있어서 신료들과 함께 하고자 하지만 중화사상이라는 턱에 막혀버린다.
그 와중에 황희의 도움으로 자녀들과 함께 하게 되는데, 그 와중에 모든 자녀들이 각자의 자리에서 많은 노력을 하는데..
그 중에서 여성의 몸이지만 뛰어난 학문적인 지식을 가지고 있는 정의가 두드러진다.
약간의 정치적인 느낌도 드는 혼인을 통해 무인 집안의 아들 안맹담과 혼인을 했으나, 맹담은 그 나름대로 파란만장한 집안일이 있었다.
하지만 정의는.. 정말 생각도 깊고 마음도 넓다. 정말 아름답다라고 밖에 표현할 수가 없다.
사랑없는 혼인에서 아이들은 계속 낳고... 겉으로만 도는 남편을 이해하려 애쓰고 결국 모든 사실들을 떠 안고 이해하여 남편을 돌아오게 만든다.
맹담 또한 변화된 모습을 왕과 부인에게 보여주게 되고, 새로운 사람으로 태어나 정의와 금술은 더 좋아진다. (무려 4남 2녀를 두었다.)
불도를 깨달아 세종에게도 변화된 모습을 인정받고 부마 맹담은 죽성군에서 연창군, 다시 연창위가 된다.
여성으로서 해야 하는 가정 대소사일이 많음에도 불구하고 그 와중에서도 정의는 학문의 길을 계속하고 세종의 자녀들과 신진 학사들의 도움(성삼문, 신숙주 등), 그리고 공주의 결정적인 도움으로 한글은 탄생하게 된다.
하지만 그 누구보다 그 일에 공을 세운 정의는.. 아비와 형제들, 학자들도 인정하는 그녀의 업적은....
여성이 도움이 되어 탄생되었다는 한글에 대한 학자들의 한글 비하로 이어지는 상황과 아버지와 형제들을 위해서 뒤로 남기로 하는데... 그 모습을 보는 아비나 형제들, 신하들 또한 안타까워한다.
이때 맹담은 안씨 집안에 글로써 정의가 한글 창제에 깊은 연관이 있고 많은 역할을 했음을 남기게 된다.

"《죽산안씨대동보(竹山安氏大同譜)》에 훈민정음 창제와 관련된 기록이 있다는 사실이다.
“世宗憫方言不能以文字相通 始製訓民正音 而變音吐着 猶未畢究 使諸大君解之 皆未能 遂下于公主 公主卽解究以進 世宗大加稱賞 特賜奴婢數百口” 즉 세종이 우리말과 한자가 서로 통하지 못함을 딱하게 여겨 훈민정음을 만들었으나, 변음과 토착을 다 끝내지 못하여서 여러 대군에게 풀게 하였으나 모두 풀지 못하였다. 드디어 공주에게 내려 보내자 공주는 곧 풀어 바쳤다. 세종이 크게 칭찬하고 상으로 특별히 노비 수백을 하사하였다."





그 외에도 인상적으로 다가온 내용은, 수양대군에 관한 내용이다.
이 책에서는 그는 무인 기질이 강하고 학문에도 뛰어난 대군으로 그려지고 있다.
한글 창제 후 세종의 죽음, 단종의 비극, 맹담의 사망, 정의공주의 사망까지의 일은 뒷부분에서 아주 간략히 소개되는데... 이 점이 약간은 아쉬웠다.
하지만 주인공은 정의공주이니 내가 너무 욕심을 낸 것일지도 모른다.


지금 우리가 이렇게 글을 읽고 쓰는 것도 다 오로지 백성을 사랑하는 마음으로, 백성들을 위한 글을 만들고자 성심성의껏 공부하고 발로 뛴 우리 조상들이 있기 때문이다.
여성의 몸으로 가정에도 충실하고 공부에도 전념한 정의공주...
그녀에게 또 그의 아버지 세종, 그들의 형제들에게 무한 감사를 드리고 싶다.
또한 역사의 그림자에 가려져 있던 정의공주를 세상 밖으로 보여준 작가에게도 감사하다. 또 한 명의 공주를, 역사에 남겨질 공주를 알게 되어서 말이다.
우리의 선조로서, 여성으로서 가정에서 모범이 되는 아내 상을 보여주고, 딸로서 부모의 마음을 흡족하게 하고, 한글 창제의 큰 공을 세운 학자로서의 면모를 갖춘 정의공주..
앞으로 그녀를 한동안 연모하고 기억하게 될 듯 하다. 그리고 그녀를 잊지 않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