엘 시스테마, 꿈을 연주하다 - 빈민가 아이들에게 미래를 약속한 베네수엘라 음악 혁명
체피 보르사치니 지음, 김희경 옮김 / 푸른숲 / 2010년 8월
평점 :
절판


엘 시스테마 - 영화에 빠져보고 싶어요.


음악을 한다 그러면 그런 생각이 우선 든다. 돈이 많이 들고~ 있는 사람만 한다는 생각..
아무래도 고가의 악기를 비롯 나중에 대학까지 교육비가 드는 것을 생각해보면
엄청난 말들을 듣기에.. 아이들을 시키고파도 쉽사리 맘이 움직이지 않는건 사실이다.
비단 우리 나라만은 아닐터...
하지만 음악이 얼마나 아이들에게 많은 도움이 되는지, 어른들에게도 감성적인 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지 우리는 알고 있다.
태교부터 해서 어릴때부터 음악을 많이 접한 아이들은 확실히 좀 다르기에~
아이들이 크면서도 경험하고 있기에 말이다.
안그래도 큰 아이가 예비 초등생이다.
남들은 피아노다 뭐다 시킨다는데.. 남자아이라 그런지 아직은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지 않다.
좀 커서 하고 싶어할때 도움은 주고픈데.. 그러려면 총알 장전이 많이 필요하다.


엘 시스테마... 영화로도 있는데, 아직 볼 시간이 없어서 보질 못했다.
하지만 꼭 꼭 볼 것이다. 책을 보고 나니 더 보고 싶어진다.

※ 엘 시스테마 :
1975년 호세 안토니오 아브레우가 8명의 젊은 음악가를 모아 창립한 최초의 국립 청소년 오케스트라가 발전해 이루어진 전국 규모의 음악 교육 시스템으로, 정식 명칭은 베네수엘라 국립 청년 및 유소년 오케스트라 시스템 육성 재단(FESNOJIV)이다. 현재 전국 221개의 음악 학교와 500개가량의 오케스트라에서 30만 명의 아이들이 오케스트라 연주를 배우고 있고, 그 가운데 60퍼센트 이상이 사회 경제적 빈곤 계층이다.


이 책은 엘 시스테마에 관해 전반적으로 다루었다.
엘 시스테마의 탄생부터, 엘 시스테마로 변화된 이들, 그리고 변화하고 있는 이들까지...
과거부터 현재까지의 모든 것을 담아내고 있다.

온 가족이 엘 시스테마를 통해 각각 악기를 다루고 있고, 음악 가족인 이들..
잘못된 길을 들어섰지만 엘 시스테마를 통해서 음악의 길을 가고 있는 이들..
가난한 이들은 물론, 방황의 시기에 있는 수많은 유혹에 빠져 위험한 길을 가고 있는 이들에게
엘 시스테마는 기적이다. 엘 시스테마는 베네수엘라에서 기적을 이루었다.


사이먼 래틀(베를린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상임 지휘자)의 여러 에피소드들은 내게도 큰 감동을 주었다.
각종 사진 자료와 함께 과거에 현재까지 이어지는 엘 시스테마에 대해 자세하게 알려주는 책..
베네수엘라의 기적과 가난한 이들부터 국민 대부분이 악기 하나는 다룰줄 아는 그 나라의
멋진 시스템이 가장 부럽게 느껴진 책이다.
그 가운데서 배출된 인재들이 세계에서 인정받고 있는 사실들은 아마도 이미 예견된 일일지도 모른다.
음악을 통한 감동을 느껴보고 싶다면, 이 책과 영화를 보면 참 좋을듯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