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화의 진실 - 조선 경제를 뒤흔든 화폐의 타락사
박준수 지음 / 밀리언하우스 / 2010년 8월
평점 :
절판


악화의 진실 : 조선 경제를 뒤흔든 화폐의 타락사


떳떳 상 常 평할 평 平 통할 통 通 보배 보 寶 자
구멍은 네모지고 사면은 둥글어서
땍대굴 굴러간 곳마다 반기는구나
(- 정랑 박일원의 생각 중 -)



당백전.. 역사 시간에 조선말에 등장하는 단어로만 기억했다.
깊게 파고들어가 왜 그게 문제가 되었던가 고민해본적이 없었는데...
이 악화의 진실에서 말하고 있다. 화폐의 타락을 주제로 하여서 말이다.
최근에 즐겨 읽고 있는 장르인 역사소설, 그중에서 이렇게 경제에 관한 책은 처음이다.
주인공들이 왠지 사도세자 책과 비슷하다.
조사를 하는 강직한 책임자와 그 부하들, 그리고 온갖 비리와 음모에 엮인 주인공들...
내용은 전혀 다르지만 구성이 비슷해서 읽는데 지장은 없던 책이다.
두껍고 조금은 생소한 경제 분야에 관한 책이지만...
살인 사건과 돈의 흐름에 따른 사람들의 목적과 의식이 보여서 그런지 문제가 되진 않았다.


이 책은 두 가지 이야기가 맞불려 나온다. 결국 하나로 이어지는 사건들..
하나는 보민평시소 책임자인 정랑 박일원을 중심으로 이어지는 의문의 독살 사건으로
인해 위조 동전을 파악하고 범인을 찾아가는 과정 이야기가 전개된다.
또 다른 하나는 대원군과 관련된 당백전 이야기다. 여기선 주로 상인들의 이야기가 나온다.
바로 돈에 대한 이야기다.
왕의 아버지는 정치에 관여하지 않았던 과거와 달리, 대원군은 많은 영향력을 끼친다.
경복궁 재건도 그동안 진행되지 못하였으나 그는 실현하게 되고..
그 과정에서 엄청난 돈이 필요하게 되어 백성들의 원성과 조정 대신들의 원성도 받게 된다.
처음엔 그를 좋아했던 민심이, 환영받지 않는 개혁 등의 의지 등으로 인해 다 잃어가게 되는데..
그 가운데서 당백전 발행을 꾀하게 된다.
조선을 좌지우지 했던 김씨 가문의 김병학, 김병국과 함께, 자신의 개혁을 논리정연하게 반대하는 조두순은 무시하고 경복궁 재건 및 당백전 발행들을 꾀하여 국가의 재정을 늘리고자 하나
오히려 반대의 결과를 낳게 된다.


'재화는 그냥 하늘에서 떨어지는 것이 아니라고들 흔히 말하지 않습니까. 이 말은 나라의 형편에 따라 무작정 근거도 없이 동전을 찍어낼 수는 없다는 뜻이기도 합니다. 동전을 주조한다는 것이 무슨 뜻입니까? 나라에서 세금을 거두어들이겠다는 뜻 아닙니까. 그러니 결국 당백전을 주조한다는 것은, 백성들에게 그들이 감당하지 못할 세금을 내도록 강요하는 격이 되겠지요. 아마 몰라도 백성들의 생활은 파탄이 나고 말 것입니다.' (P198)

'..당백전은 액면이 높기 때문에 조금만 발행하더라도 통화량이 크게 늘어 물건 값이 마구 뛰게 될 것이요. 그렇게 되면 당초 의도와는 달리 백성들의 생활이 나아지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더 궁핍해질 것입니다.....' (P201)



나징하를 중심으로 해서 송파장 객주들을 망하게 하려는 행동(처음엔 낮은 이자에서 어음 발행, 높은 변리 등),
당백전의 발행을 건의하여 먼저 판세를 파악했던 홍중오 의 이야기를 통해,
조선 말 시대의 경제 흐름을 알수 있었다. 책 뒷편엔 조선의 화폐발행 연표도 있다.
뭐든 먼저 파악하고 기회를 잡는 이들에게 성공의 길은 찾아온다.

시대는 조선이나 현실을 보고 있는 듯한 착각도 일으킨다.
화폐의 타락이 가져온 조선의 위기..
진심으로 자신들의 이익이 아닌 백성을 먼저 위했다면 당백전은 발행되지 않았을수도 있다.
몇몇 이들의 여러 이권에 대한 결과로 인해, 결국 가난한 백성들만 망한 것이다.
자신이 이득을 남기고자 하면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는 이들..
당백전의 폐단을 알고 있으면서도 잠시의 이익에 눈이 어두어 발행을 강행했던 사람들...
과거의 경험을 제대로 알아, 현재 미래엔 같은 실수를 반복하지 않았으면 하는 바램을 가져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