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현
김인숙 지음 / 자음과모음(이룸) / 2010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소현

조선의 세자 중에 왕이 되지 못하여 가장 안타까운 마음을 가지고 있던 소현세자...
억울한 죽음을 당한 그가, 너무나 안타까웠지만 그에 관해 따로 읽은 책은 없었습니다. 수업시간에 배운 역사이야기, 다른 책들에서 잠시잠시 본 이야기밖에는 말이지요.
그를 주인공으로 한 책은 이 책이 처음이었습니다.
처음이 어릴때 이야기로 시작하지 않습니다.
그의 마지막 2년 이야기이므로, 청에 볼모로 잡힌 한참 뒤의 이야기들이 주를 이룹니다.
그 가운데서 청의 변화를 직접 보고 겪는 세자와 그의 주변의 사람들 이야기입니다.


병자호란에서 조선이 지고, 임금이 적군에게 항복, 세자는 볼모로 청국에 끌려갑니다.
임금의 첫 아들이지만, 그는 볼모 역할 외엔 세자로서의 역할은, 시대 때문에 할수가 없었습니다. 적국에서 8년동안 보내요.
조선이 숭배하던 명은 멸망하고 청이 승리하는 순간을 세자는 목격합니다. 그 가운데서 자신은 어떻게 해야 하나, 많은 고민을 했을거에요. 남의 나라, 적의 나라에서 자신은 그리 보내고 고국을 그리워 하지만, 볼모로 끌려갈때 울어주시던 아비는 차츰 자신을 의심하고 울어주기는 커녕 따뜻한 말 한마디 해주시지 않습니다.
고국에서 들려오는 소식은 모두 자신을 점점 더 의심해 가는 이야기들 뿐이지요.
세자와 그의 바로 아랫동생 봉림대군, 대신의 질자로 같이 온 심석경, 그리고 조선 종친의 딸로 포로로 끌려왔으나 대학사의 둘째 부인이 된 흔, 무녀 막금, 상인 만상, 심석경의 아비 심기원 등...
세자와 주변인들은 청에서, 자신의 위치에서 다양한 방법으로 살아가고 있습니다.
청의 황제의 권력 변화도 세세하게 다뤘으며, 전쟁의 참혹함도 나옵니다. 자신의 백성들, 그들의 왕이 될 소현세자는, 그래서 가슴이 아픕니다. 언제 고국으로 돌아가게 될지 모르는 상황에서, 과연 그가 적의 나라에서, 고국의 사대부들, 또 왕에게까지 의심을 받으면서, 어떻게 버티고 견뎠을지, 그 외로움과 슬픔이 안 쓰럽습니다.
그의 아내 빈궁, 또 원손들은 어찌한가요.
아비의 얼굴도 모르고 자라서 환국할때만 잠시 보는 아들...
이 모든게 얼마나 안타까운 현실인지...


소현은.. 말을 조심합니다. 상황이 상황이니만큼 조심하고 또 조심하죠.
용기도 있습니다. 자신이 고국에 가면, 어떤 왕이 되겠다라는 뜻이 있었을 테지요.
하지만 그는, 고국에 들어온 뒤 2달 뒤에 사망합니다. 아내 강빈 또한 한해 뒤에 세상을 뜨고,
어린 세 아들도 유배형에 처해져, 굶어죽습니다. 겨우 제일 큰아들이 12살인 나이에 말이지요.
아까운 죽음이고 의심스런 죽음이고, 그가 만약 왕이 되었다면, 조선의 정치 방향은 어떻게 바뀌었을지 궁금해집니다.
아니, 왕이 안되었어도 목숨만 부지해서 살았다면, 억울한 누명을 쓰고 죽은 강빈과 세 아들들이 너무 안타깝습니다.
동생과는 다르게, 청을 무조건적으로 싫어하지 않고, 배울건 배우자 하는 주의 였던 소현,
아버지가 아들을 의심하지 않고 믿었다면, 억울한 죽음은 없었을테지요.
가족의 사랑도 많이 느끼지 못하고, 가족도 모두 잃은 소현이 너무나 안타까웠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