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HAT 왓? 7 왕사마귀의 천적은 누구일까? WHAT왓? 자연과학편 7
이상배 글, 백명식 그림 / 왓스쿨(What School) / 2001년 3월
평점 :
절판


WHAT왓? 왕사마귀의 천적은 누구일까? - 세가지 각각 다른 이야기^^



이번 자연과학편은 3가지 이야기가 담겨있습니다.
기러기와 목화, 사마귀 이야기에요.



※ 기럭 기러기야 어디서 날아오니

기러기는 따뜻한 곳을 찾아 날아다니는 철새에요.
추운 지방이 고향인데 겨우렝 우리 나라로 오는 것이랍니다.
이 파트에선 왜 기러기들이 >   < 자로 날아다니는지 궁금증을 가지고
답을 알려줍니다. 사실 저도 궁금했어요. 당연한 거라고 생각을 했는데..
어렸을때 들어본거 같기도 하고...
(서로 날개를 부딪히지 않고 잘 보고 날아가기 위해, 또 적에게서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그리 날아간대요~)


기러기들은 무려 3000킬로미터를 여행해야 한다고 합니다.
얼마나 힘들까.. 도저히 감이 안 오는 거리에요.
서울서 부산이 400정도 되죠? 그거의 거의 8배.. 와...
힘들지만 그래도 나아가는 기러기들...


 기러기들은 한 번 짝을 맺으면 죽을 때까지 같이 산다고 해요.
그래서 외기러기가 없대요.
아하! 우리나라 전통 혼례식때 목기러기를 사용하는 이유입니다^^ 










※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꽃, 목화라네

향기나는 꽃이 제일 이쁘다는 딸 둘, 한 아이는 목화꽃이 제일 이쁘다 하여 아버지는 묻습니다.
왜??
꽃이 지고 나면 목화는 솜으로 이불도 만들고 옷도 해 입을수 있으니까요.
그 딸은 속이 깊고 지혜로와 지체 높은 가문에 시집을 가 훌륭한 어머니가 되었다고 합니다.


목화는 꽃이 아니고 목화송이라고 합니다.
문익점이 가지고 들어온 후로 우리 나라에서 목화로 옷을 해입게 되었지요.
목화의 전설 이야기.. 재미나답니다^^


 목화씨는 어디에 열려 있을까요?
→ 목화 열매가 익으면 껍질이 터지고 하얀 솜이 피어납니다.
씨는 목화송이 속에 박혀 있습니다.
그래서 목화를 따면 제일 먼저 씨는 빼내는데, 이 기구를 씨아라고 부릅니다.





※ 풀숲의 사냥꾼 왕사마귀

어릴적에 시골가면 메뚜기도 잡고 개구리도 잡고... 방아깨비도 보고 그랬는데...
재미난 추억이 많아요. 요즘은 잘 보이지도 않지만요.
이 책에선 허물을 벗는 그림도 보여줘요.
몇번을 어떻게 벗는지 말이지요.
당당한 사냥꾼의 모습으로 나타난 사마귀..무법자가 됩니다.

그리고 엄마와 아빠가 짝짓기를 하곤 엄마가 아빠를 먹어요.
알을 낳기 위해 영양 보충을 하는 것이랍니다.


 사마귀들은 어른 벌레가 되기 위해 몇번 허물을 벗을까요?
→ 6~7번, 벗는 시간은 5분이 걸려요.




▶ 한 책으로 다양한 세가지 이야기를 보게 되어 너무 흥미로와요.
목화 이야기는 인물 이야기에서 문익점을 더 자세히 보면서 아이와 공부도 할 수 있었구요.
사마귀와 기러기는 자연관찰 실사 책을 함께 보면서 보았답니다.
아직 사마귀를 본적이 없는 아이들에게 언제 한번 보여주러 가야겠어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