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장 이성에 대한 부분을 다시 읽지 않을 수가 없다.
평생 책을 읽고있는 내게 사실 이성이란 존재는 평상시에 귀찮고, 지루한 이야기에 불과했다. 가능하면 새특한 인물들 니체, 모택동, 프로이드, 칼 막스, 사르트르, 피카소, 푸코, 카뮈 같은 사람들에게 빠져 있었다. 그들이 이야기에는 생명, 주체할 수 없는 어떤 것에 몰입하는 그 무언가가 있었다. 그들과 이성이 어떤 관계가 있을 까?
그런데 요즘 책을 읽으면서 드는 생각? 삶에 대한 고민, 어떻게 살아야하는가, 왜 살아야하지, 진리는 무엇인가, 이게 질문으로서 가치가 있을까?하는 의문이 꼬리에 꼬리를 문다.
질문자체가 잘못된게 아닌가 하는 의문, 이런 고민을 한다는 것 자체가 아직까지 깨닫지 못한 뭔가가 있다.
평생 전라도라는 지역적 한계에서 벗어나지 못한 나는 중1에 광주에서 그 일을 직접보았고, 정치적 대안으로 어렸을때부터 김대중이라는 인물에 환호하는 사람들이 너무나 당연했고 그런 모습이 내게 나도 김대중을 지지해야 한다는 생각을 자연스럽게 하였고, 최근에는 조국이라는 양반덕택에 내가 선호하는 것에 대한 의문을 던져보고 있다, 작년 총선에서는 얼마전 구속기소되었던 국회의원을 아닌것 같은데도 불구하고 민주당을 지지해야 한다는 책임감으로(?) 찍은 사람이다.
핑커는 말한다 "정치적부족주의가 오늘날 가장 음험한 형태의 부조리라는 발견은 아직도 새롭고그리 널리 알려지지 않았다. 실제로 아주 세련된 사색가들도 여느사람들처럼 정치적부족주의에 저도 모르게 감염되어 있을 수 있다"
정치적 부족주의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