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바보 똥개 뽀삐
박정윤 지음 / 엔트리(메가스터디북스) / 2015년 2월
평점 :
절판
『바보 똥개 뽀삐』를 읽고
사회에 진출하여 주고 도시에서 생활하다 보니 개나 고양이, 소나 돼지 등을 키우거나 볼 수 없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 이전에 시골 농촌에서 자랄 때는 이런 동물들과 항상 함께 하면서 먹이를 구하고, 먹이고, 생활 속에서 함께 했던 추억을 갖고 있다. 그러나 벌써 도시에서 그리고 대부분을 아파트라는 공간에서 생활하다 보니 이런 동물들과는 먼 관계가 되어버렸다. 가끔씩 만나는 동물 들을 볼 때면 반갑기도 하지만 그렇게 친밀하다는 생각이 들지 않는 것은 그 동안의 소원했던 것이 원인이 아닐까 생각해본다. 산책을 하거나 운동을 하러 아파트 광장이나 가까운 야산에 갈 때면 주로 강아지를 데리고 오는 사람을 만나게 된다. 물론 임자 없는 고양이도 자주 보게 된다. 사람과 똑같이 친밀한 모습에서 동물과 사람간의 관계에 대해서는 생각해볼 때가 있다. 부럽기도 하지만 조금은 이상하게 들 때도 있다. 바로 이런 동물들과 함께 하면서 있었던 이야기들을 저자는 담고 있다. 수의사로서 즐겁게 행복한 생활을 하는 모습에서 철저한 직업 정신을 느낄 수 있다. 역시 동물도 우리 사람과 똑같이 생명력이 있고 정감이 넘친다. 얼마든지 서로 소통할 수 있는 존재이다. 이 소통은 해보지 않고서는 알 수 없는 정말 신기한 모습이다. 바로 그 동물들과 일상을 생활하는 수의사로서의 생활 이야기이기 때문에 동물들을 이해하고 가까이 갈 수 있는 따뜻한 이야기들로 가득하다. 사람과 다른 동물과의 서로 대화를 나누면서 생활의 활력을 함께 할 수 있다면 이것이 결국 다른 사람과의 더 나은 관계로 이어지기 때문이다. 내 자신 솔직히 지금까지 오래 동안 이런 동물들을 대하지 않았기 때문에 서로 소원한 것이 사실이다. 그런 내 자신에게 옛날 어렸을 적의 추억과 함께 새롭게 동물들에 대한 관심을 갖게 만들고, 앞으로 기회가 주어진다면 함께 할 수 있도록 해야겠다는 생각도 갖게 하였다. 동물들도 우리 사람과 똑같이 강한 생명력과 가족력을 갖추고 있다 할 수 있다. 우리들이 어떻게 대하느냐에 따라서 그대로 반응한다는 사실이다. 결국 우리 사람의 관계와 생활이 같다는 결론이다. 조금은 밑으로 보고 함부로 하려는 일부 사람들의 모습도 이 책을 계기로 확실하게 바꾸는 특별한 계기로 만들었으면 좋겠다는 생각도 들었다. 저자는 SBS 「TV 동물농장」 자문 수의사 역할을 했던 뭔가 더 다른 모습의 동물들과의 생활 이야기를 가득 담은 저자 첫 번째 에세이 작품이기에 더욱 더 정감이 간다. 사람과 동물이 함께 그려내는 아름답고 소소한 풍경을 통해서 우리의 생활을 더욱 더 풍요로우면서도 즐겁게 생활할 수 있었으면 한다. 함께 살아가는 그 모습들이 너무 멋지다. 서로 주고받은 사랑의 모습이 이 사회를 훨씬 더 따뜻하게 함은 물론이고 더욱 더 자신의 소중한 꿈을 향해 더욱 더 힘차게 도전할 수 있게 하리라 생각하면 일독을 권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