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리더십, 선비를 말하다
정옥자 지음 / 문이당 / 2011년 4월
평점 :
절판


 

『한국의 리더십, 선비를 말하다』를 읽고

리더의 위치는 대단히 중요하다. 한 조직에 있어서 지대한 영향을 끼칠 수가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좋은 리더가 되기 위한 나름대로 노력을 열심히 해 나가야 하는 것이다. 그런데 우리나라 역사 속에서도 이런 리더의 역할을 했던 계층이 있었으니 바로 조선시대의 선비들인 것이다. 조선은 유교 사상을 국교 이념으로 하면서 유학을 신봉하게 된다. 그것을 제일 앞장서서 이끌었던 인물들이 유학자, 즉 선비였던 것이다. 따라서 선비는 대나무과 같은 곧은 절개와 지조를 가지고 있어 저절로 품격이 느껴지는 계층이었기 때문이다. 아울러 상투머리의 모습에, 복장도 단정한 한복에 사랑방 온돌 책상 앞에 고고하게 앉아서 서책을 읽는 모습을 떠올려보면 역시 이 시대에 있어서는 가장 앞서가는 사람들이었던 것이다. 그러나 그 반면에 어떤 변화에는 매우 보수적이고 답답해 하는 면도 있어서 마치 양면성을 지니기도 하였다. 똑똑하고 가장 아는 지식이 풍부한 젊은 층에서 노련한 층에 이르기까지 선비의 역할을 생각해보는 시간이 되었다. 우리는 역사에서 많은 것을 배울 수 있어야 한다. 왜냐하면 역사 속에는 다양한 사람들의 많은 이야기가 담겨 있기 때문이다. 바로 이런 측면에서 조선시대 양반, 즉 선비에게서도 많은 것을 배울 수가 있는 것이다. 학문하는 자세를 포함하여 인간적인 면에서도 다시 한 번 접근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정말 저자가 오직 국사학계에서 많은 경험과 함께 지도하고 근무한 대학교, 연구 기관 등에서 연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그 느낌들을 진솔하게 그려내고 있어 매우 감동적으로 다가왔다. 아울러 나중에 이런 식으로 글을 써서 책을 만들어 내려는 내 자신에게 있어서는 하나의 모범이 될 정도로 좋은 글들이 많아서 앞으로 두고두고 곁에 두고 읽으면서 배우도록 해야겠다는 생각도 하였다. 이래서 좋은 책을 읽는 독서 활동은 매우 의미가 있는 생산적인 시간이라고 단언을 해본다. 조선 시대 지식인의 모습, 그 속에서 배우는 리더십이라는 주제였지만 저자의 역사학자와 대학교 교수 생활을 통해 얻어낸 경험담 등을 바탕으로 앞으로 나아가야 할 부분 등에 대해서 꼼꼼하게 담겨져 있어서 이 책을 읽은 사람으로 하여금 많은 것을 생각하게 해주고 있다. 아무래도 이런 부분에 대해서 연구하는 사람들이 그리 많지 않다는 생각을 하곤 한다. 많은 후학들이 이런 우리 역사에 대한 지대한 관심과 연구에 몰두하여 더 새로운 것을 발견해내는 시도를 해주었으면 하는 바람도 가져보았다. 계속적인 연구를 통해서 우리 역사학계의 어른으로서 더 중대한 역할을 해내리라는 기대를 해본다. 선비 정신을 통해서 계속적인 학문의 전통과 함께 새로운 리더십을 이어갈 수 있는 그런 계기가 되는 뜻 깊은 시간이 되었으면 하고 바래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