꿈의 도시
오쿠다 히데오 지음, 양윤옥 옮김 / 은행나무 / 2010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꿈의 도시』를 읽고

‘유타’ ‘메카타’ ‘노카타’라는 세 개의 읍이 합병해 새로운 도시가 탄생한다. 그 새로운 도시 이름이 바로 각 읍의 앞 글자를 따서 ‘유메노’가 되었고, ‘유메노’는 일본어로 ‘꿈의’라는 말과 소리가 같아 시에서는 ‘꿈의 도시’를 모토로 삼고 인구 12만의 시민들과 함께 힘차게 출발하는 의미로 삼는다. 그런데 도시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의 모습들은 이런 ‘꿈’과는 거리가 멀다. 상점가의 작은 가게들은 모두 망해 문들 닫았고, 정치가들은 제 잇속을 차리고 큰 도시로 떠날 심산을 하고 있다. 젊은이들은 하나둘씩 대도시로 떠나 집에 남은 건 노인들뿐이며, 그나마 남아 있는 젊은이들은 생활보호비를 받아 놀고먹을 궁리만 하고 있다. 이혼율은 급증하고, 젊은 주부들은 매춘에 나선다. ‘유메노’시의 멋진 미래의 그런 이름인 만큼 도시에서 살아가는 사람도 꿈과 희망이 가득 찬 나날을 보내야 당연할 것 같지만 그렇지 못하다. 바로 그것은 작가의 멋진 상상력이다. 일본이나 우리나라도 마찬가지이다. 개발이 빠르게 이루어지고, 도시화가 신속하게 만들어지면서 변화되는 속성들이 바로 이 소설에서 그대로 보여주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현재의 편안하고, 풍요롭고, 편리한 도시 문화에 익숙하여서 잘 알지 못하는 젊은 층이나 학생들에게는 우리 도시화가 이런 과정을 거쳐서 이루어졌구나 하는 생각을 갖게 해주는 데 좋은 교훈이 되는 것 같아서 매우 의미가 있었다. 그렇다고 하면 자연스럽게 불거지는 많은 엉뚱한 이야기들, 즉 급변하게 변화하는 과정에서 있을 수 있는 일들 중에서 5가지 상황을 설정하여서 다섯 명의 주인공들을 번갈아 등장시키면서 이야기를 전개하고 있는 것이다. 유메노시에 살고 있으나 서로 알지 못하는 시청 공무원, 여고생, 사기 세일즈맨, 슈퍼마켓 보안요원, 시의회 정치가 등 다른 나이, 다른 직업에 속해있는 그들에게 공통분모를 찾아내는 건 그다지 쉬운 일이 아니다. 그러나 역시 소설속의 이야기이지만 우리가 염두에 두어야 할 것은 그들이 살아가는 세상이 현실과 크게 동떨어져 있는 이야기가 아니라는 점이다. 어쩌면 작가는 가상의 ‘유메노’시를 통해 현재 일본 지방 소도시들이 가진 문제점들을 그려내고 있다고 보아도 좋을 것이다. 대기업의 횡포, 젊은 인력의 대도시로의 유출, 불균형적인 발전, 심해지는 빈부의 격차 등등 우리나라와 거의 일치하는 이런 문제들에 대해서 경고하는 등의 소설로서 사회적인 책임의 역할도 충분히 해내고 있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다섯 명의 각자 인생 이야기 같지만 하나로 완성되어 가는 모습에서는 역시 노력한 작가의 매력이라 할 수 있다. 역시 훌륭한 작가는 이런 면에서 많은 독자를 거느리게 되고, 인기를 누리는 것이 아닌가 생각을 해보았다. 모처럼 재미있는 소설을 읽게 되어서 즐거운 시간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