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악원, 우주의 선율을 담다 - 처음으로 읽는 조선 궁중음악 이야기
송지원 지음 / 추수밭(청림출판) / 2010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장악원, 우주의 선율을 담다」를 읽고

만약 우리 생활이나 개인에 있어서 음악이 없다면 어떻게 될까? 하고 생각해본다. 물론 생활해 나갈 수도 있겠지만 생활의 활력 면이나 성과 면에 있어서 엄청난 차이가 날 수밖에 없을 것 같다. 내 자신도 개인적으로 솔직히 음악에는 전혀 문외한이다. 음악 감상은 물론이고 직접 부른 노래도 완전 음치에 해당된다. 그러나 주변에 음악이 있으면 왠지 기분이 좋은 감정을 가질 수가 있고, 특히 음악을 좋아하는 사람들은 생활에 엄청난 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가 있다. 요즘 젊은 학생들에 있어서 거의 대부분이 MP3나 핸드폰의 기능 등을 통하여 언제 어디서나 음악을 가까이 하고 있는 모습을 보아도 쉽게 알 수가 있다. 이런 음악의 역사는 언제부터일까? 역시 우리 인류의 역사와 함께 시작되었을 것이다. 그러다 보니 세계 어느 곳이든지 그 지역에 맞는 독특한 음악과 악기들이 형성되고 만들어져서 연주되고 있는 것이다. 얼마 전에는 한국과 아세안 국가 11개 국가들의 독특한 악기들이 하나로 모여서 한 아세안 오케스트라 연주가 있어 참여한 적이 있었다. 정말 우리와는 전혀 다른 악기들이었지만 소리와 음악은 공통적으로 우리들의 마음을 적셔주는 순수함과 함께 그 나라 민족의 감정을 느낄 수가 있어서 정말 좋은 기회를 가졌었다. 역시 우리가 직접 이렇게 체험으로 얻을 수 있다는 것 자체가 너무나 좋았던 것이다. 우리나라는 반만년의 역사를 가진 세계에서 그 유례가 보기 드문 국가이다. 그러다 보니 음악 분야에서도 오랜 역사를 가진 음악과 악기들이 많이 계승되어 발전되면서 연주되고 있다. 바로 이런 음악들이 최종적으로 집대성되고 하나의 고유 우리 음악으로 만들어진 것이 바로 조선왕조이다. 그리고 음악을 총 관장하는 기관이 바로 장악원이다. 따라서 장악원의 이야기는 바로 조선 시대에 있어서 펼쳐지는 재미있는 궁중음악 여행이 되었다. 솔직히 그 동안은 민간에서 불리 워 지는 음악에 비해서 왠지 낯설고 멀게만 느껴졌던 궁중음악이 우리 대중의 눈높이로 다시 태어날 수 있도록 상세하게 유학의 상징인 예와 음악의 상징인 악의 앙상불로 우주의 선율을 담아낸 선조들의 멋스러움을 느낄 수가 있어 매우 흥미로웠다. 조선을 대표하는 맹사성, 박연, 성현, 임흥, 정렴, 허억봉, 허의, 한립, 이연덕, 김용겸 등 10명 뮤지션의 음악 열정에 관한 이야기와 그에 따른 재미있는 일화와 함께 읽는 가야금, 거문고, 해금, 아쟁, 앙금, 피리, 비파, 대금, 생황 등의 악기 열전 이야기도 재미가 넘쳤다. 조선시대 궁중에서 음악을 빼놓고는 도저히 이야기를 할 수 없을 만큼 막강한 영향력을 가졌던 궁중음악에 관한 많은 상식 공부를 할 수 있어서 정말 의미 있는 시간이 되었다. 그리고 우리 음악에 대해 더 많은 관심을 갖게 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