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는 철학, 답하는 종교
하카리 요시하루 지음, 김청균 옮김 / 어문학사 / 2009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묻는 철학, 답하는 종교』를 읽고

철학과 종교, 솔직히 내 자신에게 조금 어렵게 느껴지는 개념이다. 철학은 왠지 광범위하여서 이해하기가 어렵고, 종교는 내 자신이 종교인이 아니기 때문에 솔직히 그 원리를 이해하는 게 어렵게 생각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철학과 종교는 우리 인간이 살아가는 데 있어서 절대 놓칠 수 없는 중요한 명제임에는 틀림이 없다. 그래서 이 지구상에 수많은 사람들이 철학과 종교에 지대한 관심을 갖고, 바로 이 시간에도 철학적인 관심과 함께 종교적인 시간과 함께 다양한 활동이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러한 철학과 종교관이 투철한 사람들의 생활은 뭔가 다르다는 것을 바로 느낄 수가 있다. 나름대로 많은 준비와 독실한 바로 인간에 대한 지(智)의 탐구의 철학과 인간에 대한 믿음(信)의 탐구의 종교는 우리 인간에게 있어서 절대적으로 중요한 진리를 제공하고 있는 것이다. 세계에는 각 지역에 따라서 수많은 종교가 존재하고 있다. 그러나 그 중에서 가장 많은 신도수와 넓은 지역에서 많이 신봉하는 종교는 기독교, 불교, 이슬람교의 3대 종교이다. 가장 활발하면서 많은 지역에서 많은 신도들이 참여하고 있기 때문이다. 우리 주변에서도 얼마든지 목격할 수 있을 정도이다. 그렇다고 한다면 왜 수많은 사람들이 이런 종교에 의존하게 되면서 그 신앙과 절대자에 대해 이야기하고 인간의 삶에 구제의 길을 원하고 있는지 알아야 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이런 종교가 완벽한 사상인지 비판의 여지는 없는지도 따져볼 필요도 있는 것이다. 황금만능주의 사상과 편리함을 최고로 추구하는 물질문명이 고도로 발달하면서 오직 이기주의의 발로로 인한 이 사회에 과연 인간의 존재와 가치의 확실성이 상실된 이 사회에 종교가 그 역할을 제대로 해줄 것인지도 알아보아야 할 필요가 있다. 이런 여러 가지 궁금증을 해결하는 데 이 책을 한 몫을 단단히 하게 해준다. 철학적 관점에서 여러 궁금증을 묻게 되면 종교적인 관점에서 근원적인 지식을 제공하면서도 철학적인 함의를 음미하게 해주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책을 읽게 되면 지금까지 철학과 종교라는 중요한 개념이 확립이 되면서 앞으로의 방향까지도 제시받을 수 있어 너무 좋았다. 인간성 회복과 함께 주요 종교에서 제시하고 있는 사랑과 자비와 평등 등의 우리 인간에게 있어서 보편적인 진리와 함께 철학적인 접근을 할 수 있도록 해주기 때문이다. 많은 종교인들이 자기 종교만이 최고라는 편협적인 아집에서 벗어나 철학적이고 종교적인 관점에서 서로 화합하는 모습을 나아갔으면 하는 바람도 가져보았다. 그리고 이 지구 온 인류가 서로 한 마음으로 어깨를 같이 하며 같이 나아갈 수 있는 상생과 화합의 한 마당으로 발전이 되었으면 하는 기대를 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