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브 차일드
김현영 지음 / 자음과모음(이룸) / 2010년 4월
평점 :
절판


 

『러브 차일드』를 읽고

“러브 차일드” 라는 제목을 보고 이 소설은 차일드 즉 어린 시절과 사랑의 과정을 통해서 전개되는 인간의 따스한 마음을 표시한 그런 소설처럼 느껴졌다. 왠지 매우 부드러운 그런 소설로 말이다. 왜냐하면 대부분의 소설 제목과 본문과는 매우 밀접한 관계가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런 기대와는 다르게 우리 인간의 매우 어두운 미래의 모습을 담고 있었고, 왠지 현재의 모습에 대한 비판 및 경고성을 담은 소설이었다. 많은 사람들 대부분이 미래를 밝게 보고 있는 것에 대하여 이 소설은 그러한 미래 사회를 지향하기 위해서 우리들이 미리부터 준비 해 나가야 할 자세에 대해서 언급하고 있는 내용이었다. 정말 우리의 현실을 주변에서 찾아보아도 여러 면에서 병적인 증세를 느낄 수가 있다. 점차 늘어만 가는 노인 문제 하며, 건강 보험 문제, 그리고 인간성의 상실 등으로 인하여 점차 메말라 가는 현실 사회, 늘어만 가는 이기주의 만연 등 해결해 나가야 할 문제가 산적하고 있기 때문이다. 정말 잘못하게 되면 소설에서 표현한 것처럼 우리 인간이 마치 쓰레기처럼 되어서 결국 폐기물로 처리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런 폐기물들은 결국 흡혈귀가 된다고 한다. 자라는 동안에 부모의 피를, 늙어선 혈세를 수용 받아야 한다. 결국 우리들은 인간이거나 혹은 인간이 아니거나 둘 중 하나에 속해야 하는 것이다. 얼마나 끔찍한 상상인가? 미래 사회가 이렇게 된다면 어떤 희망을 가지고 살 것인가 고민해보아야 할 일이다. 모두 다 이 세상에 태어나서 존엄한 인권을 갖춘 귀한 인간인데 필요 없는 인간이라고 폐기물로 처리하는 세상이 된다니 도저히 상상할 수 없는 일인데도 불구하고, 한편으로는 ‘정말 그런 미래가 다가오면 어쩌나...’ 라는 두려움도 생길 수밖에 없었던 것 같다. 아이를 낳는 여자는 그저 아이를 낳는 로봇기계일 뿐이고, 나이를 먹은 노인들은 쓸모없는 취급당하고, 신체적으로 어딘가 아픈 사람들 또한 폐기물 취급하는 미래의 모습이 된다면 무슨 희망으로 이 세상을 살아갈 것인가 생각해본다. 바로 이러한 소설 속의 모습이 오지 않으리란 법은 없으니 지금부터라도 충실하게 이런 세상에 대한 준비를 해 나가는 것이 어떨까 하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지금 당장은 아니지만 앞으로 다가올 미래는 불투명할 수밖에 없을 것도 같다. 그건 전적으로 지금 살아가고 있는 우리들에게 달려 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그 어떤 누구도 지금보다 어두운 미래는 원하지 않을 것이다. 내 자신을 포함하여 모든 사람들이 밝으면서도 찬란하게 빛나는 최고의 미래 모습을 원하리라는 것은 명명백백하다. 따라서 각 자에게 주어진 책임에 대한 충실한 삶을 통해서 주어진 멋진 현재 시간을 창조해 나갔으면 하는 바람을 가져본다. 특별한 의미를 담은 소설이어서 좋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