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죽도록 사랑해도 괜찮아
김별아 지음, 오환 사진 / 좋은생각 / 2010년 3월
평점 :
절판
「죽도록 사랑해도 괜찮아」를 읽고
정말 좋은 글을 쓴다는 것은 얼마나 행복할까? 를 생각해본다. 왜냐하면 내 자신도 글을 써보고 싶다는 생각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그런지 책을 좋아하면서 평소에 가까이 하고, 독서 시간을 많이 갖고 있다. 아울러 책을 읽고 나면 느낌 등 소감을 꾸준히 적기도 하고 있다. 그러나 역시 가장 중요
한 것은 좋은 책을 많이 읽는 것이라고 믿고 있다. 이런 좋은 책을 통해서 꾸준히 관심과 연습을 해나가노라면 언젠가는 분명히 좋은 글로 이어지리라는 생각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글에는 여러 가지 종류가 있다. 고도의 전문적인 문장기술과 창의력이 요구되는 소설과 시작품이 있는가 하면, 평소의 생활 체험을 바탕으로 하는 수필 작품들이 대표적인 것 같다. 우선 내 경우는 수필 작품 쪽으로 생각하고 있다. 좋은 작품을 남기기 위해서는 역시 다양한 체험과 함께 이 체험을 글로 잘 승화시켜 나가는 남다른 훈련을 해야 한다는 사실을 명심하고 있다. 바로 이러한 내 자신에게 좋은 충고가 되는 것이 훌륭한 작가들의 글들인 것이다. 미실, 논개, 백범 등의 소설 작품을 쓰면서 왕성한 작품 활동을 하고 있으면서도 신문 등 매스컴에도 좋은 글을 연재하고 있는 저자의 에세이기에 더욱 더 관심을 갖고 읽을 수가 있었다. 역시 작가는 다르다. 벌써 어떤 주제에 대한 내 생각하고는 완전히 다른 모습을 접근해 나가는 모습들에서 그저 감탄이 나올 뿐이다. 바로 이런 과정에서 내 자신도 모르게 그 만큼 성숙되어 간다고 생각할 때에 그저 고맙게 생각할 뿐이다. 역시 좋은 글이란 그 글을 통해서 용기와 함께 살아갈 희망을 갖게 해주었을 때이다. 우리 인간이 살아가면서 가장 중요한 단어가 사랑과 꿈과 희망이라고 생각할 때에 저자의 글들은 모두 이런 밝은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따라서 마음이 답답하거나, 어렵거나 힘든 일이 겹치거나, 외로운 일이 많이 생길 때나, 사랑의 아픔 등으로 인하여 슬픔이 북받칠 때 바로 좋은 글들을 통하여 샘물이 솟아나듯 희망을 갖게 하기 때문이다. 이런 좋은 글을 자주 읽게 되면 더 많이 사랑할 수 있게 되고, 더 많은 것을 나누어 줄 수도 있게 되고, 더 큰 꿈과 희망을 갖게 되기 때문이다. 우리 인간이 살아 있다는 것 자체가 바로 희망이기 때문에 좀 더 자신감과 용기로 외치고 생활을 해나갔으면 하는 바람을 가져본다. 이렇다면 살아 있는 우리 모두는 지금이 참 행복하고 좋다는 말에 긍정한다. 그래야만 더 이상 조바심과 두려워 할 필요가 없고, 어떤 시련과 상처와 바닥을 치는 고통이 닥친다 하여도 사랑하고 행복해낼 수 있기 때문이다. 바로 이 사랑과 행복을 ‘죽도록 해도 괜찮아’라는 멋진 제목의 책이 그래서 마음에 들었는지도 모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