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나는 사랑하러 갑니다 - 박완서 외 9인 소설집
박완서 외 지음 / 예감출판 / 2010년 2월
평점 :
품절


 

「지금 나는 사랑하러 갑니다.」를 읽고

역시 소설은 재미가 있다. 우리 사람들의 일상사를 정말 창작으로 기가 막히게 표현하고 있기 때문이다. 많은 사람들이 이런 소설을 선호하는 것도 바로 작품을 통하여 대리 만족할 수 있으리라는 기대일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평소에는 그리 가까이 대하지 않았던 소설 작품들이 가까워지는 이유가 아닌 가 생각을 해본다. 또한 한 명의 소설 작품이 아니라 중견작가와 신세대 작가 등 여러 명의 작가들이 참여하여서 대략 한 가지 또는 비슷한 주제로 만들어진 작품집도 무척 흥미롭게 읽을 수가 있다. 역시 각 자가 보는 관점이 다를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이 소설집도 바로 인간 사회에서 가장 중요시되면서 많이 다루어질 수밖에 없는 “사랑(愛)”을 주제로 다루고 있다. 정말 많은 사랑이 이 사회에 존재한다. 첫사랑, 풋사랑, 사이버 사랑, 동성의 사랑, 중년의 사랑 등으로 한국 사회에 존재하는 다양한 사랑의 유형을 표현하고 있다. 정말 사랑은 아무리 많은 작가들이 다루고 다루어도 한없이 솟아 나오는 샘물과도 같이 영원한 주제인 것 같다. 따라서 어떤 작품들이든지 다루는 사랑은 그래서 싫지 않은 것이다. 중견 소설가인 박완서님을 비롯한 아홉 명의 여성 작가들이 참여하여서 만든 진솔한 사랑이야기이다. 그래서 그런지 역시 남성이 쓴 작품보다는 섬세하면서도 따사로운 정이 더 느껴지는 내용들이 많은 것 같아서 더욱 더 정이 갔다. 근대사의 비극으로 여겨졌던 일본에 의한 식민통치하에서 일제 말 청년들의 징용과 처녀들의 정신대에 쫓겨 사랑을 이루지 못하고, 서로 생이별해야 했던 고향의 연인들의 이야기는 정말 가슴이 아픈 우리 역사의 비극과 연계되어서 눈물이 머금기도 하였다. 그리고 역시 중견작가답게 김용택님의 시를 끌어들여서 작품을 멋지게 만들어 내는 창의력에는 역시 ‘뭔가 다르더라도 다르다.’ 라는 생각을 갖게 되었다. 이밖에도 이남희 작가는 50대 이혼녀의 동성애에 대한 금지된 열망을 표현하고 있고, 유덕희 작가는 남편도 아들도 버리고 연하의 연인과 동반 자살한 어머니를 그리고 있다. 또 김정희 작가는 현대인의 공허한 내면의 사랑을 그리고 있다. 이와 같이 우리 인간에게 있어서 사랑이 줄 수 있는 따사로운 이미지와 함께 사랑이 줄 수 있는 고통들을 소재로 하고 있기 때문에 사랑의 본질에 접근하여서 살펴볼 수 있는 아주 좋은 기회를 제공하고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한 소설이라는 작품을 통하여서 내 자신이 겪어보지 못한 내용들을 간접 체험하는 시간을 갖게 되면서, 좋은 것을 과감히 받아들이고, 그렇지 않은 것은 과감히 배격해 나가는 그런 용기 있는 모습들을 기대해본다. 우리 사회가 정말로 더불어 살아가면서 진정한 사랑으로 넘쳐나는 그런 살 맛 나는 진정한 사회가 되어 나가기를 기대해본다. 즐거운 독서 시간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