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두사의 시선 - 예견하는 신화, 질주하는 과학, 성찰하는 철학
김용석 지음 / 푸른숲 / 2010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메두사의 시선」을 읽고

‘예견하는 신화, 성찰하는 철학, 질주하는 과학’이라는 소 타이틀 아래 신화와 철학, 과학과의 관계를 진지하게 파헤쳐가는 저자의 번쩍거리는 혜안이 놀랍다. 솔직히 책을 읽으면서 우리 같은 일반 독자에게는 조금은 어렵다는 생각을 안 할 수가 없다. 솔직히 신화나 철학, 과학 등에 평소 생활하면서 관심이나 실천이 그리 쉽지 않기 때문이다. 그래서 인문학 계통이 많이 발전하는 데 있어서 걸림돌이 된다는 이야기도 들리는 것 같다. 그러나 차분하게 너무 급변하는 현 사회의 모습을 정리하는 면이나 각 개개인의 모습을 진지하게 사색하는 의미에서도 바로 인문학에 대한 공부나 정리가 절대 필요하지 않을까 생각해 본다. 특히 신화를 통한 예견되는 모습, 철학을 통한 우리 인간의 성찰하는 삶, 과학을 통한 새로운 기술의 발달된 모습 등에 우리 인간들이 좀 더 적극적인 관심과 함께 실천이 필요하지 않을까 생각해 본다. 내용 자체가 매우 어렵기는 하였지만 조금은 천천히 여유를 갖고 읽기 시작하니 눈으로 쏙 들어오는 것을 느꼈다. 역시 이런 책들을 그냥 쉽게 넘길 책이 아니고, 나름대로 음미하면서 집중해 나가야 되지 않을까 생각해 본다. 이 책에는 12 편의 글이 실려 있다. ‘메두사의 시선’, ‘에로스와 철학의 화살’, ‘아라크네와 기예의 철학’, ‘헤라클레스와 육체의 반어법’, ‘크로노스와 서사 권력’, ‘피그말리온의 타자성’, ‘슬픈 미노타우로스’, ‘아프로디테의 신호’, ‘편재하는 나르키소스’, ‘디오니소스와 포도주의 인식론’, ‘스핑크스와 인간의 초상’, ‘사유 매체로서 변신 이야기’ 등이다. 모두가 다 저자의 해박한 지식과 함께 과학적 관심과 신화적 은유를 철학적 성찰에 연계시키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결국은 바로 철학에세이인 것이다. 진지한 자신의 탐구 노력 속에서 자신의 성찰을 가능하게 하고, 다른 사람들의 사유를 자극시키는 미덕을 발휘하고 있는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이 책은 신화와 철학과 과학의 연관성을 한꺼번에 살펴볼 수 있는 절호의 기회이며, 이 분야의 전문적인 지식을 나의 것을 만들 수 있는 좋은 시간이기도 하다. 오늘 날 각종 매체와 과학 기기 등으로 풍요롭고 편리한 생활을 하게 된 근본을 따져본다면 분명코 신화와 철학에 바탕을 둔다고도 볼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뒤집어 생각해본다면 우리가 신화나 철학 등에서 현대 과학의 많은 산물들을 다시 만들어 볼 수도 있다는 점이다. 이런 점에 착안하여서 더 나은 우리 인간들의 삶도 중요하겠지만 근본 바탕인 철학이나 윤리, 신화적인 모습도 충분히 염두에 둔 그런 생활 자세였으면 어떨까? 하는 생각도 해보았다. 신화와 철학, 과학과의 연관에서 볼 때도, 과거는 사라지는 것이 아니고 평가로 회복되고, 미래는 기다리는 것이 아니라 예측으로 소환된다는 말도 맞는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