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시차의 눈을 달랜다 - 제28회 김수영 문학상 수상 시집 ㅣ 민음의 시 160
김경주 지음 / 민음사 / 2009년 12월
평점 :
품절
「시차의 눈을 달랜다」를 읽고
우리 인간은 수많은 사람들과 희로애락을 겪으면서 생활해 나가고 있다. 바로 그런 희로애락을 다루는 것들이 문학작품이며, 대표적인 것으로는 소설과 시, 수필, 희곡 등이 주를 이루고 있다. 물론 이런 장르 중에서 어떤 분야를 특별히 관심과 함께 좋아하는 사람들이 모두 다 다르리라 생각 한다. 그 나름대로의 독특한 표현력과 함께 자기 자신에게 맞는 분야가 있기 때문이다. 내 자신은 우선 읽기가 편한 수필 쪽과 많이 선호하는 편이었다. 각 분야를 살아가는 저자들이 각 자 살아가는 느낌과 함께 맡은 분야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들을 알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가끔 소설을 읽으면서 우리 일상생활의 이야기를 가장 적나라하게 글로써 모든 것을 표현하여 가장 가까이 갈 수 있는 바탕을 제공하고, 한 번 읽기 시작하면 끝을 보아야만 하는 즐거움이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시집은 솔직히 자주 대하지 못하는 것이 솔직한 고백이다. 이상하게 손이 더 가지 않는다. 그 이유를 생각해보니, 역시 시인들의 고차원적인 사고와 함께 함축되어진 시어(詩語)에 대한 많은 부담감을 갖기 때문이다. 특히 현대시에 대한 내용은 쉽게 이해할 수 없는 분야가 많은 것도 사실이다. 그래서 시를 쓰는 시인에 대해서는 더 존경하게 되는 인물이기도 하다. 왜냐하면 피를 말리는 시어를 만들어내기 위한 자신과의 투철한 싸움을 거쳐야 하기 때문이다. 이렇게 하여 탄생한 한 편의 시는 우리 독자들에게 아주 깊은 의미와 함께 무한한 동경의 마음을 갖게 하기에 족한 것이다. 그리고 좋은 시집은 항상 곁에 두고서, 반복하여 읽을 수 있으면 하는 바람을 가져보고, 또 하나 바람은 아주 마음에 드는 좋은 시는 암송을 통한 기억을 할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하는 생각도 해본다. 최근 시 암송대회가 열리는 것도 바람직한 일이라 생각을 해보면서 적극 장려하였으면 하는 바람도 가져 본다. ‘시차의 눈을 달랜다.’의 김경주 시인의 작품을 보면서 여러 가지를 생각하는 시간이 되었다. 첫째는 시라는 것이 참 오묘한 진리를 담고 있구나 하는 마음이다. 몇 번을 읽으면 이해가 되는 내용도 꽤 많았기 때문이다. 둘째는 시라는 것이 그냥 씌어 지지 않는다는 점이다. 우리가 여행을 통해서 독서 등의 간접적인 체험을 확실히 보충하듯이, 시도 시인의 이런 다양한 체험의 시간을 통해서 좋은 작품을 만들 수 있다는 점이다. 셋째는 앞으로는 시에도 조금 관심을 가져야겠다는 다짐을 하는 시간도 되었다. 어쨌든 이번 시집 독서를 통하여서 약간의 편협된 나의 독서 취향에 있어서 하나의 전환의 계기도 되었다는 데에서 좋은 독서 시간이 되었다. 그리고 나만의 좋은 애송시도 이번 기회에 하나 정하여 확실히 외워서 어는 자리에서도 술술 나올 수 있도록 해야겠다는 생각도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