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는 시간이 아주 많은 어른이 되고 싶었다
페터 빅셀 지음, 전은경 옮김 / 푸른숲 / 2009년 10월
평점 :
「나는 시간이 아주 많은 어른이 되고 싶었다」를 읽고
우리가 살아가면서 각자 나름대로 독특한 인생을 살아가고 있다. 그래서 수많은 사람들이지만 전부가 다 같은 사람들은 한 사람도 없는 것이다. 그렇다고 한다면 어떻게 살아가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고 멋진 인생일까? 가끔 생각해볼 때가 있다. 특별한 정답이 없는 것 같다. 그러나 나름대로 분명한 방향과 함께 열심히 생활해 나가는 멋진 사람들이 많은 것을 보고 부러워할 때도 있었지만, 지금은 나이가 오십대 중반이 넘어서면서부터는 그런 단계를 벗어났다고 생각하기도 한다. 그 만큼 살아오면서 많은 일들을 겪으면서 터득한 지혜가 생겨났기 때문이다. 바로 이런 체험과 경험담이 중요하다. 이런 과정들이 아주 중요한 실천의 바탕이 되기 때문이다. 이제는 서서히 차분하게 지나온 시간들을 돌이켜 가면서 좀 더 안정적이고 바람직한 방향으로 생각하고 실천으로 옮겨갈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는 중이다. 예전에 비해서 오늘 날은 급격한 사회변화로 인하여 더욱 더 풍요로움과 함께 편리함이 넘쳐나는 것은 사실이지만 그 반면에 우리에게 예전에 뿌리박혀있던 좋았던 협동, 집단, 온정, 이웃 간의 교류 등이 많이 사라져 가는 아쉬움이 많이 생기기도 한다. 바로 이러한 때 저자의 이 책은 많은 것을 생각하게 하는 마력을 지니고 있어 너무 좋았다. 바로 에세이 정수를 보여주고 있기 때문이다. 진솔한 삶의 모습을 진지하게 표현함으로써 감동적으로 삶을 보여 주게 하는데 큰 도움을 얻을 수 있었다. 무의미하고, 그냥 지나치기 쉬운 조그마한 일과 그대로의 세상과 만나는 기쁨을 통해서 바로 ‘눈앞의 것’과 ‘지금 이 순간’에만 몰두하게 되는 우리의 바쁜 삶을 한 번 돌아보게 하는 작가의 솜씨가 너무 뛰어남을 느낄 수가 있었다. 특히 기다림의 미학 글에서는 우리가 생활 속에서 수시로 많은 기다림을 겪는 상황을 너무 잘 표현해주어서 그 기다림이 전혀 그렇지 않도록 하는 글쓰기 기술에서 감탄의 표시도 저절로 나오기도 하였다. 작은 세상을 통하여 큰 세상을 그리는 이야기나 저자의 고향과 관련된 일반적인 이야기들을 전개해나가는 솜씨에 글쓰기가 과연 어렵지 않다는 것도 느낀 것은 큰 수확이었다. 내 자신도 장차 이런 에세이류 쓰기에 도전하여서 하나의 작품집을 만드는 것을 소중한 꿈으로 간직하고 있기 때문에 많은 각성을 하는 계기가 되기도 하였다. 역시 훌륭한 작가는 뭔가 다르구나 하는 생각을 하였다. 글을 통해서 이와 같이 감동을 주는 훌륭한 작가는 얼마나 나름대로 혹독한 훈련과정을 겪었을까? 하는 생각을 해보면서 내 자신도 앞으로 더욱 더 열심히 노력하는 과정을 통해서 좋은 에세이를 써서 많은 사람에게 감동을 줄 수 있도록 해야겠다고 다짐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