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신
마르크 함싱크 지음, 이수영 옮김 / 문이당 / 2009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충신」을 읽고

내 자신 중학교에서 우리나라 역사를 가르치면서 학생들에게 솔직히 재미있게 가르치도록 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그렇지 못하는 것이 내 성격하고도 관련이 있다고, 합리화하곤 하기도 하였다. 그러한 나에게도 가장 관심 분야 중의 하나가 바로 영조가 자기를 이어 왕세자가 되고, 왕을 이어받을 자기의 아들을 죽인 이 사건만은 흥미로웠고, 학생들도 관심을 보였다. 아들을 쌀을 보관하는 뒤주 속에 가두어서 죽인 이 사건은 충분히 소설이라는 주제로 다루어질 수 있고, 그 동안 각 종 역사 다큐멘타리의 단골 주제이기도 했던 내용이다. 그런데 이번에 우리 한국의 소설가도 아닌 물론 한국에서 벨기에로  7세 때 입양을 했지만 어쨌든 현재는 영국의 한 보험회사에 근무하면서 무려 13개 국어에 능통한 멀티 링구어이다. 우연히 자신의 손에 들어 온 대략 18세기 경에 쓰여진 이천보라는 영의정이 쓴 ≪진암집≫이라는 작품을 보면서 순탄치 않은 정승의 일대기에 의구심을 갖게 되었고, 이와 관련한 각종 자료들을 준비하여서 바로 이 작품을 썼다고 하였다. 물론 한국에서 태어나기는 하였지만 아주 어렸을 때 입양을 가서 외국인처럼 되어 버린 저자로서 이런 흥미로운 우리 역사에서 주제를 차용 하여 멋진 소설작품으로 만들 수 있다는 것 자체로도 대단한 흥미로움을 갖게 하였다. 따라서 이 작품은 내 자신에게는 이상에서 본 몇 가지 차원에서도 지대한 관심 속에서 책을 읽을 수 있었다. 또한 소설의 가장 흥미로운 점의 하나가 한 번 읽기 시작하면 끝을 볼 때까지 손을 놓을 수 없다는 점일 것이다. 바로 이 소설집도 그러하였다. 조선 후기 영조 통치 시대 말 사도세자를 둘러싼 거대한 음모와 권력 투쟁, 그리고 세자와 왕실들을 지키려는 충신들의 사투에 관련한 변화무쌍하게 전개되는 이야기는 한 마디로 흥미로움 그 자체였다. 예나 지금이나 권력자의 힘은 막강하다. 그리고 그 권력을 유지하고, 더 연장 내지는 발전시키려는 욕망은 어쩔 수가 없는 것 같다. 우리 역사 속에서 얼마든지 찾아낼 수 있는 근거가 많이 있기 때문이다. 우리가 이야기할 때에 조선왕조 시대에 비교적 정치적으로 안정된 바탕 하에서 백성들이 비교적 평안하게 살 수 있었던 시기를, 전반기에는 세종 치하와 후반기에는 영조와 정조 치세를 든다. 그런데 이러한 치세 하에서도 이와 같은 있어서는 안 될 사건도 있었다는 것들이 이해하기 쉽지 않지만 엄연한 역사적 사실이 있었고, 그리고 중요한 것은 아무리 권력을 바탕으로 쉬쉬하려는 내용들이 언젠가는 결국 밝혀진다는 것이 바로 진리라는 점이다. 그러기 때문에 모든 지도자들은 이런 점을 명심하여서 오로지 국민을 최고로 하는 그런 배려의 정치와 함께 밑의 보좌하는 사람들의 대오각성을 촉구하는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