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리학으로 보는 조선왕조실록 - 500년 조선사를 움직인 27인의 조선왕, 그들의 은밀한 내면을 파헤친다!
강현식 지음 / 살림 / 2008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심리학으로 보는 조선왕조실록」을 읽고

우리나라의 마지막 왕조인 조선 왕조 제 27대 국왕 519년의 역사는 왠지 우리에게 더 가까워지게 느껴지면서도 많은 이야기꺼리를 주기도 한다. 또한 왕조의 멸망과 함께 일제의 식민 지배를 받게 되는 과정을 통해서 우리의 비극이 시작되었기 때문에 더더욱 위기의식을 느끼게 했던 시대로도 기억을 하게 한다. 그러나 왕조의 국통과 법통이 제대로 지켜지기만 했더라도 여러 어려움과 함께 일어나는 많은 혼란도 극복할 수 있으리라 생각을 나름대로 해본다. 이러한 정해 놓은 법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 사이에 시시각각 벌어지는 사람들 사이의 보이지 않는 혈투 등들이 재미있는 이야기 꺼리를 만들게 되고, 이런 내용들이 결국 방송에서도 호재로 삼아 여러 방송 테마로 삼아 재탕, 삼탕 방영을 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내용들을 많은 사람들이 관심을 갖고 보는 것은 바로 역사를 흥미의 관점에서 느끼는 것이리라 생각을 해보면서 과연 바람직한 방향인지는 한 번 생각해보아야 한다고 본다. 평소 내 자신도 교과서에 기록된 내용에 의한 정통 조선 역사에 근거한 내용으로만 알고 있는 기본적인 내용들이었다. 그러나 이번 이 책을 통해서 저자의 전문적인 심리학 지식을 반영한 결과와 여기에 왕성한 연구 결과인 조선 역사 지식을 겸비한 내용을 서술하고 있어서 평소 느끼던 지식에다 심리적인 내용이 가미함으로써 아주 흥미 있게 공부할 수 있게 되었고, 아이들에게도 더 흥미 있는 수업을 할 수 있을 것 같아 매우 유용한 독서 시간이 된 것이다. 따라서 저자의 독특한 관점에서 보는 시도이기 때문에 우리가 어느 한 쪽으로 치우치기 보다는 상호보완적인 관점으로 조선의 역사를 제대로 이해할 수 있는 기본 바탕이 되었으면 좋겠다.

양가감정과 공격성, 승화와 투사적 동일시, 반동형성과 경계선 성격, 편집성과 자기 충족적 이해, 열등과 우월성의 추구, 집단극화와 인지협착, 학증편향, 자기애성 성격, 억울함과 그림자, 의존적 성격의 심리학적인 용어 요소 적용과 함께 조선 개국 때의 태조, 정종, 태종 시대, 왕으로 산다는 것으로 패륜아와 영웅 사이에서 세종과 문종, 단종과 세조 시대, 고부갈등이 희대의 폭군을 낳은 예종과 성종, 연산군 시대, 강한 어머니와 약한 아들이 초래한 비극의 중종, 인종, 명종 시대, 근본적인 열등감의 대물림과 그리고 임진왜란의 선조와 광해군 시대, 의심이 병자호란을 일으키고 아들을 죽인 인조와 효종 시대, 절대군, 마음이 공허한 나르시시스트 헌종과 숙종 시대, 억울함이 아버지와 아들 사이에 그림자를 드리웠던 경종, 영조, 사도세자, 정조 시대, 시아버지와 며느리의 투쟁, 500년 조선의 막을 내린 순조, 헌종, 철종, 고종, 순종의 시대를 독파하고 있는 것이다. 그래서 조선역사는 흥미있는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