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서
한호택 지음 / 달과소 / 2008년 8월
평점 :
「연서」를 읽고
우리 역사에 있어 삼국시대의 고구려와 백제, 신라의 주고받는 관계를 바탕으로 이루어지는 역사 이야기는 언제나 흥미와 함께 관심을 갖게 만드는 요인이기도 하다. 많은 여러 이야기들이 주로 야사를 많이 다룬 삼국유사 책을 중심으로 전하고 있다고 한다. 특히 이 소설에서는 백제의 서동과 신라의 선화공주간의 의도적인 노래를 바탕으로 사랑을 이루어낸 과정을 다루고 있다는 사실이다. 최근 팩트(fact)와 픽션(fiction)을 가미한 팩션(faction) 바람이 인기를 끌고 있는 데 비교적 기록이 충실한 조선시대와 근세사에 있어서는 만들기가 훨씬 수월한 데 반하여 아무래도 기록이 빈약한 상고시대에는 만들기가 어려운 데에도 불구하고 저자는 팩트의 역사성과 픽션의 오락성을 함께 구현하여 새로운 시각으로 역사를 재해석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역사적 사실에 대한 공부도 하면서 재미와 오락성도 느낄 수 있는 책이라 생각한다. 우선 서동의 이름 장의 성장과정과 영웅 수련 과정이 그려진다. 아버지가 없는 연꽃에 산다는 ‘용의 자식’이라던 장이 어머니인 수련과 생활하면서 서서히 사랑에 눈을 떠가는 모습을 그리나 어머니의 방해로 이루어질 수 없는 사랑으로 끝나고, 드디어 출생의 비밀을 통해 위덕왕의 서자인 왕자 신분이라는 것을 알게 된다. 키워준 지광 스님과 스승인 왕평 그리고 형제와도 같은 지명과 같은 무리들과 어울려 영웅이 되기 위한 훈련과정을 거치게 된다. 특히 이러한 과정 속에서 ‘마음은 마음으로 끄는 거고, 마음으로 잡는 거야. 자기 욕심을 내세우기 전에 먼저 상대방 마음을 헤아려야 해’, ‘그게 다 욕심 때문이야. 색욕. 애욕만이 아냐. 자기 뜻대로 하려는 게 더 나쁜 거야. 나라님도 마음대로 못하는 것이 사람 마음이야. 남편이라고, 아내라고 자 뜻대로 하려 해서는 안 되지.’ 같은 주옥같은 깨달음의 문장도 볼 수 있다.
중반부는 드디어 소서노의 검을 찾기 위해 건너간 일본에서 이루어지는 내용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왜의 군사력을 빌려 본국의 권력을 교체하려는 왕평의 호전적인 의지와, 사랑과 원한을 고행의 조각으로 승화하려는 형인 아좌태자의 예술적인 행동, 이 둘 사이에서 의식의 성장을 거치면서 포옹하려는 장의 상생적 의지와 본격적인 선화공주와의 로맨스 이야기, 아좌태자와 왕평이 결국 죽음으로 완결되어지는 저자의 상상력은 절정에 이르게 한다. 후반부는 장이 영웅의 운명을 받아들이고 또한 선화공주와의 사랑까지 끝내 포기하지 않으며 쟁취하는 영웅의 위대한 행진곡으로 그리고 있는 것이다. 개략적으로 알고 있던 서동요 노래와 내용이 이렇게 소설로 그려지는 장대한 모습으로 그려질 수 있다는 작가 특유의 솜씨는 마치 내 자신이 역사의 한 페이지 속에서 운명을 같이 하고 있다는 생각이 들기도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