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리학이 관우에게 말하다 1 - 의리를 무기로 천하를 제압하다 현대 심리학으로 읽는 《삼국지》 인물 열전
천위안 지음, 유연지 옮김 / 리드리드출판(한국능률협회) / 2023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천위안 저의 『심리학이 관우에게 말하다 1』 을 읽고

<삼국지>는 시대를 불문 무려 2천 년간 중국, 우리나라 등 한자권 국가에서 수많은 사람들의 필독서로 자리를 지켜온 비결은 무엇일까?

그것은 바로 그 <삼국지> 에 등장하는 각 영웅들의 눈부신 활약상에 대한 매력과 동경심 때문일 것이다.

어려서 관심을 갖고 읽었을 때는 막연히 서로 싸우고 죽이는 전투 장면들이 흥미로워 재미있었던 기억을 갖고 있다.

실제 이 <삼국지> 영웅들의 비밀을 현대 심리학으로 풀어내서 살펴보는 전문적인 내용으로 도전한다는 것은 그 의미가 매우 크다.

저자 천위안은 현대 심리학을 무기로 새롭게『삼국지』의 영웅들을 해석했다.

그는 심리학을 통해 역사 속 인물이나 사건을 분석하는 ‘심리설사(心理說史)’ 분야의 창시자로 불리는 천재 작가이다.

미국, 일본, 홍콩, 대만 등에 널리 알려져 큰 호응을 얻고 있는 인기 강사이다.

앞서 삼국지의 대표적인 인물인 조조와 제갈량을 풀어내 크게 영향을 끼친 바 있다.

바로 이번 3번째로 택한 인물이 충의의 표상 관운장이다.

보통 ‘관우’라 불리우는 그는 어떻게 재물신이 되었을까?

관우는 정의로운 용기와 유혹에 흔들리지 않는 충직함, 작은 은혜라도 꼭 갚는 신의, 한 번 맺은 약속은 목숨을 걸고 지키는 신용으로 기나긴 역사를 통해 동양의 많은 국가에서 존경받는 만인의 롤모델이 되었다.

누군가는 이렇게 물을 수도 있다. “이 세상에 널리고 널린 것이 배신자가 아닌가? 배신으로 더 많은 것을 얻기도 하지 않는가?” 과연 그럴까?

이 책에서 신용이 부와 명예를 얻는 길인 만큼 약속을 이행하지 않고 신용을 잃었을 때 어떤 일이 벌어지는지, 그 대가도 보여 준다.

관우는 일시적으로 조조에게 위탁을 하고 있었지만 한 번 맺은 도원결의 언약을 항상 새기고 있었으며, 또 감씨와 미씨 두 형수님을 챙기면서 그 결의를 다짐하는 계기로 끝까지 목숨 다 바치는 마음으로 모시면서 유비에게로 그것도 조조에게 빚진 것을 당당하게 갚으면서 행동으로 실천해내는 모습은 아마 관우를 신용과 충의의 화신으로 섬기지 않을 까 생각해본다.

기나긴 중국 역사에서 신으로 숭배받는 실존 인물은 단 두 명뿐이라고 한다.

유교의 시조 공자와 바로 관우다.

사실 중국에는 공자를 모시는 향교보다 관우를 모시는 사당이 훨씬 더 많다.

일반 가정에서도 관우상을 모셔두고 향불을 피운 뒤 복을 빈다고 한다.

심지어 우리나라 서울의 지하철 1호선 동묘앞역의 동묘가 관우를 모시는 사당이라는 사실을 아는 사람은 많지 않을 것이다.

관우신을 모시는 무속인들도 의외로 많다고 한다.

관우가 『삼국지』에서 용맹을 떨친 것은 맞지만 위 오 촉 3국 중 가장 약체국인 촉의 유비 휘하의 일개 무장에 불과한 관우가 중국인들에게 최고 숭배의 대상이 되고, 특히 재물신으로까지 여겨진 것은 어떤 이유에서일까?

중국인들은 예로부터 ‘이재’에 밝은 민족이라고 알려져 있다.

전 세계에 퍼져 있는 중국인들인 화교는 상술의 천재들이어서 부자가 유난히 많다.

그들은 돈벌이에서 ‘신뢰’를 가장 중요한 요소로 여긴다고 한다.

중국의 대표적인 ‘꽌시’ 문화도 이와 관련이 깊다.

믿을 수 있는 상대와 믿을 수 있는 거래를 해야 하므로 '관계'가 중요한 것이다.

관우는 ‘충(忠)’과 ‘의(義)’의 표상이다.

관우가 유비와의 의리를 지키기 위해 다섯 관문에서 여섯 장수의 목을 베고 조조에게서 벗어나는 '오관육참의 여정'은 시대를 뛰어넘어 우리 모두에게 감동을 불러 일으킨다.

1권에서는 관우가 조조가 아닌 한나라에 투항한다는 것, 유비의 녹봉을 가족에게 지급하고 그들의 안위를 지켜주는 것, 마지막으로 유비의 소식을 듣게 되면 그곳이 어디든 찾아갈 것이라는 것.

이 세 가지 조건을 투항 조건으로 제시하여 관철시킨 관우!

책의 후반부에는 그런 관우의 마음을 사로잡으려 노력하는 조조의 행동과 유비의 소식을 듣고 떠나면서 '오관육참'이란 고사를 남긴 관우의 이야기를 심리학으로 살펴보는 아주 흥미로운 내용이 전개된다.

더 흥미로운 2권의 내용이 기대가 된다.

“인생에 곧고 빠른 지름길은 없다.

굽이굽이 장애물이 놓여있고 내리막과 가파른 오르막이 기다리고 있다.

두 손 들고 항복할 것인가, 포기할 것인가, 주저앉을 것인가. 모두 자기 의지에 달려 있다.

나아가겠다는 의지만 꺾지 않는다면 기쁨의 순간이 온다.”(242p)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