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지식인의 독서 노트 - 책 읽기에 대한 사유와 기록 조선 지식인 시리즈
고전연구회 사암, 한정주.엄윤숙 엮고 씀 / 포럼 / 2007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한정주 엄윤숙의 『조선지식인의 독서 노트』를 읽고




최근 독서와 논술 열풍이 불고 있다 하여도 과언이 아니다. 따라서 독서를 많이 하고, 논술을 많이 가르치고, 자료를 제공해주는 기관들이 우후죽순 격으로 늘어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결국 좋은 논술의 기본 바탕은 바로 독서에서 온다는 것은 그 누구도 부정하지 못할 것이다. 그렇다고 한다면 바로 독서야말로 가장 중요한 우리들이 일상생활에서 가장 생활화해야 할 필수적인 행동인 것이다. 매일 조금씩이라도 책을 가까이 하면서 독서를 하는 시간을 갖는 소중한 습관을 갖도록 하는 것이 중요한 것이다. 그러나 과연 얼마나 많은 가정에서 이런 마음과 자세로 임하고 있는지 우리가 반성해보아야 할 것이다. 다행히 최근 독서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독서하기 운동 등에 다양한 관심과 행사가 벌어지고, 도서관에 확충되고, 학교에서도 독서 교육이 늘어나고 있는 긍정적인 모습을 볼 수 있어 다행이다.  독서는 내용과 범위가 한정된 것이 아니라고 생각을 한다. 물론 사정에 따라서는 그렇게 한정시킬 수도 있지만 다양한 분야의 간접적인 체험을 독서로 하는 것이 좋겠다는 평소의 생각이다. 우리 조선시대 역사 속에서 훌륭한 학자로 존경을 받았던 김득신, 박지원, 안정복, 윤휴, 이덕무, 이수광, 이익, 정약용, 허균, 홍석주, 홍길주 등의 독서가들의 저서 속에서 독서와 관련된 부분을 뽑아서 고전연구회인 사암(俟巖)에서 정리한 것이다. 그리고 그 말미에는 그와 관련된 소감문을 기록함으로써 읽는 이로 하여금 독서에 대한 정리를 할 수 있는 계기까지 배려해 준 점이 좋았다. 우리들이 독서하는 데에는 오늘이나 그 당시나 큰 차이가 없다고는 하지만 책을 읽으면서 역시 독서에 대한 집중력과 함께 독서에 대한 진지함과 독서에 임하는 자세들은 지금의 우리가 감히 따라갈 수 없을 만큼 엄격하면서도 철저하였다는 것을 배울 수 있었다. 책을 아끼고, 책을 벗 삼고, 끊임없이 반복하여, 확실하게 자기 것으로 만드는 그 모습들에 깊은 감동을 느낄 수밖에 없는 것이다. 편하게 읽을 수 있도록 편집한 것과 그 누구도 쉽게 읽게 하여 독서에 흥미를 갖게끔 하고 있는 책이기에 일독을 권해보고 싶다. 각 자 나름대로의 독서법이 있기는 하겠지만 좋은 것은 수용하여서 한 번 바꿔 보는 아량도 보여주었으면 좋겠다. 조선 시대의 지식인들이 보여주었던 훌륭했던 각 종 좋은 독서에 관련한 지식들을 거울삼아서 더 많은 독서삼매경에 빠져보는 체험도 해보기를 권해본다. 그리고 자신의 안목을 확대시키면서 좀 더 좋은 마음으로 즐겁고, 재미있고, 효과적이고, 행복한 가정을 위해 독서에 더 관심을 갖고 노력을 해갔으면 하는 마음이다. 자연스럽게 논술 대비 등도 할 수 있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