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왕, 그리고 리더십 - 개인과 조직을 이끄는 균형의 힘
김윤태 지음 / 성안당 / 2023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김윤태 저의 [조선 왕, 그리고 리더십] 을 읽고

나 자신이 배웠고 그동안 생활해오면서 듣고, 보고, 느끼고 했던 여러 지식들을 동원하더라도 우리 역사에 대한 아니 한 왕조에 대한 한 왕에 대한 자세한 내역은 잘 알지 못한다.

그저 단편적으로 아는 것이 일반적이다.

나같이 나이가 많이 들어 시간이 오래 지난 탓도 있지만 관심을 갖고서 나름 공부를 하지 않는다면 쉽지 않은 것이 우리 역사에 관한 내용일 것이다.

시간이 나면 남겨진 문화유산으로 조선왕조 궁궐인 경복궁, 창덕궁, 창경궁, 덕수궁 등을 얼마든지 둘러볼 수는 있지만 중요한 것은 바로 그 궁궐에서 이루어졌던 역사적인 현장의 모습들이다.

어떤 왕들이 어떻게 정치를 행사했는지 알지 못한다면 그 의미가 떨어질 수밖에 없다는 점이다.

조선의 리더인 왕!

모든 권력을 한 손에 쥐고 마음껏 휘두를 것 같았지만 절대 그렇지 않았던 많은 나름은 어려움이 있었다는 점이다.

그 어려움을 어떻게 잘 조화롭게 극복할 수 있느냐 또는 균형을 이뤄나가느냐 하는 것은 왕 나름의 리더십과 멘토에 달렸다고 할 수 있다.

그러기에 우리가 알고 있는 좋은 왕, 나쁜 왕, 힘있는 왕, 그렇지 못한 왕 등 다양한 부류가 있는 것이다.

왕이 아무리 뛰어났다고 해도 옆에서 멘토나 보좌를 누가 하느냐에 따라 성과가 달라질 수 있다는 것도 그리고 항상 견제 세력이 있어 언제 어떻게 변하게 될지 절대 안심할 수 없는 위기 속에서 지킨다는 것이 결코 쉬운 자리가 아니었다는 점이다.

이런 자리임에도 불구하고 조선이 상국으로 받들었던 명왕조도 300년을 버티지 못했는데 조선왕조는 500년을 넘기는 역사를 기록하게 된다.

그것은 왕을 간쟁과 토론으로 보조역할을 해주는 대간 제도를 통해 왕이 균형을 취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이런 우리 역사 중 조선을 이끈 9명의 왕, 시대를 이끈 리더들을 관찰하는 의미 있는 책이 출간되었다!

개인과 조직의 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리더십 멘토, 조선 왕을 만나다 에서는 태조, 태종, 세종, 세조, 성종, 선조, 광해군, 영조, 정조, 9명의 조선 왕의 리더십을 통해서 성공적인 조직을 만들기 위한 리더가 지향해야 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이야기한다.

또 왕들의 리더십을 반면교사로 삼아 경쟁이 치열하고 변화가 빠른 현대 사회에서 혁신적 사고로 성과를 만들어 내는 결과 중심의 요소를 담아냈다.

특히 이 책은 대기업과 관공서 등에서 리더십 강사로 활약하면서 사람과 조직을 변화시키는 리더십 전문가인 저자 김윤태가 경험을 토대로 조선을 대표하는 9명의 왕시대를 이끈 리더들을 자세하게 관찰한 것이어서 그 의미가 매우 크다 할 수 있다.

이 책에서 조선 왕 27명 중 조선을 대표하는 9명의 왕과 그 시대적 배경, 당시 기록을 담은 다양한 작품을 만날 수 있고, 조선 시대를 이끈 왕들의 리더십을 관찰하며 지금의 정치인들과 비교해 볼 수 있다.

지금의 정치현장도 마찬가지이다.

다른 것은 국민들이 직접 참여하여 대표자를 선출한다는 차이일 것이다.

하지만 정치인들이 하는 모습을 보면 짜증나는 일들이 많이 벌어지고 있어 국민들의 야유와 함께 다음 선거에서는 얼마든지 바꿀 수 있는 권한을 갖고 있기 때문에 큰 소리 칠 수 있다는 점이다.

조선시대에는 솔직히 그럴 힘이 없었다.

바로 강력한 왕권시대였기 때문이다.

이때 중요한 것이 왕의 역할이었고, 왕의 리더십이 필요한 것이다.

리더의 역할에 따라 백성들이 굶주리지 않고 행복하게 살 수 있는데도 책임보다 권한에 집착하거나, 공익보다 사익에 욕심내는 낮은 도덕성으로 지지와 신뢰를 잃는다면 절대 오래 갈 수 없었다.

반대로 백성을 위해 정책을 많이 만든 애민군주 세종, 백성에게 직접 다가가 그들에게 귀를 기울인 따뜻한 정조는 얼마나 멋진 리더인가?

현재 대한민국을 이끌어가는 대통령과 정치인그리고 경영계 등 각 분야 리더들이 이 책을 읽기를 권하고, 깊이 반성과 함께 각성하는 계기를 가졌으면 하는 바람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