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자라고도 넘치는 고요 - 그림의 길을 따라가는 마음의 길
장요세파 지음, 김호석 그림 / 파람북 / 2022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장요세파 김호석 저의 『모자라고도 넘치는 고요』 를 읽고

현대에 들어서 화풍이나 글씨를 보면 전통적인 맥락의 주제보다는 특별한 것, 기이한 것 등 개성적인 것을 추구하는 작가들이 많음을 본다. 

파격적인 모습이 눈을 끌며 흥미를 일으키기 때문이다. 

하지만 취향과 성격이 각자 다르기 때문에 일률적으로 판단할 수는 없다. 

각자 개성에 따라 즐기면 될 것이다. 

여기에 특별함이나 기이함보다 늘 일상 속 우리 곁에 있으나 지나치기 쉬운 것을 매의 눈처럼 날카롭게 포착해해는 화가가 있어 눈길을 끈다. 

그리고 그 일상적 소재를 통해 놀라운 사색을 발전시키고, 예술적 은유를 통해 각자가 달리 볼 수 있는 넓은 품을 지닌 작품으로 우리 앞에 다가오게 만들 여지를 제공하게 만든다. 

찬찬히 보아야만 그 의미를 비로소 알 수 있지만... 

봉쇄수녀원에서 수도 중인 수녀인 저자는 그러한 화백의 그림의 의도를 마치 이심전심의 마음으로 잡아내고, 더 깊게 들어가 세심하게 파고들면서 우리 인간에게 생명의 신비로움과 꿈을 향한 일깨움을 갖는 등 새로운 의미를 생성하게끔 만든다. 

그림을 통해 보는 우리 내면의 풍경과 세상을 둘러싼 이야기를 잔잔하게 우리 마음속으로 진한 감동으로 전하고 있다.

김호석 화백은 세상의 기준으로 그다지 매혹적이지 않은 대상을 그려낸다. 

스러져가는 것, 아주 사소한 것, 누구도 거들떠보지 않을 것에 깊은 생명력을 부여한다. 

곱게 다림질해서 입기 직전 벽에 걸어둔 여자 한복 모습을 보고서 여러 겹 물결모습으로 생명의 원천에 가까운 마음의 자리를 노래한다. 

첫째는 친정나들이 할 때 입는 것으로, 둘째는 아사 한복으로 짝꿍에 대한 사랑의 물결인 에로스의 아름다움으로, 셋째는 성경의 아가서, 연인들의 사랑 이야기로까지 확산시킨다. 

생명의 원천으로서 하느님 설렘까지도 표현하고자 한다.

원망 가득한 개의 눈빛 속에서 개만도 못한 세월호를 둘러싼 못난 인간의 자화상을 직설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우리가 보통 마시는 음료에 달려있는 플라스틱 빨대 그림에서는 코에 빨대가 꽂힌 거북이 사진을 떠올리며 고통을 생각한다. 

무심코 내가 버린 그 빨대 하나가 내 생명에 지장이 온다면 나만이 아니라 많은 이가 해를 입는다면... 

이런 빨대들이 지구의 바다에 가득 쌓여진다면 환경재앙으로 이어지고, 바닷물이 오염되면 물고기 해산물을 먹은 우리 뱃속을 역습한다면 매우 심각한 상황인 것이다. 

이같은 원리로 열대 원시림과 시베리아 숲들이 벌거벗겨지고 있으니 우리 모두 크게 반성해야 하리라.

또 하나 저자는 남의 생명에 자신의 빨대를 꽂는 이들을 규탄하고 있다.

쌍용자동차 노조원 사태 등 우리나라 발전의 그늘에 숨은 수많은 노동자들이 업주의 갑질에 눈물짓는 수많은 종업원들이 이제는 제 목소리를 내고 권리를 누리도록 빨대 자체를 없애야 한다고 주장한다. 

메주와 팥죽의 그림에서 소중한 것임에도 점차 잊혀지고 사라져가는 우리 삶의 깊은 흔적을 되짚어본다. 

또 생이 저물어가는 어머니의 모습에서 깊은 생명의 근원과 ‘자기 비움’으로 새로운 생명을 이어준 숭고함을 들여다본다. 

김호석 화백의 그림과 장요세파 수녀의 글은 양적으로 풍성해 보이지만 우리 삶에서 결락했던 많은 부분을 채워준다. 

세상이 원하는 기준으로 무언가를 채워 가면 한도 끝도 없기 마련이다. 

하지만 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것이 소중하며, 고맙지 않은 것이 하나도 없다는 메시지는 자신을 진중하게 긍정하게 하고 삶을 충만하게 해주는 선물 같은 울림이다. 

특히 이번 작품은 벌써 장요세파 수녀, 김호석 화백 수묵화의 은유, 여백, 정신성을 탐사하는 세 번째 여정이다 보니 마치 찰떡같은 궁합의 글들이 그렇게 잘 조화로룰 수가 없이 너무너무 아름답다!

우리의 것, 순수한 마음을 갖고 있는 모든 사람들에게 일독을 강력하게 권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