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커빌리티
김현정 지음 / 메이트북스 / 2022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김현정 저의 『라이커빌리티』 를 읽고

‘라이커빌리티(likeability)=사람들이 호감을 갖게 할 수 있는 능력’은 ‘라이커블(likeable)=호감 받을 만함’ + ‘어빌리티(ability)=능력’의 합한 단어이다.

풀어쓰면 그리 낯선 어휘는 아닌 것 같지만 원어로 쓰면 그렇게 친숙하게 느껴지지 않게 다가오는 이유는 무엇일까 생각해본다.

그 만큼 우리 사회분위기가 조금은 능력이나 서열 중심으로 흘러오지 않았을까?

지식 중심을 최고로 따지다 보면 자연스럽게 그렇게 분위기가 따라가기 때문이다.

인간은 역시 가장 바람직한 사회적 활동은 활발한 인간관계의 모습이라 할 수 있다.

서로 활동하는데 있어서 인간적으로 교류하면서 서로 호감을 줄 수 있는 인간관계의 정립은 반드시 필요하다 할 수 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이런 라이커빌리티 조성이 쉽지 않기에 나름 노력을 통해 스스로를 만들어가야만 한다.

이 책 저자는 국내 최초로 세계적 수준의 이론과 실전을 갖춘 리더십 코치로 현재 비즈니스 리더들을 돕는 코치이자, 컨설턴트, 교수, 코칭 사업가로 활동 중이다.

이런 저자가 성공하는 사람들이 타인을 대하는 태도의 모든 것이라 할 수 있다.

나를 좋아하게 만드는 힘인 ‘라이커빌리티!’의 모든 것에 대해 총 5장으로 나눠 설명한다.

마음의 작용을 이해하고, 관계의 기술을 습득한다면 얼마든지 매력적인 사람이 될 수 있다는 점이다.

그렇다면 그 누구든지 얼마든지 사람들과 함께 행복한 삶을 살아갈 수 있는 해답은 결국 ‘나 자신’에게 달려 있다는 점이다.

나 혼자가 아니라 함께할 때 기분 좋은 사람이 되고 싶다면, 지금보다 더 갚진 인생을 살고자 한다면 지금 이 책을 통해 관계 기술의 정석을 배울 수 있기를 희망한다.

역시 우리 인간은 혼자가 아니라 더불어 함께 살아가는 사회적 동물이기 때문이다.

생활하다 보면 좋아할 만한 사람은 분명 따로 있다!

우리가 지금 겪고 있는 상당 부분의 어려움은 사람들과의 관계에서 비롯된다.

사람들은 생각보다 다른 사람들의 인정과 관심을 많이 필요로 한다.

이 책은 수많은 현상에서 볼 수 있는 사람의 마음 작용을 정리하고, 이를 바탕으로 사람들이 ‘나’를 좋아하게 할 수 있는 사회적 기술을 알려준다.

마음 작용의 이해와 사회적 기술을 습득하여 상대의 마음을 사로잡을 수 있는 방법을 터득해보자.

사람들은 함께할 때 서로에게 힘이 되지만, 좋아할 만한 사람이 되어야 함께할 수 있다.

함께하기 위해서는 사람들에게 호감 가는 사람이 되어야 한다.

호감 가는 사람은 질투를 불러일으키지 않으면서 사람들 사이에서 적정한 매력으로 관계를 유지한다.

알맞은 매력으로 편안한 관계를 유지할 수 있는 사회적 기술을 익히고, 마음의 작용을 이해하면 라이커빌리티가 높아진다.

라이커빌리티는 노력하면 누구나 가질 수 있다.

우리는 모두 부족하지만 애쓰며 사는 인간이다.

불완전한 인간은 완벽을 추구하기보다는 조화를 잘 이루어, 사람들 사이에서 각자가 가진 개성과 가치를 쌓으면서 행복한 삶을 만들어가야 한다.

행복한 삶은 성공을 이룩하면서, 사람들 사이에서 ‘아주 괜찮은 사람’이 되는 것이다.

‘아주 괜찮은 사람’이 되는 길, 라이커빌리티를 높이는 것에 답이 있다.

나를 좋아하게 만드는 힘인 라이커빌리티는 지금보다 더 값진 인생을 살 수 있게 인도한다.

나와 너, 우리가 행복하게 살아갈 수 있는 길은 멀리 있지 않다.

라이커빌리티는 나만 사람들이 호감을 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하는 것일까? 라는 생각이 들었다.

나만 사람들에게 호감 받으면 당연히 다른 모든 사람이 나에게 호감을 가지는 것일까?

정답은 나와 타인 모두 서로 호감을 받아야 한다는 것이다.

윈윈전략이랄까?

드러나지 않는 승리를 이끄는 ‘라이커빌리티’였다.

나를 좋아하게 만드는 커다란 힘이기 때문이다!

더불어 함께 하는 세상 속에서 나 자신도 소속되어 있다는 사실이다.

'라이커빌리티' 나를 좋아하게 만드는 마음과 자세로 열심히 생활해 나가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