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친절한 죽음을 원한다 - 삶의 완성으로서의 좋은 죽음을 말하는 죽음학 수업
박중철 지음 / 홍익출판미디어그룹 / 2022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박중철 저의 『나는 친절한 죽음을 원한다』 를 읽고

죽음을 진지하게 생각해볼 때가 되었다.

아름다운 삶과 함께 아름다운 마무리인 죽음을 위해 우리는 죽음에 대해 알아야만 한다.

하지만 솔직히 나 자신을 포함 우리 모두에게 반드시 다가오는 죽음에 대해 그 실상은 물론이고 미래상에 대해서도 너무 모른다는 사실이다.

그저 닥치면 어쩔 수 없이 하라는 대로 끌려 다니고 따라하다가 가버린다면 너무 허망할 것이기 때문이다.

이런 의미에서도 최근 ‘웰다잉’이 관심을 끌고 이에 대한 공부도 많은 사람들이 참여하고 있다고 한다.

아울러 ‘영원히 살 것처럼 준비하고 오늘 죽을 것처럼 살아가는’자세로 임한다면 훨씬 더 보람찬 시간으로 삶을 관리할 수 있으리라 확신한다.

일단 죽음의 문화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관련 현장에 대한 공부가 필요하다.

실제 나 자신이 병원에 입원해서 부딪쳐 보는 것이 가장 피부적으로 느낄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일 것이다.

하지만 간접적으로는 현장에서 종사하는 의료진의 이야기를 통해 익히는 방법도 아주 효과적이다.

그런 의미에서 이 책은 너무너무 귀한 책이다.

우리 사회 황폐한 죽음의 문화를 고발하면서 삶만큼 죽음도 존중되는 세상을 제안하고 있기 때문이다.

가정의학과 의사이자 호스피스 의사인 저자는 20년 넘게 수많은 사망 환자 곁을 지켜오면서 삶만큼 죽음도 존중되는 세상을 만드는 일이야말로 품위 있고 건강한 사회로 가는 길이라고 말한다.

이에 따라 저자는 의과대학, 병원, 그리고 개인이 스스로 죽음에 대한 각박한 인식을 바꿀 수 있는 방법들을 차례로 제시하여 독자들의 공감을 이끌어 낸다.

원래 우리에게 죽음이 왔을 때 전통적으로는 집에서 가족들이 함께 맞는 것이 내려오는 관습이었다.

하지만 급변하는 세태라고 하지만 지금은 4명 중 3명이 병원에서 죽는다고 한다.

이제는 집에서 죽음을 맞는 것이 아니라 병원이 명실상부 죽음의 공간이 된 것이다.

그러나 문제는 중증 환자 대부분이 죽음의 시간을 질질 끄는 연명의료의 지옥에 갇혀있다는 것이다.

산 것도 죽은 것도 아닌 재앙을 겪다가 생애 동안 쓰는 의료비의 대부분을 마지막 1~2년 동안 쏟아 붓다가 사망하게 된다는 점이다.

‘죽음의 산업화’라는 말이 여기서 나올 정도가 됐으니... 말이다.

이제 화려한 장례식장은 있어도 임종실은 없는 병원의 불친절한 죽음의 시스템을 다시 생각할 때다.

나아가 인간에 대한 예의를 상실한 우리 사회 죽음의 문화를 돌아볼 때이기도 하다.

이를 위해 선행되어야 할 것은 지금까지 우리 사회가 철저히 배제시켰던 죽음에 관한 담론을 다시 삶의 공간으로 돌려놓고 현실의 문제로 이야기할 수 있어야 한다.

그래야만 생명에 대한 맹목적인 집착을 버리고 삶의 연장으로서의 좋은 죽음을 만들 수 있기 때문이다.

우리 모두는 언젠가는 죽을 수밖에 없다.

이제는 죽음에 대해 당당하게 이야기할 수 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천천히 아니 세세하게 자신의 죽음에 대한 준비를 할 수 있는 여유를 가졌으면 한다.

바로 이런 사람들에게 이 책은 분명코 많은 의미와 함께 특별한 시간이 되리라 확신한다.

잘 죽는다는 것은 잘 사는 것의 연장선에 있다는 점이다.

이제는 삶의 완성으로서의 좋은 죽음을 이야기하는 웰다잉 문화 확산으로 이어졌으면 하는 바람을 가져본다. “‘메멘토 모리’= 자신의 죽음을 기억하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