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 황진이
김탁환 지음, 백범영 그림 / 푸른역사 / 2006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김탁환의 『나 황진이』를 읽고
우선 이 책은 황진이가 화자가 되어서 글을 전개하는 폼이 색달라서 읽고 이해하기가 비교적 쉬웠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작가의 탁월한 어휘력 선택과 함께 공부할 수 있는 수많은 주석을 달아 줌으로써 많은 공부를 할 수 있어서 이것만으로도 다른 책과 비교할 수 없는 혜택을 얻을 수 있어 유익한 시간이었다. 물론 용어 자체가 익숙하지가 않고, 중국 내용도 넘나들기 때문에 수시로 꺼내어 보면서 공부하는 기회로 삼아도 좋을 것 같다. 솔직히 내가 아는 황진이는 송도삼절의 한 사람으로서의 개성의 유명한 기생의 삶 속에서 다른 기생과는 다른 인생을 개척해낸 사람으로 정도만 알고 있었다. 그러나 이 책을 통해서 황진이의 이력을 비교적 상세하게 알 수 있었다. 역시 사람이 성장하는 데에는 주변의 환경이 가장 중요하다는 사실을 다시 한 번 확인하게 되기도 하였다. 신분사회가 엄격히 적용되었던 그 시대에 눈 먼 기생의 딸로 태어나서 온갖 어려움과 고초 속에서도 자기 자신의 삶을 예견하고, 개척해가는 모습 속에서도 스승의 힘이 위대하다는 것을 알 수가 있다. 이 세상 많은 훌륭한 인물들이 좋은 스승을 만나서 그 뜻을 이루어 냈다는 예들 들지 않더라도 바로 조선 중기에 황진이도 분명 훌륭한 스승을 만난 것이 행운이었던 것이다. 황진이가 겪는 개인의 전설적인 여러 삶에 대한 단편뿐만 아니라 스승이었던 화담 서경덕 그리고 송도를 중심으로 한 조선 중기의 문화 지형을 그리고 있는 것이다. 평소에 개인적으로 예술을 하는 분들을 보면 정말 ‘대단한 분’이라는 생각을 갖고 있다. 남다른 정열과 혼을 태우지 않는다면 좋은 작품은 절대 나올 수가 없기 때문이다. 황진이도 시, 문장, 춤, 그림, 가락을 사랑하는 남다름 그 마음에서 그 함부로 범할 수 없는 멋들어짐과 끊임없는 자기 자신과의 싸움 끝에서 얻어낸 승리감인 것이다. 이런 황진이를 보면서 다시 한 번 예술을 하는 많은 분들께 존경과 함께 더 많은 훌륭한 작품을 탄생시켜 냈으면 하는 바람을 가져 본다. 책을 읽는 내 내 마치 내 자신이 황진이가 된 듯한 인상을 받기도 하였으면 책 곳곳에 내용에 맞는 생생한 그림들이 그려져 있어 황진이와 함께 있는 듯한 착각이 들기도 하였다. 최 현대를 살아가면서 예전 세계로 돌아가서 이렇게 생생하게 호흡을 같이 하면서 읽을 수 있는 독서 시간도 꽤 색다른 체험이었다. 좋은 독서와 공부를 할 수 있게 만들어 준 작가의 투철한 정신과 노고에 깊은 감사를 드린다. 그리고 더 나은 필력과 노력을 통하여 한국의 문단을 빛내주는 탁월한 작가로서의 활동도 기대를 해본다. 좋은 책을 쓰고 만드는 바람직한 출판문화의 활발한 활성화도 이루어졌으면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