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참을 수 없는 월요일 - 참을 수 없는 속마음으로 가득한 본심 작렬 워킹 걸 스토리
시바타 요시키 지음, 박수현 옮김 / 바우하우스 / 2008년 10월
평점 :
절판
"다 좋다 이거야. 근데 시중에 널린 수많은 20대 후반, 30대 초반을 겨냥한 소설들은 좀 동떨어져 있지 않아? 누가 저렇게 다 멋지고, 뽀대나게 사냔말이야!"
재미도 있고, 환상도 무럭무럭 키워주는 일명 칙릿소설. 읽을 때는 마냥 푹 빠져 읽어도, 읽고나면 남는 이 찜찜함은 결국 지금의 우리와 다른 모습이라는데서 오는 게 아닐까. 그런 관점에서 딱 '우리'네 일상같은 이야기가 있으니.. 시바타 요시키의 <참을 수 없는 월요일>이다. 월요일부터 금요일 그리고 주말로 나눠진 책은 요일별로 특징을 꼭 집어 평범하면서도 톡톡튀는 일상을 소개한다. 자칭 못생기고 절벽가슴에 별볼일없는 주인공 '네네'를 만나보실까?
일단 주인공부터가 현실이다. 쭉빵 미녀도, 센스있는 옷걸이도, 능력자도 아니다. 평범한 경리부 사원. 이름은 특이하고, 낙하산 직원이란 강박에도 좀 사로잡혀있고, 초미니 모형 만드는 오타쿠적인 취미까지. 그런 그녀의 일상은 어떤 일이 기다리고 있을까, 하고 들여다본다.
월요일에는 경비 떼어먹으려는 사원과 한바탕, 화요일은 왠일로 머리도 하고 '남자꼬시기용 속옷세트'도 충동구매, 수요일엔 졸지에 가정있는 남자와 바람핀 여자가 되어 수사에 착수한다. 사실 이쯤되면 결코 일상적이진 않은데... 읽다보니 이 사람 은근 웃기기도 하고, 왠지 호감도 간다. 목요일엔 회사내의 어쩔 수 없는 이지메 사건에 울적해하며 달디 단 케익을 입 속에 마구 넣어버리고, 금요일엔 한바탕 싸운 편집부 사원과 운 좋게 길거리에서 만나 화해한다. 주말엔? 아, 직접 읽어보시길. 여기까지 오면 도저히 일상이라고 하기엔 너무나 큰 사건이!
'네네'의 일상을 읽는 건 마치 한 편의 미니 드라마를 보는 듯 재미있다. 아무 생각없이, 부담없이 집어들어 읽기 딱 좋을 정도랄까. 한 손에 도넛 들고 얌얌하면서 적당히 쿡쿡거리며. 그런데 읽다보면 사이사이 생각지도 못한 보물들이 숨겨져있다. 사람이 사람을 만나는 인연에 대한 한 마디. 젊은 날 사랑에 대한 충고 등등. 고개를 끄덕끄덕한다. 가령 이런 문장.
"그냥 우연인거지, 전부. 하지만 그 우연이 잔뜩 겹쳐져서 우리들은 서로 알게되고, 싸움도 하고, 술 마시러도 가고, 좋아하게도 되고, 미워하기도 하는거지. 만일 사소하지만 하나라도 달라졌더라면 결코 만날 일이 없었을지도 모를 사람들끼리 우연이라는 불가사의한 힘 덕택에 만나게 디어서 서로의 인생에 영향을 주고 서로 바꾸어가는 거라고 그렇게 생각하면 인연이란 건, 참 신비하다고 생각해."
사람을 만나는 것 뿐일까. 우리네 일상이란 것도 결국엔 수많은 우연이 겹쳐져서 만들어지는 것이다. 순간 수많은 선택 중 하나를 함으로써 다음 일이 일어나고, 또 다음 일이. 하나라도 달라졌다면 그 결과는 수만가지 다른 갈래로도 갈 수 있었던 걸 생각하면 순간이 만들어내는 지금은 얼마나 소중한지. 그 시간을 함께하는 누군가들은 말할 것도 없고.
일본 소설이 가볍다느니, 도대체 전하려는 게 뭐냐느니 그런 말도 많이 한다. 그러나 바로 이런 게 일본문학의 매력이 아닐까. 아무것도 아닌 것들로 가득차서, 즐겁게 읽다보면 어느 새 지금의 순간을 사랑할 수 있게 되는 점. 나도 예전처럼 일본 문학의 애독자는 아니지만, 가끔 이렇게 만나는 소설들은 나를 일상의 행복에 젖게 만든다. 그리고는? 다시 화이팅! 일상으로 돌아가기.
우리 모두 참을 수 없는 월요일을 원망하며 한 주를 시작하지만, 때론 비밀스럽게, 외롭게, 달달하게 하루하루를 보내다보면 주말은 돌아오게 마련. 반복되는 일상에 지치지 말고 오늘도 행복하기를, '네네'와 나는 기운차게 외치련다. 아자! 어쩌피 살아야 할 매일이라면 당신도 기운내서 외치기를. 아~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