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으로 5년, 경매하고 리모델링하라
이종민 지음 / 인사이트북스 / 2014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나라처럼 집값이 비싼 곳에서 집이란 의미는 한 가정에서 단순히 삶의 터전 그 이상의 가치를 가질 것이다.
어떤 사람에게는 전 재산일 수도 있고 어떤 사람에게는 전 재산 이상의 가치일 것이다 (대출이 포함되었다면!)
대출없는 자가라고 할지라도 집은 그 가계의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는 가장 비싼 자산 중 하나로 분류될 것이다.
이처럼 내 평생을 모아서 가질 수 있는 집을 어떻게하면 좀 더 좋은 가격을 받을 수 있을까? 혹은 좀 더 싸게사서 비싸게 팔수있는 방법은 없을까?
 
즉, 이 책은 집을 일종의 재산증식 수단으로 보고 집을 샀다가 바로 판다고 하더라도 홈스테이징을 통해서 집의 가치를 올릴 수 있다고 한다.
우리는 이사를 결심했을때 대부분 떠날 집에 대해서는 별 관심이 없고 새집에 대해서만 어떻게 꾸밀지 고민하는 경우가 많다.
저자는 이는 굉장히 비합리적이라고 꼬집는다.
이집을 보러 오는 사람들도 역시 깨끗하고 좋은 모습을 보고싶어한다.
그리고 그런 집들은 다른집보다 경쟁우위를 가지기 때문에 가격도 높고 집도 더 빨리 나갈 수 있다고 한다.
 
사람을 판단하는 첫인상! 그 첫인상은 수초만에 결정된다고 인사면접관들은 말하곤 한다.
집을 볼때도 크게 다르지 않는다고 한다.
매입자는 집을 15초내에 살지 말지 마음의 결정을 한다고 한다!
그만큼 집의 첫인상이 중요하고 집의 인상을 결정하기 위해서는 필요없는 물건은 치우고 집의 배치를 바꾸거나 혹은 완전 리모델링을 통한 집의 가치를 업할 수 있다.
 
혹자는 비수기일 경우 힘들지 않겠냐고 반문한다.
저자는 오히려 비수기일수록 더 좋다고 말한다.
비수기이면 집을 좀 더 싸게 매수할 수 있기 때문에 홈스테이징을 통해서 가치를 업시키면 평소가격으로 팔더라도 매수자는 좀 더 이득본 느낌을 가질 수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홈스테이징이라는 곳에서는 비수기이든 성수기이든 큰 관계가 없다고 한다.
 
이 책의 살짝 아쉬운 점은 일반 단독주택 위주의 팁들이 많다는 것이다.
요즘 이런 추세가 늘어나는 이유도 있겠지만 나는 개인적으로 아파트에 관심이 많기 때문에 단독주택 하우징에는 별 관심이 없었다.
그리고 경매는 내 간으로 하기에는 무서운 부분이 있어서 마음에 고이 접은지 오래된 관계로 경매쪽 부분은 스킵했다.
 
집은 이제 단순한 공간에서 벗어나서 돈되는 공간으로 진화했다.
요리사가 음식을 잘 만들어야 음식점이 번창하듯이 나도 내 집에 대해서 잘 알아야 더 좋은집을 만들 수 있지 않을까?
집에대해서도 공부하는 습관을 길러보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