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우유의 역습 - 당신이 몰랐던 우유에 관한 거짓말 그리고 선전
티에리 수카르 지음, 김성희 옮김 / 알마 / 2009년 10월
평점 :
절판
가끔 폭로서나 이제 말할 수 있다 등의 거대한 파문을 가져오는 책들이 있다.
이 책도 그런 류의 책이다.
아니, 어쩌면 더 대단한 책일지 모른다.
우리는 누구나 우유를 완전식품이라고 알고있고 많이 먹으면 몸에 좋으며 부작용은 생각해본적도 없다.
우유는 다다익선이므로 많이먹으면 좋은것이고 칼슘이 흡수되어 몸이 더 건강해지니까!
라고 생각하면 살아왔다.
그런데 우리는 왜 이렇게 생각하고 있는 것일까?
교과서에서 배웠기 때문이다.
그저 교과서에서 우유와 계란은 완전식품이라고 주관식에 수없이 써왔다.
이것이 진실이라고 믿는 사람들에게 이 책은 정면으로 그 사실을 반박한다.
나는 정말 우유를 좋아한다.
사실 초등학교때 강제로 배급되는 우유를 정말 싫어했다.
버리기도 많이했고 먹지않으려고 도망도 쳐봤다.
그러나 몸이 원하지 않았던 우유도 계속 먹는 버릇을 들이니 맛이 있어졌다.
지금은 누가 시키지 않아도 하루에 3잔정도는 꼬박꼬박 마신다.
간식비의 대부분을 우유에 바치는 나로서는 이 책은 가히 혁명이었다!
우선 나는 낙농업계가 우유 급식을 하기위해 엄청난 로비를 했다는 사실을 처음 알았다.
물론 미국의 일이겠지만 나도 겪어왔고 지금까지도 행해지고 있는 우유급식이 낙농업계의 로비에서 시작되었다고 생각하니 몸이 떨렸다.
또한 칼슘섭취를 위한 최고방법이라고 생각했던 우유보다 야채들이 더 낫다는 사실은 정말 놀라웠다.
이 책에 의하면 우리는 칼슘을 위해 우유를 먹을 필요가 없다.
그저 야채를 포함해 골고루 먹으면 해결되는 것이다.
(생야채도 좋고 야채를 조금 데워먹어도 좋다)
그러면 30% 흡수될 칼슘이 70%까지 흡수될 것이라고하니 놀라울 따름이다.
그러고보면 우유, 즉 유제품 소비가 많은 나라들이 골다공증에 걸리는 확률도 높게나온다.
우리가 아는 상식대로라면 역관계가 형성되어야하는데 우리는 한번도 의심하지않고 그러려니하고 넘겨버렸다.
얼마나 한심한 일인가!
사실 나는 이미 우유중독자라서 얼마나 헤어나올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그러나 이 책을 통해서 또다른 이유없는 우유중독자가 탄생하는 일은 줄어들기를 바란다.
결론은 몸에 좋은 음식을 '더'먹는 것이 아니라 '모든' 음식을 먹으면 된다는 평범한 진리를 기억하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