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플리스트 - 복잡한 문제를 단순하게 해결하는 인재
장성규 지음 / 리더스북 / 2014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심플리스트의 삶을 지향하면서 스스로 심플리스트가 되기위해 노력하는 저자~

저자는 수많은 직장인들이 더 효율적으로 일하고 보다 행복하게 살기위해 무던히 애를 쓰면서도 원하는 결과를 얻지 못하는 역설적 현상에 대해 오랜시간 고민했고 그 과정에서 복잡성이라는 것을 알아냈다.

이 책을 통해서 복잡성의 실체와 폐해를 지적하면서 어떤 복잡한 상황도 심플하게 해결하는 심플리스트에 대한 이야기를 하고자 한다.

 

사실 나는 복잡한 것이 더 멋있다고 생각하고 살고있었다.

뭔가 남들이 모르는 수식과 공식이 함께 들어있는 보고서는 더 멋있어 보이고 남들이 이해하지 못하는 말들을 써야 더 돋보이는 느낌이랄까? 보고서의 퀄리티가 높아지는 착각이 들면서 엘리트가 된 느낌이 들었다.

항상 어려운 말들과 미사여구를 덧붙여 보고서를 작성하던 나에게 처음으로 어려운 명령이 떨어졌다.

3살아이가 읽어도 이해할 수 있을 만큼 쉽게 쓰라는 것이었다.

쉽고 단순하게! 한장으로!

헐!! 정말 헐이었다.

학교를 다닐때 레포트 10장을 쓰는것이 어려웠고 1장은 정말 쉬운 일이었다.

그러나 어느순간 나는 10장의 레포트는 잘 쓰지만 그것을 1장으로 요약하는 것은 못하는 바보가 되어있었다.

 

많은 심플리스트들은 이런 일을 겪고 아무리 큰 회사고, 큰 투자건이라도 심플하게 보기위해 집중했다.

어려운 일들이라도 결국 그 해법은 있으며, 커 보이는 문제라도 근본원인은 단순할 수 있으며 금방 해결할 수 있다는데 중점을 두고있다.

잭 웰치는 아무리 금액이 큰 투자건이라도 한장의 보고서로 보고받았으며 그 한장의 보고서로 투자여부를 결정했다고 한다.

삼성의 이건희 회장도 항상 문제를 보면서 왜?라는 질문을 계속하며 그 근본원인을 찾고자 노력했고 결국 큰 일이라도 그 원인은 간단한 한두가지에서 비롯된다는 것을 알고 파악하고 있었다.

결국 위에서 땜빵식으로 해결하는 것이 아니라 근본원인을 파고들어서 해결하는 것이 미래를 위해서도 좋은 것이다.

 

회사 생활을 하면서 요즘은 점점 심플함이 강조되고 있는 것 같다.

회사를 다니다보니 이제 짬밥이 쌓여서 이런 경우 이렇게 행동하는 것이 좋다는 프로그램이 내재되어있다.

그런데 그 중심에는 심플리스트가 들어있는 느낌이다.

이 책에서 잘 지적하고 있는 것 같아서 회사생활에 조금은 도움이 되는 느낌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