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카루스 이야기
세스 고딘 지음, 박세연 옮김 / 한국경제신문 / 2014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무슨말이 필요하겠는가! 너무너무 재미있게 읽었다.

이카루스는 너무너무 유명한 신화이야기이다.

모르는 사람들을 위해서 잠시 설명하자면 이카루스의 아버지 다이달로스는 손재주가 비상하며 못만드는 물건이 없었다고 한다.

그는 반인반우의 미노타우로스를 가두기 위해서 미로를 설계하여 영원히 빠져나올 수 없는 미로를 만들었다.

추후 그는 왕의 신임을 잃게되어 그 미로에 아들 이카루스와 함께 갖히게 되어버린 것이었다.

절대 빠져나갈 수 없는 미로인 것을 알고있는 그는 깃털과 밀랍으로 날개를 만들어 그 미로를 탈출하기에 이르렀다.

그는 아들에게 당부했다고 한다.

절대 태양 가까이 날지 말라고 말이다.

그러나 이카루스는 하늘을 날면서 기분에 도취되어 태양 가까이 날았고 날개가 녹아서 바다에 떨어져 죽었다는 신화이다.

이 신화는 신이되려고 하지 말것, 너무 자만하지 말것에 관한 이야기를 하고 있는 것으로 끝맺음이 되곤 한다.

 

그러나 다이달로스는 두가지 말을 했다고 한다!

너무 높게 날지 말것, 그리고 너무 낮게 날지 말것!!!

높게 나는 것이 자만을 뜻했다면 너무 낮게 나는 것은 극도의 겸손을 뜻한다.

내가 하고있는 일을 열심히 하는 것도 좋지만 내가 할 수 있는 일은 그 이상의 것인데 현실에 안주하고 날 생각조차 하지 않는 많은 사람들이 있다.

그런 사람들에게 경종을 울리는 이야기가 아닌가 생각된다.

너무 낮게날때 안정감과 함께 편안함을 느끼면서 이 행복을 꺠질까봐 두려워서 조금 더 높이 날 시도조차 하지 않는 우물안 개구리들!

바로 나와 같은 현대인들의 자화상이 아닐까?

 

이런 비상을 거부하는 데에는 개인의 역할이 가장 크겠지만 고도로 사회화된 이 사회의 구조도 한몫 하고있다고 말한다.

수동적인 삶의 방식을 거부하고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삶을 꾸려나간다면 좀 더 나다운 삶을 살 수 있지 않을까?

가장 감동적이었던 구절~ 세상에는 특별한 일을 하는 평범한 사람이 많다는 것이다.

그 사람들도 평범한데 자신은 평범하지 않다는 노력과 함께 좀 더 높이 날기 위한 노력을 지속한 결과 적절한 높이를 유지하고 있는 것은 아닐까?

 

무턱대로 능력 밖을 탐내면서 태양가까이 나는것도 좋은 모습은 아니겠지만 현실에 안주하지 않고 한걸음 더 높이 나느 연습이 우리에게 필요한 시점인 것 같다.

적극적으로 추천합니다~! 좋은 책입니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