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발상의 비밀 - 노벨상을 수상한 두 과학자의 사고법과 인생 이야기
야마나카 신야 외 지음, 김소연 옮김 / 해나무 / 2014년 1월
평점 :
절판


노벨상은 전세계 누구나가 알고있고 탐내는 대단한 상이다.

우리나라에서 노벨상을 탄 사람은 내가 알기로는 노벨평화상 수상자 한분을 제외하고는 없는 것으로 알고있다.

물론 평화상도 훌륭하고 충분히 권위있는 상이지만, 그래도 노벨상의 기원을 되짚어보면 조금 더 멋져보이는 것은 과학쪽이 아닐까하는 편견을 가지고 있다.

기초과학이나 순수학문을 연구해서 인류의 삶에 도움이 되는 방향으로 발전을 가져다 준 과학자, 의료진에게 주는 최고의 수상이 바로 노벨상이 아닌가 생각된다.

 

노벨상을 탔다는 그 자체가 매우 대단한 일이기 때문에 노벨상 수상자는 뭔가 다른 사람일 것이라는 편견도 함께 가지고 있다.

좀 다른 포스나 아우리가 느껴진다고 해야할까?

남들과 다른 삶을 살고있을 것이라는 편견과 함께 조금 괴짜느낌을 풍기면서 살아갈 것이라고 생각한다.

모든것이 완벽한 사람인데 노벨상까지 받았다고하면 뭔가 조금 억울한 느낌이니까! ㅋ

 

하여튼 이 책은 두 노벨상을 탄 학자에 관한 이야기를 하고있다.

두 사람의 대담형식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읽는데 그리 지루한 느낌은 아니다.

노벨상을 탄 주제에 관해서 이야기를 했다면 나는 이미 잠들었을지도 모르겠다.

그들의 유년기부터 학자의 삶을 살게되기까지의 여정, 그리고 노벨상을 타기까지의 삶의 태도 등에 대해서 서로 이야기를 나누는 형식이다.

두 사람다 노벨상을 탔다는 공통점 이외에는 다른부분도 꽤 많이 보였다.

 

우선 마스카와 박사는 학생때 숙제라고는 하지않고 하고싶은 것도 무척이나 다양해서 이것저것 다 해보는 학생이었다.

선생님 입장에서는 달갑지 않은 학생이었으리라!

자기가 꽂히는 일은 열심히하되 하고싶지않은 일은 쳐다보지도 않는 괴짜였다.

대신 꽂히는 일은 밤을 새서라도 꼭 해내고 마는 의지와 집념은 가지고 있었다.

그런데 불행히도 꽂히는 일들이 그리 대중적인 일들이 아니라서 그를 받아주는 연구소가 거의 없었다고 하니 웃지못할 비운인 셈이다.

 

반면 야마나카 박사는 정형외과 의사로 출발했다.

우리나라나 일본이나 의사는 대단한 직업이고 특히 정형외과는 과도 좋은 곳인데 갑자기 과학자라니!

이유는 그가 형편없는 수술실력을 가진 정형외과 의사였기 때문이었다.

그는 본의반, 타의반으로 의사계를 떠나고 과학자의 삶을 시작하게 되었다.

그것도 그리 순탄하지는 않았다고 한다.

 

노벨상을 탄 과학자들의 삶을 조금은 엿볼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고 해야할까?

기분전환상 가볍게 읽어도 무방한 책으로 보여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