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의 심리백과 - 완벽한 부모는 없다
이자벨 피이오자 지음, 김성희 옮김 / 알마 / 2009년 3월
평점 :
품절


정말 오랜만에 별 다섯개가 아깝지 않은 책을 만났다
너무너무 유익하고 사실적인, 부모와 아이의 눈높이에 딱 맞는 책이다
한장한장 곱씹으로 읽는다고 시간이 오래걸렸지만 읽으면서 너무나 행복한 책이었다
이 책은 “그래! 맞아! 바로 이랬었지!” 라는 말이 그냥 저절로 튀어나올 정도로 현실성있지만, 실천 가능한 부모와 아이의 소통법에 대해서 이야기하고 있다.
 
나는 아직 미혼이고 미혼모가 아니기 때문에 아이는 없다.
그러나 아이들에게 관심이 많아서 유아교육과를 다녔던 경험이 있다
결국 이상과 현실이 다름을 깨닫고 자퇴하고 새로운 길을 찾았지만 말이다
당시 내가 느낀 괴리감을 잘 표현해 준 책이다
 
나는 실제 내가 아이를 기른다면 어떨까에 대해서 자주 상상해보곤 한다.
너무 이쁘기만 할까?
내 대답은 대부분 아니오였다.
사실 자신이 없다.
얼마나 내 자식을 사랑해줄지, 사랑스럽기는 할지…
다들 아이들이 눈에 넣어도 안아플 정도로 예쁘다고 하지만, 난 눈에 넣으면 아플 것 같은데 ㅋ
아이들이 사랑스럽지 않다고 말할 “권리”가 없는 우리 사회에서 정말 아이가 사랑스럽지 않으면 나는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지..
내가 아이 엄마가 아닌, 나로서 생활할 수는 없는 것일까?
아니면 정말 사랑스러운 내 아이를 어떻게 길러야 아이와 내가 모두 행복할지..
끊임없는 고민과 질문이 내 머릿속을 혼란스럽게 만들었다.
그리고 이 책은 꽤 현실적이고 구체적인 답변을 해주고 있다.
 
심리학자가 많은 상담을 통해 경험을 바탕으로 쓴 책이기에 부모나 아이 누구에게도 치우치거나 편향되지 않은 둘 다 행복할 수 있는 윈윈에 대해서 쓴 것 같다.
사실 하나를 꼽으라면 어른이 바뀌어야 할 가능성이 높다.
어른은 자신의 어린시절을 아이에게 투영하고자 하는 심리가 강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런 방식은 아이들에게 또 다른 상처를 낳게 하고 악습이 되풀이되는 것이다.
(이런 점 때문에 가풍을 중시하고, 소위 이혼가정이나 홀부모 등 일반적이지 않은 가정에서 자란 아이들의 성격이 포악하거나 공격적일 수 있다는 선입견아닌 선입견이 생긴 것 같다. 그러나 놀랍게도 이 편견은 꽤 근거가 있다는 점에 놀랐다)
 
아이는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어른스럽고 생각이 깊다는 점도 흥미로웠다.
엄마는 자신이 참고있다고 생각할지 모르지만, 객관적으로 아이가 더 참고있다는 말이다!
아이는 엄마가 하는 일은 무조건 옳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엄마가 비합리적인 방식으로 자신을 다룬다고 해도 별 저항없이 참아준다.
만일 이런 방식으로 남에게 대했더라면 큰 싸움이 났을 것이다.
그러나 부모 자식 관계에서 항상 더 많이 참고 인내하는 쪽은 놀랍게도 부모가 아니라 아니였던 것이다!
엄마가 아이만큼만 인내하고 참았더라면 둘 사이에 큰 다툼은 없을 것이다.
 
이 책은 사례중심으로 많은 내용이 담겨있기 때문에 다른 책보다는 다소 두꺼운 감이 있다.
그러나 시간이 너무 없고 바쁘시거나, 핵심만 콕 집어서 보고 싶으시다면 255페이지부터 끝까지 읽어보시길 권한다.
255쪽에는 한살부터 아이가 성인이 될 때까지 가장 주의해야 할 점들에 대해서 써있다.
아이의 생각과 부모가 어떻게 행동하면 좋을지에 대해서 읽어보면 나도 왠지 좋은 부모가 될 준비가 된 것 같아서 기분이 좋아진다
 
내가 강조하고 싶은 점이자 이 책을 통해 가장 크게 배운 점은 아이를 내 자존심을 위해 사용하지 말라는 것이다
아이가 길에서 크게 울면 우리는 다그친다.
창피하게 왜 우는 것이냐고 말이다.
그러나 실제 아이는 하나도 창피하지 않다.
창피한건 우리, 바로 부모쪽이다.
혹여나 다른 사람들 눈에 우리가 나쁜 부모로 보이지 않을까 하는 두려움이 작용하기 때문에 아이가 나 때문에 우는 것을 용납하기 힘든 것이다.
따라서 아이가 우는 것을 아이 탓으로 돌린다.
고집이 세고 아이가 버릇이 없다는 식으로 말이다.
이처럼 부당한 경우가 어디있을까?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이는 그 말을 듣고 자신이 고집이 세고 버릇이 없는 아이라고 생각한다.
아이의 정체성에 악영향을 주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럴 때 아이와 눈을 맞추고 다른 사람의 시선이 아닌 아이의 시선에서 현 상황을 바라본다면 문제는 더 쉽게 해결될 것이다.
 
너무 많은 이야기가 있지만, 나의 결론은 “강추” 라는 것이다.
이미 아이가 있는 분이나, 아이가 생길분들 모두에게 좋은 책이 될 것이다.
혹여 아이가 생길 가능성이 없다고 하더라도 손주를 위해서 읽어보는 것은 어떨까?
훨씬 부드러운 조부모가 될 수 있을 것이다 ^_^*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