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984 ㅣ 열림원 세계문학 7
조지 오웰 지음, 이수영 옮김 / 열림원 / 2025년 4월
평점 :

조지 오웰이 그린 미래는 극단적 전체주의 사회를 그렸다. 소설을 쓴 1948년을 약간 뒤집어 1984년이 제목이 되었다고 하는데, 지금은 조지 오웰이 그린 미래를 한참이나 지나온 그의 ‘미래 사회’이지만, 세상은 그의 미래와 어쩌면 닮기도 했다. 빅 브라더의 사진과 감시가 가능한 텔레스크린, 곳곳에 숨겨진 도청장치는 눈에 보이는 감시일 뿐 일반인 속에 숨어있는 사상경찰이나 충성스러운 타인은 더 고도화된 감시 시스템이다.
1984년 4월 4일, 윈스턴은 몰래 구입한 노트에 펜으로 일기를 쓰기 시작한다. 실제 전쟁은 하고 있는지, 반체제라는 단체는 있기나 한 건지, 당원으로 현재에 맞춰 과거를 고치는 일을 하는 그가 진실에 대해 궁금해하다 일기에 욕지기라도 써야 할 것 같은 생각에서 일기를 쓰는 것이다.
그러던 어느 날 당원인 줄리아로부터 ‘사랑해요’라는 쪽지를 받으면서 살아있음을 느끼게 되지만 그들의 밀회는 오래가지 못하고 체포되고 만다. 자신과 같은 사람들이 조금씩 뭔가를 바꾸기 위해 노력하면 후대에는 세상이 달라질 거라 믿었지만 고문의 고통 앞에서 그는 그들이 무엇을 원하던 먼저 대답할 준비가 되는 무력함을 느낀다.
마음과 함께 육체가 사람의 모습이 아닌 만큼 고통받고, 그의 생각마저 자유로운 의지를 버릴 때쯤에야 그는 풀려난다. 그리고 그는 빅브라더의 사진을 보며 이제는 그를 의심 없이 사랑하고 있는 자신을 느낀다.

현재에 맞춰 과거를 고치고 무의식적으로 뉴스를 받아들이는 일은 1984의 시대에만 있는 건 아니다.
똑같은 사건을 경험하고 뉴스를 봐도 각자의 머릿속은 자신이 믿고 있는 데로 각색되고 가짜라고 단정하는 시대를 지금 우리는 경험하고 있다.
‘과거를 통제하는 자가 미래를 통제하고, 현재를 통제하는 자가 과거를 통제한다.’
1948년에 그린 조지오웰의 이 세계가 지금도 통하는지 시험하고 있는 이들이 있다는 사실이 이 책을 읽는 내내 섬뜩하게 한다.
1984에서는 공포와 육체적 고문으로 의지를 무너뜨리지만, 지금은 ‘새말의 원리’를 그대로 받아들이는 사람들이 존재하는 것처럼 가짜뉴스를 통해 자유의지로 충성하게 하는 더 고도화된 빅브라더가 존재하고 있는 세상이 아닌가 싶다. 하나의 권력이 전체를 속이는 빅브라더라의 경우를 우리는 경험했고, 헤쳐나갔다고 생각했는데, 각자 다른 종교의 우두머리가 통치하는 세계처럼 맹신자들을 통해, 선동하고, 가짜뉴스를 생산해 내는 조지오웰이 두려워한 그 미래의 2025이기도 하다.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리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