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은 유구한 역사와 전통을 자랑한다고는 하지만, 우리의 역사는 매번 중국에 대한 자학과 일본에 의한 왜곡으로 좁은 반도의 역사로 머물러 지곤 합니다. 삼국 이전의 고대사 또한 문헌의 증빙이 어렵다는 이유로 잊혀지고, 버려지는 오늘의 현실... 하지만 유홍준 교수님께서 읽혀주는 우리의 역사는 비단 누구의 지배가 아닌, 누가 머물렀는가에 집중하십니다. 머무름의 자리 그 속에서 피어난 우리의 문화와 문화재에 집중하여 쓰시는 글 하나하나는 잊혀진 기억의 파편을 제자리로 복원해주십니다. 그것이 참 좋습니다. 복잡다단한 연대기의 서술이 아니라, 우리의 추억을 되짚어 주는 양 자상하고 또한 위엄있었던 우리 할아버지의 옛이야기와 같은 그 추임새가 말입니다. 금번 일본편에 대한 기대 또한 무척 큽니다. 해외 밀반출된 우리 문화재가 수십만점 아니 계산 조차 할 수 없는 아찔한 작금의 현실에 유홍준 교수님의 비판은 과연 어떠할까요. 후손의 무지몽매한 실수와 잘못을 이제는 어떻게 바로잡아야 할지, 그리고 일본이라는 가깝고도 먼 나라에 도래인이라고 불리어졌던 우리 선조들의 화려했던 옛 흔적은 어떠했는지 교수님의 말과 글이 오늘 그리고 내일 궁금 또 궁금해집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역사 ⓔ - 세상을 깨우는 시대의 기록 역사 ⓔ 1
EBS 역사채널ⓔ.국사편찬위원회 기획 / 북하우스 / 2013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역사는 속시끄럽다. 
역사는 지겹다.
역사는 필요없다.

그래도 지겹도록, 아쉽도록 
역사를 기억해야하는 까닭은 무엇일까?

연산은 말한다. '人君所畏者, 史而已'
내가 두려워하는 것은 역사뿐이다.
무서워할 것없는 희대의 폭군마저
두려워했던 마지막 남은 것은 역사뿐이었다.

그래서일까? 
그는 조선왕조에서 유일하게 
역사를 본 왕이다. 
그리고 그에 대한 응보였을까?
그는 단 두사람뿐인 폐왕의 신세가 되고 말았다.

이처럼 역사는 무섭고도 냉엄하며,
때로 두렵기까지 하다.

이 책은 그러한 역사가 
우리에게 주는 많은 생각거리들을 
단 세가지로 요약해서 보여준다.

1. 어떻게 살것인가?
폼나게 살수있다. 폼나게 죽을 수 있다.
흔한 선택은 폼나게 사는 것일 것이다.
하지만 역사 앞에 폼나게 살고, 죽는 것은 
오직 하나 뿐이다.

수백억 재산조차 초개같이 버리고 
독립 대한을 꿈꾸며, 만주로 떠난 우당 이회영일가

전란의 무서움을 알기에, 당대의 비판에도 불구하고
청과의 비밀외교를 펼쳤던 광해와 강홍립장군 

임금 앞에서, 대신앞에서 
목숨을 초개같이, 말을 천금같이 해야했던 간관의 삶

역사는 그렇게 어떻게 살것인가에 대한
질문에 사람으로 대답해준다. 

2, 나는 누구인가? 
멘붕에 빠진 누군가의 자탄이 아니다.
그렇다고 나의 성명, 직업, 족보를 
따지자는 것은 더더욱 아니다.

시대를 관통하며,
오늘의 우리를 만든 사람들을 
기억하자는 것이다.

조선의 진정한 사대부 윤두서
왕의 측근이자, 보이지 않는 공신 환관
시대의 슬픔이자 반복된 비극이었던 환향녀
아직도 찾지 못한 우리시대의 사표 안중근 의사의 묘

반드시 화려한 역사의 스포트라이트를 
받은 사람이 아니더라도
절절히 아팠던 상처뿐인 과거의 주인공일지라도
오늘의 우리를 만든 또 하나의 선조임을
알고 안아주자는 것이다.

3.무엇을 기억할 것인가?
만주벌판 드넓게 뛰어다녔던 
고구려 개마무사의 말발굽소리를 기억할 것인가?
처절했던 일제강점기 독립군의 피비린내나는
만주벌의 발걸음을 기억할 것인가?

역사의 선택이 있다면,
아마 비극을 기억하지 않은 민족에게
절대 희극을 허락하지는 않을 것이다.

그래서 999번째를 맞은 
일본군 위반부 할머니의 이야기

동학농민혁명의 참담했던 패전
황토현전투이야기

도망가는 왕, 도적이 되는 백성
임진왜란중의 쩔쩔매는 조정과 
절절했던 백성의 이야기는

절로 우리의 가슴을 뭉클하게 
그리고 오늘을 돌아보는 계기가 되고만다. 

반성이 없는 역사는 반복되어진다.
역사의 인과법은 그렇게 
성기면서도 어김없이 치밀하다.

우리는 과연 어떠한 역사를 만들어갈것인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마지막 한 걸음은 혼자서 가야 한다 - 정진홍의 900킬로미터
정진홍 지음 / 문학동네 / 2012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내 삶의 호흡이 거칠어집니다. 발걸음은 무거워집니다. 

삶의 날은 무뎌지고, 청춘의 열정은 식어만 갑니다. 

서른이라는 고개를 넘어, 청년이라는 말도 식상해져가는 요즘!


책 하나를 읽었습니다. ‘마지막 한 걸음은 혼자서 가야한다.’

생경했습니다. 사회적 연대의 가치를 외치는 요즘, 혼자서 할 수 있는 것이

과연 무엇이 있을까요? 저자는 낯선 나라에, 낯선 길에 자신을 던져 놓습니다.


산티아고 900km 걸음길, 나와 너 그리고 우리라는 울타리에서 

한 발자국 건너있기로 작가는 결정합니다. 참으로 외로웠던 길인 것 같습니다. 

참으로 고통스러웠던 길인 것 같습니다.

추위에, 배고픔에, 코골이에 그리고 무릎이 알려주는 늙음의 신호에 이르기 까지

일상에서 몰랐던, 일상에서 깨닫지 못했던 삶의 빈곤함이 한꺼번에 몰아쳐 옵니다.


젊어서 고생은 사서도 하지만, 늙어서 고생은 환불해야 하는 것은 아닌지

살짝 물음표 섞인 생각이 떠오릅니다. 


하지만 작가는 멈추지 않습니다. 

걸음걸음 산맥을 넘어, 뙤약볕 쏟아지는 광야를 걸어

그 속에 점점이 살고 있는 보통사람들의 이야기를 이어붙입니다. 


‘세르주’라는 청년이 나옵니다. 수레가득 살림살이가 가득합니다.

걷기에도 힘든 길에, 두발수레는 과연 약일까요? 독일까요?

하지만 수레를 끌고 가는 그의 걸음에 망설임은 없습니다.

도리어 와인 한잔의 알싸함을 나눠줄 줄 아는 여유가 그에게는 있습니다. 

세상 사람들은 모두 여유를 말한 뒤에 나눔을 이야기합니다.

그러나 길 위의 여행자는 나눔 속에 여유를 먼저 말합니다.


지나가는 길마다, 죽음이 피어있습니다.

이 길을 걸었던 순례자, 여행자들의 삶의 종착지입니다.

그들은 어쩌면 몰랐을 지도 모릅니다. 

이 길의 끝이 아닌 중간에서 마침표를 찍게 될 줄은 말입니다. 

하지만 성자의 유해가 지나간 길 

산티아고 순례길은 죽음의 공평무사함을 증언합니다.

성인에서 범인에 이르기까지 죽음 앞에 만인은 평등하다는 것을,

길 위의 무덤들은 오늘도 묵묵히 이야기하고 있는 것입니다.


여행자에게 삼시세끼만큼 중요한 것은 없습니다.

하지만 시간은 언제나 그의 편이 아닙니다.

그래서 여행자는 항상 준비해야 합니다.

거기에는 돈보다 값진 화폐가 있습니다.

바로 웃음입니다. 말 한마디에 천냥 빚을 갚는다고도 하지만

웃음 하나에 비할 바가 아닙니다. 

늦은 저녁, 문 닫은 외지의 식당, 나그네에게 배고픔은 빚보다 큰 고통입니다.

하지만 웃음 하나로 맥주 하나와 오믈렛 그리고 샌드위치를 얻어내는

작가의 유쾌함은 그만이 가진 값진 여행자수표 일겁니다.


좁은 방안에서 세계를 만나는 여행자가 있습니다.

엘리아스 깔보씨입니다. 

그의 여행은 자신의 발이 아닌 타인의 발로 이루어집니다.

자신을 찾아오는 형형백백의 사람들, 

그들의 옷을 맞추며, 순례자의 삶을 박음질하며

오늘도, 내일도 이야기 비단을 만들어가는 그의 삶은 즐겁습니다.

가게가 작아서, 걸어 본 나라가 적어서 불행할 수는 없습니다.

오로지 행복하기 위한 그의 삶이 있을 뿐입니다.


그리고 작가가 만난 것은 사람만이 아닙니다.

자연을 벗 삼으며, 말없는 것에서 말을 끄집어내는 것

그것이 작가의 본능일 것입니다. 

조각상을 보며, 풀을 보며 그리고 강을 보며, 

생각의 바다에서 낚아 올린 그의 글은 

그래서 담백합니다.


스스로를 용서해라.

기울어야 사랑이다. 

바람이 아니라 바닥의 흐름을 주시하라.


당연하면서도, 잊어버렸던 다짐입니다.

그렇게 일상에서 잊어버린 다짐을 다시 찾는 길

그 길이 어쩌면 홀로 걸었던 

산티아고 순례길이었는지도 모릅니다.  


마침내 종착지에 다다랐습니다.

성자의 죽음이 다다른 곳이지만 

산자의 생명이 다다른 곳이기도 합니다.


혼자였지만, 혼자가 아니었던 여행

비우기 위해서였지만, 채워갔던 여행

그래서 산티아고 길은 끝이 아니라 

또 다른 시작으로 마땅히 불러야 할 겁니다.


작가는 말합니다.

두발만이 아니라 심장으로 온 몸을 넘어

영혼이 그 대지를 더듬듯이 걸어야 마땅한 길   

그 길이 산티아고 900km 라고....


헤세가 말합니다.

세상에는 

크고 작은 길들이 너무나 많다.

그러나

도착지는 모두가 같다.


말을 타고 갈 수도 있고, 차로 갈 수도 있고

둘이서 아니면 셋이서 갈 수도 있다.

그러나 마지막 한 걸음은 

혼자서 가야한다.


책을 읽은 여기 이 청춘은 말합니다.

내 삶의 호흡이 거칠어지고 있다면, 떠나자. 그 곳으로....

끝이 아닌 시작이 있는 곳이라면 어디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조용헌의 사찰기행
조용헌 지음 / 이가서 / 2005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유홍준 교수의 나의 문화유산답사기를 읽다가 
먼저 들게된 '조용헌의 사찰기행'
흔히 읽는 답사기와는 조금 다른 
사찰이라는 테마가 눈을 끌었다.


그렇다고 이 책이 사찰에 관한 
역사적, 미학적 관점에만 중심을 두었다면 
금방 식상했을텐데, 왠걸 이 책은 
그 동안 소외되어졌던 사찰의 뒷이야기가 
풍성하게 실려있었다.

특히나 각 사찰에 얽힌 창건 설화와 
풍수지리적으로 바라 보는 사찰의 구조분석은 
미학과 역사라는 일차적 관점에서 벗어나 
재미난 읽을거리를 던져 준다.

선운사 도솔암 마애불에 얽힌 
천년의 비기와 벼락살 
그리고 묘하게 이것이 시발점이 된 
동학농민혁명에서는 우스갯 소리처럼 들리는 민담 속에 
천지개벽을 염원했던 민중들의 뜨거운 열망이 읽혀진다. 

더불어 변산 불사의방에서는 
아침에 도를 깨치면, 저녁에 죽어도 좋다는 
한 구도자의 처절한 모습이 생생히 그려진다.
한발자욱 앞 천길 낭떠러지.....
무엇이 그들을 심산유곡으로 끌었으며, 
그 곳에서 그들은 무엇을 보았을까?
생과 사의 경계를 무애로 받아들인 
그들 자유인의 모습들...

그렇게 읽혀지고, 들려지는 
여섯뜰 스물셋 가람의 이야기에는
사람 냄새 물씬 나는, 
살아있는 역사가 숨쉬고 있었다.

몽고의 침략, 임진왜란, 묏자리 산송문제, 
그리고 6.25에 이르기까지 
수천년 이어받은 물질적 유산은 
이제 火魔로 사라지고 없지만, 
한마디 말로서 천년대찰을 갈음할 
선불교의 전통이 온전히 남아있는 한국불교...!

그 알듯 모를 듯 숨겨진 이유를
이 책은 사찰속 사람과 자연을 통해 
자상하게 글해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안철수의 생각 - 우리가 원하는 대한민국의 미래 지도
안철수 지음, 제정임 엮음 / 김영사 / 2012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오래 묵혀두었던 책을 읽었다. 

구수한 된장 맛을 기대한 책은 아니었지만

책 속의 사람은 그 향이 맑고 고왔다.


하지만 그 사람이 살고 있는 세상은 

현재 고달프다. 

사람은 사람대로 그 향을 잃어가고

자연은 자연대로 그 색을 잃어가고 있다.


그런 찰나에 현재 그는 유일무이한 

구원자로 추대되고 있다.

과연 그는 우리를 정말 구원할 수 있을까?

 

그런 점에서 이 책은 

철수에 의한, 철수만의, 그러나 철수를 위하지 않은

안철수의 생각을 감정평가하는 가이드라인과 같았다. 


그래서 네가 어떤 삶을 살든 응원하겠다는 

맹목적인 팬심을 요구하기 보다, 

내가 이런 삶을 꿈꾸기에 응원해주시겠습니까

라는 비판적 물음을 부탁한다. 


그런데 과연 그는 진짜 대통령이 되고 싶기는 한 것일까?

그런 갈증같은 물음에 그는 선문답같은 대답을 일러준다.


“시대적 소명이 주어진다면, 

정치인로서의 책임도 회피하지 않겠습니다.“ 


구국의 결단으로 한강을 넘은 누군가와는

확연히 다른 답이다.


그렇게 여전히 불확실한 미래를 가정한

그의 대답이지만, 책 속에 담긴 그의 문제의식은

한 사람의 名士가 아닌, 한 사람의 국가 지도자로서의 

고민을 고스란히 보여준다.


특히나 복지 분야에 있어서는 획기적인 정책전환을 

구상하고 있으며, 통일에 관한 전향적인 자세는 

현재의 경색된 남북관계에 대한 날선 비판으로

해석되어진다. 


또한 우리 사회에 있어, '정의'와 '원칙' 그리고 '법치'라는 

이름으로 포장되고 행해진 '용산'과 '쌍용' 그리고 '강정'을

그는 깊이 이해하고 있었다. 


더불어 의료민영화에 대한 분명한 반대,

언론사 파업사태에 대한 깊은 우려 그리고 

한미FTA에 대한 비판적 재협상으로서의 사견을

그는 여과없이 솔직하게 이야기 하고 있었다.


그리고 경제민주화와 관련한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격차는 양극화라는 시대적 과제와 맞물려

중소기업의 적극적 육성은 물론, 현재의 공정거래위원회의

제대로된 관리감독이 전제되어 진다면, 

고용창출의 효과는 물론 내수기반을 바탕으로 한

사회구조적인 경제 선순환의 바탕이 될 수 있음을

그는 이해하고 있었다. 


그래서일까? 복잡다단한 우리 시대의 모순에 

한발짝 두발짝 직접 부딪히며, 극복해온 

오늘의 안철수라는 개인의 스토리는

분명 우리 시대의 롤모델로서의 

이야기가 있고, 힘이 있었다.


하지만 그와 같은 성공스토리가 

그를 제외하고 없다는 것은 

또 다른 의미로서 시대의 큰 비극을 

마주하는 역설과 같았다.


개같이 벌어서 정승같이 쓰자.

시대의 성공이 Money가 되버린 2012년

그에 반해 시대의 쓰임에 먼저 주목했던 

한 남자의 선택이 결정의 시간을 앞두고 있다.


그것이 일장춘몽이 되었든 일장현몽이 되었든

우리 시대는 이미 안철수를 선택한 듯

뜨겁게 흘러가고 있는 것 같다.


유행하는 드라마의 제목처럼

언젠가 회상되어질 ‘응답하라. 2013년’

그 가치가 ‘사람’이 먼저였음을 바라고, 선택한 시간임을

바라며....가볍게 Merry  Christmas를 외쳐본다. 



P.S

침묵은 금이라고 한다. 하지만 정치인에게 침묵은 죄악이다.

꽃 한송이에 침묵이 사과가 되지 않으며, 

발걸음 하나로, 행동이 진심이 되지는 않는다.

..... 

이어쓰지 못한 글 中....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