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 ⓔ - 세상을 깨우는 시대의 기록 역사 ⓔ 1
EBS 역사채널ⓔ.국사편찬위원회 기획 / 북하우스 / 2013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역사는 속시끄럽다. 
역사는 지겹다.
역사는 필요없다.

그래도 지겹도록, 아쉽도록 
역사를 기억해야하는 까닭은 무엇일까?

연산은 말한다. '人君所畏者, 史而已'
내가 두려워하는 것은 역사뿐이다.
무서워할 것없는 희대의 폭군마저
두려워했던 마지막 남은 것은 역사뿐이었다.

그래서일까? 
그는 조선왕조에서 유일하게 
역사를 본 왕이다. 
그리고 그에 대한 응보였을까?
그는 단 두사람뿐인 폐왕의 신세가 되고 말았다.

이처럼 역사는 무섭고도 냉엄하며,
때로 두렵기까지 하다.

이 책은 그러한 역사가 
우리에게 주는 많은 생각거리들을 
단 세가지로 요약해서 보여준다.

1. 어떻게 살것인가?
폼나게 살수있다. 폼나게 죽을 수 있다.
흔한 선택은 폼나게 사는 것일 것이다.
하지만 역사 앞에 폼나게 살고, 죽는 것은 
오직 하나 뿐이다.

수백억 재산조차 초개같이 버리고 
독립 대한을 꿈꾸며, 만주로 떠난 우당 이회영일가

전란의 무서움을 알기에, 당대의 비판에도 불구하고
청과의 비밀외교를 펼쳤던 광해와 강홍립장군 

임금 앞에서, 대신앞에서 
목숨을 초개같이, 말을 천금같이 해야했던 간관의 삶

역사는 그렇게 어떻게 살것인가에 대한
질문에 사람으로 대답해준다. 

2, 나는 누구인가? 
멘붕에 빠진 누군가의 자탄이 아니다.
그렇다고 나의 성명, 직업, 족보를 
따지자는 것은 더더욱 아니다.

시대를 관통하며,
오늘의 우리를 만든 사람들을 
기억하자는 것이다.

조선의 진정한 사대부 윤두서
왕의 측근이자, 보이지 않는 공신 환관
시대의 슬픔이자 반복된 비극이었던 환향녀
아직도 찾지 못한 우리시대의 사표 안중근 의사의 묘

반드시 화려한 역사의 스포트라이트를 
받은 사람이 아니더라도
절절히 아팠던 상처뿐인 과거의 주인공일지라도
오늘의 우리를 만든 또 하나의 선조임을
알고 안아주자는 것이다.

3.무엇을 기억할 것인가?
만주벌판 드넓게 뛰어다녔던 
고구려 개마무사의 말발굽소리를 기억할 것인가?
처절했던 일제강점기 독립군의 피비린내나는
만주벌의 발걸음을 기억할 것인가?

역사의 선택이 있다면,
아마 비극을 기억하지 않은 민족에게
절대 희극을 허락하지는 않을 것이다.

그래서 999번째를 맞은 
일본군 위반부 할머니의 이야기

동학농민혁명의 참담했던 패전
황토현전투이야기

도망가는 왕, 도적이 되는 백성
임진왜란중의 쩔쩔매는 조정과 
절절했던 백성의 이야기는

절로 우리의 가슴을 뭉클하게 
그리고 오늘을 돌아보는 계기가 되고만다. 

반성이 없는 역사는 반복되어진다.
역사의 인과법은 그렇게 
성기면서도 어김없이 치밀하다.

우리는 과연 어떠한 역사를 만들어갈것인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